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54,851
번
항공위키는 항공, 비행, 여행과 관련된 내용만 취급하고 있습니다.
그 외 콘텐츠나, 파일 등은 삭제 혹은 변경될 수 있으니 양해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항공위키는 항공, 비행, 여행과 관련된 내용만 취급하고 있습니다. 그 외 콘텐츠나, 파일 등은 삭제 혹은 변경될 수 있으니 양해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8번째 줄: | 18번째 줄: | ||
=== 걸프스트림 마지막 G650 항공기 생산 === | === 걸프스트림 마지막 G650 항공기 생산 === | ||
걸프스트림社의 [[비즈니스 제트기|비즈니스 제트 항공기]] G650 기종의 마지막 기체 생산을 완료했다고 발표했다. 비즈니스 제트기의 표준이라고 할 만큼 지대한 영향을 주었던 기종으로 2009년 첫 비행 이후 지난해까지 560대 이상 생산되었다.<ref>[https://www.aeroflap.com.br/ko/Gulfstream--%EB%A7%88%EC%A7%80%EB%A7%89-G650-%EC%83%9D%EC%82%B0-%EC%99%84%EB%A3%8C/ Gulfstream, 마지막 G650 생산 완료(2025.2.12)]</ref> | 걸프스트림社의 [[비즈니스 제트기|비즈니스 제트 항공기]] G650 기종의 마지막 기체 생산을 완료했다고 발표했다. 비즈니스 제트기의 표준이라고 할 만큼 지대한 영향을 주었던 기종으로 2009년 첫 비행 이후 지난해까지 560대 이상 생산되었다.<ref>[https://www.aeroflap.com.br/ko/Gulfstream--%EB%A7%88%EC%A7%80%EB%A7%89-G650-%EC%83%9D%EC%82%B0-%EC%99%84%EB%A3%8C/ Gulfstream, 마지막 G650 생산 완료(2025.2.12)]</ref> | ||
{{각주}} | |||
=== 화물 전용 항공사 시리우스 매각 위기 === | |||
부산의 첫 중장거리 [[화물 항공사]]로 기대를 모았던 [[시리우스항공]]이 자금난에 빠지면서 매각될 상황에 놓였다. 면허 획득, [[운수권]] 확보 등 순조롭게 진행됐지만 자금 유치에 어려움을 겪으며 실제 운항을 시작하기도 전에 파산 위기에 빠졌다.<ref>[https://busanmbc.co.kr/01_new/new01_view.asp?mn_lnk=C&idx=271934 부산 첫 중장거리 화물항공사 매각 수순(2025.2.12)]</ref> | |||
=== 한-가이아나 항공협정 발효 === | |||
한국과 가이아나 간의 [[항공협정]]이 13일 발효됐다.<ref>[https://www.yna.co.kr/view/AKR20250213105700504 한-가이아나 항공협정 발효…"남미 항공시장 진출 기반"(2025.2.13)]</ref> | |||
=== 소송 제기하자 진에어 항공기 무안공항 운항허가 === | |||
[[제주항공]] [[무안공항]] 참사 이후 한 달 반가량 발 묶인 [[진에어]]가 행정소송과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하자 국토교통부는 방침을 바꿔 무안공항을 떠날 수 있도록 운항허가를 내줄 방침이다. 알려진 바에 따르면 2월 16일 12시 30분경 출발 예정으로 발 묶인지 50일만에 이동하는 것이다. 그동안 진에어는 항공기 임차료, 영업손실, 정비비, 주기료 등 상당한 규모의 손해를 입었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714027 소송 제기하자 무안항공 진에어 여객기 이륙 허가(2025.2.13)]</ref> | |||
{{참고 | |||
| 참고1 = 진에어 무안공항 운항허가 손해배상 소송 | |||
| 참고2 = | |||
| 참고3 = | |||
}} | |||
=== 에어부산 화재 여객기, 2주 만에 이동 … 폐쇄됐던 주기장 오픈 === | |||
[[1월 28일]] 화재사고로 반파됐던 [[에어부산]] 여객기가 2주 만에 다른 주기장으로 옮겨졌다. 이에 따라 화재 여파로 잠정 폐쇄됐던 [[주기장]] 3곳도 정상 운영을 재개했다.<ref>[https://www.job-post.co.kr/news/articleView.html?idxno=126398 에어부산 화재 여객기, 사고 2주 만에 이동… 폐쇄됐던 주기장 정상 운영(2025.2.13)]</ref> | |||
{{참고 | |||
| 참고1 = 에어부산 391편 화재 사고 | |||
| 참고2 = | |||
| 참고3 = | |||
}} | |||
=== 국토교통부, 새로운 보조 배터리 휴대 기준 공표 === | |||
[[2월 13일]], 국토교통부는 보조배터리 휴대와 관련해 3월 1일부 시행하는 새로운 표준안을 발표했다. 보조배터리와 전자담배는 선반 보관을 금지하고 투명한 비닐봉투나 보호 파우치에 넣어 기내 좌석 앞 주머니나 옷 주머니에 보관하도록 했다.<ref>[https://www.businesspost.co.kr/BP?command=article_view&num=383407 3월1일부터 보조배터리 기내 5개까지만 반입 가능, 선반 보관 금지·테이프로 단자 가려야(2025.2.13)]</ref> | |||
{{참고 | |||
| 참고1 = 배터리 항공운송 기준 | |||
| 참고2 = | |||
| 참고3 = | |||
}} | |||
=== 1월 여객 수송 LCC 1위 진에어, 제주항공은 3위로 밀려 === | |||
지난해 말 [[무안공항]] 참사로 [[제주항공]] 이용객이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월 제주항공을 이용한 국제선 여객은 60만7천여 명으로 전년 같은 기간 74만7천 명에 비해 18.7%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선 감소 규모는 더욱 커서 31.3%가 줄었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714049 제주항공, 사고 후 여객 급감…국제 18.7% 국내 31.3% 줄어(2025.2.14)]</ref>{{각주}} | |||
[[분류:소식]] | [[분류:소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