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54,851
번
항공위키는 항공, 비행, 여행과 관련된 내용만 취급하고 있습니다.
그 외 콘텐츠나, 파일 등은 삭제 혹은 변경될 수 있으니 양해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항공위키는 항공, 비행, 여행과 관련된 내용만 취급하고 있습니다. 그 외 콘텐츠나, 파일 등은 삭제 혹은 변경될 수 있으니 양해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참고 추가) |
편집 요약 없음 |
||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1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탑승수속(Check-in, 搭乘手續) | |||
[[파일:check-in.jpg|섬네일 | [[파일:check-in.jpg|섬네일|탑승수속카운터(방콕공항)]] | ||
== 개요 == | |||
탑승수속은 항공기에 탑승하기 위해 필요한 [[탑승권]](Boarding Pass)을 발급받고 [[수하물]]을 부치는 일련의 행위·절차를 말한다. | |||
==탑승수속 절차== | ==탑승수속 절차== | ||
대부분의 항공편 탑승수속은 [[공항]]에서 이루어진다. 항공사마다 정해진 탑승수속 카운터에서 본인의 예약을 확인시킨 후 예약 기록에 따라 항공편을 지정하고 이용객의 선호도에 따라 좌석을 배정받고 탑승권을 받는다. 그리고 [[화물칸]]에 실어야 하는 짐, 가방 등 [[수하물]]이 있는 경우 항공사 직원에게 맡기고 [[수하물 영수표]]([[Baggage Claim Tag]])를 받으면 탑승수속은 완료된다. | |||
==탑승수속 마감시각== | ==탑승수속 마감시각== | ||
항공기가 정상적으로 약속된 시각에 출발하기 위해 출발 30-40분 전에 탑승수속을 마감한다. [[탑승수속]] 마감은 우리나라 국내선의 경우 대개 20분~30분 전, 국제선은 40분 혹은 1시간 전에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탑승수속 소요시간, 대기시간 등을 감안하면 [[공항]]에는 적어도 3시간 전에는 도착하는 것이 좋다. | |||
==장소/기기에 따른 탑승수속 형태== | |||
IT 기술의 발달에 따라 최근에는 탑승수속 기능 중 좌석배정, [[탑승권]] 발급 등의 서비스가 공항에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사전에 컴퓨터 혹은 스마트폰을 통한 인터넷으로도 가능하다. 부치는 짐([[수하물]])이 없는 경우 공항의 항공사 탑승수속 카운터를 거치지 않고 항공편 탑승구로 바로 갈 수 있어 편리하다. | IT 기술의 발달에 따라 최근에는 탑승수속 기능 중 좌석배정, [[탑승권]] 발급 등의 서비스가 공항에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사전에 컴퓨터 혹은 스마트폰을 통한 인터넷으로도 가능하다. 부치는 짐([[수하물]])이 없는 경우 공항의 항공사 탑승수속 카운터를 거치지 않고 항공편 탑승구로 바로 갈 수 있어 편리하다. | ||
또한 최근 항공사들은 부치는 짐이 없는 승객들을 위해 [[무인탑승수속기]](일명, [[키오스크]]/KIOSK)를 설치하는 추세이며, 거기에 수하물도 항공사 직원없이 승객이 셀프로 부칠 수 있는 시스템도 등장하고 있다. | 또한 최근 항공사들은 부치는 짐이 없는 승객들을 위해 [[무인탑승수속기]](일명, [[키오스크]]/KIOSK)를 설치하는 추세이며, 거기에 수하물도 항공사 직원없이 승객이 셀프로 부칠 수 있는 시스템도 등장하고 있다. | ||
*[[공항]] 체크인 | |||
*[[웹 체크인]] | |||
*[[모바일 체크인]] | |||
*[[키오스크]] | |||
==참고== | ==참고== | ||
[[ | *[[연결탑승수속]](Through Check-in) | ||
{{각주}} | |||
[[분류:여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