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51,695
번
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24번째 줄: | 24번째 줄: | ||
2024년 [[12월 25일]] 아제르바이잔 바쿠공항(GYD)을 출발해 러시아 그로즈니공항(GRV)으로 비행 중이던 8243편 항공기는 비상신호(7700)를 보내고 제어 시스템에 오류가 발생했음을 보고했다. 조종사는 악타우공항(SCO)에 비상착륙을 요청하고 방향을 바꾸었다. 당시 원래 목적지 공항인 그로즈니공항은 악천후(안개) 상태였다. | 2024년 [[12월 25일]] 아제르바이잔 바쿠공항(GYD)을 출발해 러시아 그로즈니공항(GRV)으로 비행 중이던 8243편 항공기는 비상신호(7700)를 보내고 제어 시스템에 오류가 발생했음을 보고했다. 조종사는 악타우공항(SCO)에 비상착륙을 요청하고 방향을 바꾸었다. 당시 원래 목적지 공항인 그로즈니공항은 악천후(안개) 상태였다. | ||
카스피해 상공에서 카자흐스탄 악타우공항(Aktau)으로 향하는 과정에서 궤적, 고도, 속도 등의 불안정한 모습을 보였고 공항 인근까지 접근했지만 착륙을 하지 못하고 인근에 추락했다. 항공기는 가파른 각도로 지면에 충돌했고 동체는 크게 분리되면서 화재가 발생했다.<ref>[https://x.com/PlanesOfLegend/status/1871884525632196726 (동영상) 착륙 직전 불안정한 모습을 보이다 추락하는 장면]</ref> | 카스피해 상공에서 카자흐스탄 악타우공항(Aktau)으로 향하는 과정에서 궤적, 고도, 속도 등의 불안정한 모습을 보였고 공항 인근까지 접근했지만 착륙을 하지 못하고 인근에 추락했다. 항공기는 가파른 각도로 지면에 충돌했고 동체는 크게 분리되면서 화재가 발생했다.<ref>[https://x.com/PlanesOfLegend/status/1871884525632196726 (동영상) 착륙 직전 불안정한 모습을 보이다 추락하는 장면]</ref> | ||
=== 시간대별 사항 === | === 시간대별 사항 === | ||
{{이미지 | {{이미지 | ||
57번째 줄: | 54번째 줄: | ||
항공기는 악타우공항 상공에서 두 번 선회 후 세 번째 선회하던 중 정상적인 비행과 제어가 어려웠던 항공기는 악타우공항에서 약 3km 떨어진 지점에 추락했다. 당시 항공기는 착륙을 위해 [[랜딩기어]]를 전개한 상태였으나 공항 활주로까지 접근하지 못한 채 오른쪽 날개가 먼저 지면에 충돌했으며 이어 동체 기수 부분이 크게 충돌했다. | 항공기는 악타우공항 상공에서 두 번 선회 후 세 번째 선회하던 중 정상적인 비행과 제어가 어려웠던 항공기는 악타우공항에서 약 3km 떨어진 지점에 추락했다. 당시 항공기는 착륙을 위해 [[랜딩기어]]를 전개한 상태였으나 공항 활주로까지 접근하지 못한 채 오른쪽 날개가 먼저 지면에 충돌했으며 이어 동체 기수 부분이 크게 충돌했다. | ||
== 탑승자 == | == 탑승자 ==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 ||
104번째 줄: | 98번째 줄: | ||
== 원인 == | == 원인 == | ||
▲새 떼와 충돌 ▲테러 ▲교전(러시아-우크라이나) 중 피격 ▲기내 산소통 폭발 등 다양한 주장이 제기됐다.{{각주}} | ▲새 떼와 충돌 ▲테러 ▲교전(러시아-우크라이나) 중 피격 ▲기내 산소통 폭발 등 다양한 주장이 제기됐다. | ||
사고 직전 기내 상황이 담긴 동영상에는 [[산소 마스크]]가 내려와 있는 상태였으며 하강 또는 접근하는 동안 폭발음이 들렸다는 한 승객의 진술이 담겨 있다. 파편이 자신의 구명조끼를 뚫었다고 말했다. 또 한편에서는 사고 후 비교적 온전하게 보존된 꼬리 동체 표면에 미사일 산탄에 의한 것으로 보이는 구멍이 상당히 많이 나타나 있어 대공 미사일 피격설도 강하게 제기되었다.{{각주}} | |||
[[분류:이미지]] | [[분류:이미지]] | ||
[[분류:항공사고]] | [[분류:항공사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