-
수하물 분실 '18억 원' 배상 판결 + 피해 보상 '1억4천 만 원'
18억 원 현금 가방 강제로 맡기도록 한 에미레이트항공에 분실 배상금 판결 12년 소송 끝에 분실 현금 전액과 피해 보상금(1억 4천만 원) 지급 판결 수하물 분실 배상 금액으로는 아마도 사상 최고액일 듯 싶다. 나이...
고려한 | | 141 | 0 -
보잉, B737 MAX 사고 관련 25억 달러 벌금·배상금 합의
보잉, B737 MAX 추락 사고에 25억 달러 벌금·배상금 2018년 말부터 두 차례 추락사고로 346명 목숨 앗아간 사고 미국 법무부, 정직함보다 이익 추구를 위해 은폐 택한 보잉에 2억4360만 달러 벌금 세계 최대 항공기 ...
상주니 | | 110 | 0 -
아시아나항공 결항 12시간 지연 '40만 원 손해배상' 판결
아시아나항공 여객기 결함으로 인한 결항, 12시간 지연 손해배상 40만 원 판결 재판부, 성실한 정비 의무 다했더라도 피할 수 없는 결함 아냐 항공기 기체 결함으로 인한 결항으로 12시간 지연에 대해 손해배상 판결...
올레 | | 143 | 0 -
이스타항공, '셧다운 책임' 제주항공 상대 손해배상 ·· 소송전 가열
이스타항공 셧다운은 인수 주체였던 제주항공 요구 사항 임금 체불, 매출 중단 원인은 제주항공이므로 손해배상 청구소송 추진 파산 위기에 있는 이스타항공이 제주항공에 셧다운 관련 손해배상 청구소송을 제기할 방...
고려한 | | 129 | 0 -
25시간 지연 팬퍼시픽항공 '50만 원씩 지급' 손해배상 판결
항공기 결함으로 인한 지연, 승객들에게 피해보상 타당 판결 이어져 팬퍼시픽, 최대 33시간 지연 항공편 일부 사건 손해배상 판결 항공기 결함으로 인해 공항에서 25시간가량 대기하며 지연된 승객들에게 1인 당 '50...
상주니 | | 123 | 0
-
댓글
우선 항공기 지연 때문에 새벽에 도착하시고 참.. 많이 불편하셨을 것 같습니다. 일단 제주항공편 대만-인천 지연 사유가 항공기 연결은 맞습니다. 기상으로 지연되었든 조종사 근무시간 초과로 지연됐든 전편 비행기가 늦게 도착해 탑승하실 항공편이 지연된 것이니까요. 말씀하신 항공편은 12월 10일 출발한 타이베이-인천, 제주항공 2602편으로 보이네요. (오후 5시 도착 예정이던 항공기가 당일 12시를 넘겨 새벽 1시 넘어 인천...
마래바 | -
댓글
일단 우리나라 출발 여정이기 때문에 우리나라 피해보상 규정에 근거해 요청 가능합니다. 12시간 이상 지연된 경우 운임의 30% 보상받을 수 있습니다. 호텔 등 관련 숙박 시설 제공은 별개이므로 보상금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혹시라도 에어차이나가 김포-중국(어딘지 모르겠지만) 구간 운임 30% 배상 운운할 수 있으나 최종 목적지가 이탈리아 이므로 최소한 전체 운임에 대한 30% 보상받을 수 있습니다. 혹시 7만 원이라는 부분이...
마래바 | -
댓글
항공사들이 경제성, 비정상 상황으로 인한 손실 등에 대한 분석이 없다는 것은 말이 안되겠죠. 다만 모든 항공사가 같은 조건, 환경이 아닌 이상 경제성 분석 등의 형태나 강도, 심도 등은 달라질 수 있을 겁니다. 예를 들어 유럽 항공사의 경우에는 지연이 되면 거의 대부분 배상의 대상이 되기 때문에 항공기 지연 운항에 따른 클레임, 보상 금액 등에 대한 예상이 어느 정도 가능하고, 이에 대한 실시간 분석 등이 유용할 지 모...
마래바 | -
댓글
결론만 말씀드리면 상황이 아슬아슬 하네요. 항공사가 어쩔 수 없는 경우라 보상 등을 요구하기 어려운 부분도 있고, 사후 조치 등을 보면 아쉽고 그렇습니다. 일단 상황은 이것으로 이해됩니다. 중국 베이징에서 인천에 도착해야 할 중국동방항공 여객기 도착이 늦어지면서 반대 일정인 인천 → 옌타이 항공편도 지연되었습니다. 지연 시간을 감안하면 당일 출발하는 것이 의미가 없어 다음날 다른 항공편으로 경유지를 중국(상하이...
마래바 | -
댓글
다른 두 중국 항공사도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했다고 하네요.. 남방, 국제항공.. 무역전쟁을 벌이고 있는 중국이라 .. 중국 외교부도 한 마디 거들었네요. '법으로 권익 지키는 것은 합리적'이라면서 말이죠
상주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