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54,851
번
항공위키는 항공, 비행, 여행과 관련된 내용만 취급하고 있습니다.
그 외 콘텐츠나, 파일 등은 삭제 혹은 변경될 수 있으니 양해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항공위키는 항공, 비행, 여행과 관련된 내용만 취급하고 있습니다. 그 외 콘텐츠나, 파일 등은 삭제 혹은 변경될 수 있으니 양해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5번째 줄: | 5번째 줄: | ||
=== 항공업계, 지난해 역대 최대 매출 기록 잇따라 === | === 항공업계, 지난해 역대 최대 매출 기록 잇따라 === | ||
2024년 국적 항공사들은 여객 및 화물 시장의 우호적 환경으로 나란히 성장하면서 사상 최대 매출을 각각 기록했다. 하지만 올해 1분기에는 고환율과 여객기 사고 여파로 인해 부진이 예상된다.<ref>[https://www.inews24.com/view/1812019 항공업계, 지난해 역대 최대 매출 기록 잇따라(2025.2.11)]</ref>{{각주}} | 2024년 국적 항공사들은 여객 및 화물 시장의 우호적 환경으로 나란히 성장하면서 사상 최대 매출을 각각 기록했다. 하지만 올해 1분기에는 고환율과 여객기 사고 여파로 인해 부진이 예상된다.<ref>[https://www.inews24.com/view/1812019 항공업계, 지난해 역대 최대 매출 기록 잇따라(2025.2.11)]</ref> | ||
=== 아시아나항공 화물사업 매각 "반쪽" … 대한항공 점유율 강화될 수도 === | |||
화물 전문 항공사 [[에어인천]]과 [[아시아나항공]] 화물사업부의 합병이 9부 능선을 넘었다. 일각에서는 기존 [[화물발송인|화주]] 계약은 강제 이관사항이 아니기 때문에 기존 아시아나 화물 수요가 에어인천에서 '통합 대한항공'을 향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한다. 특히 시간과 스케줄이 중요한 대형 화주의 경우 대부분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양쪽에 거래를 유지하고 있어 대한항공으로 물량이 더 추가될 수도 있다.<ref>[https://www.moneys.co.kr/article/2025021015165179644 '반쪽' 아시아나 화물 매각… 대한항공 '독주' 계속되나(2025.2.11)]</ref> | |||
=== 티웨이항공 개미들, 대명소노에 공개매수 요구 === | |||
[[티웨이항공]] 경영권 분쟁이 본격 가시화 하는 가운데 소액주주들의 움직임이 가시화됐다. 소액주주연대는 공개매수를 통한 공정하고 투명한 인수 절차 준수, 인수 목적 및 장기적 경영전략 공개, 주주가치 보호를 고려한 재무 계획 및 소익주주 권리 침해 방지 등을 요구했다.<ref>[https://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25021002109932057009 티웨이항공 개미들 뭉쳤다…대명소노에 공개매수 요구(2025.2.11)]</ref> | |||
{{참고 | |||
| 참고1 = 티웨이항공 경영권 변동 | |||
| 참고2 = | |||
| 참고3 = | |||
}} | |||
=== 무안공항에 발 묶인 진에어, 운항 허가·손해배상 소송 === | |||
지난해 12월 29일 [[제주항공]] 여객기의 [[무안공항]] 참사 이후 공항 폐쇄에 따라 무안공항에 [[진에어]] 여객기 한 대가 한 달 반 이상 발이 묶여 있는 상황이다. 이에 대해 여객기를 이동할 수 있게 해 달라며 공항 당국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또한 영업 손실 등에 대해 국가를 상대로 손해배상을 청구하는 소송도 냈다.<ref>[https://www.yna.co.kr/view/AKR20250211060500003 무안공항에 발 묶인 비행기…진에어, 운항 허가·손해배상 소송(2025.2.11)]</ref><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713832 무안공항에 항공기 발 묶인 진에어, 손해배상 소송 제기(2025.2.11)]</ref> | |||
{{참고 | |||
| 참고1 = 제주항공 2216편 사고 | |||
| 참고2 =진에어 무안공항 운항허가 손해배상 소송 | |||
| 참고3 = | |||
}} | |||
=== 광주시 '국제선 운항' 건의···"15일 이후 구체적 입장" === | |||
광주 지역에서 광주공항에 [[국제선]]을 임시 개항해야 한다는 여론이 높다. 광주시와 지역 관광업계는 국토교통부를 만나 광주공항 국제선 임시 운항을 건의했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제주항공]] 참사 49재가 끝나는 대로 광주공항 국제선 임시 운항 문제를 포함해 통합공항에 대한 구상을 밝히겠다고 밝혔다.<ref>[https://www.mdilbo.com/detail/0kIA7d/738384 광주시 '국제선 운항' 건의···姜 "15일 이후 구체적 입장"(2025.2.11)]</ref>{{각주}} | |||
[[분류:소식]] | [[분류:소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