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2월 25일: 두 판 사이의 차이

88 바이트 추가됨 ,  2025년 2월 25일 (화)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4번째 줄: 14번째 줄:
=== 이스타항공, 나리타공항 제3터미널로 이전 ===
=== 이스타항공, 나리타공항 제3터미널로 이전 ===
[[이스타항공]]이 [[나리타공항]]에서 항공기 운항이 3월 30일부터 제2터미널에서 제3터미널로 변경된다. 3터미널은 [[저비용항공사]](LCC) 전용 터미널로 항공 이용객이 지불하는 [[공항이용료]] 등도 낮아진다.<ref>[https://www.slist.kr/news/articleView.html?idxno=622162 이스타항공, 도쿄 나리타 국제공항 '제3터미널'로 이전(2025.2.25)]</ref>
[[이스타항공]]이 [[나리타공항]]에서 항공기 운항이 3월 30일부터 제2터미널에서 제3터미널로 변경된다. 3터미널은 [[저비용항공사]](LCC) 전용 터미널로 항공 이용객이 지불하는 [[공항이용료]] 등도 낮아진다.<ref>[https://www.slist.kr/news/articleView.html?idxno=622162 이스타항공, 도쿄 나리타 국제공항 '제3터미널'로 이전(2025.2.25)]</ref>
=== ADD-대한항공, 저피탐 무인 편대기 시험기 출고 ===
[[파일:Kus-lw.jpg|섬네일|무인 편대기 비행시제 1호기]][[국방과학연구소]](ADD)가 유·무인기 복합체계의 핵심 플랫폼 ‘저피탐 무인 편대기(LOWUS)’를 공식 출고했다. ADD와 [[대한항공]]은 25일 부산 대한항공 테크센터에서 유·무인 LOWUS 기술시범기 1호기 출고 기념식을 열고 대중에 공개했다. 2025년 내 초도비행을 계획하고 있다.<ref>[https://m.kukinews.com/article/view/kuk202502250053 "조종사 1명이 무인기 편대 이끈다"… ADD-대한항공 ‘저피탐 무인 편대기' 출고(2025.2.25)]</ref><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714943 ADD-대한항공, 저피탐 무인 편대기 시제기 출고(2025.2.25)]</ref>


=== ADD-대한항공, 저피탐 무인 편대기 시험기 출고 ===
{{참고
{{이미지
| 참고1 = KUS-LW
| 이미지 = https://m.kukinews.com/data/kuk/image/2025/02/25/kuk20250225000055.800x.0.jpg
| 참고2 =  
| 설명 = 무인 편대기 비행시제 1호기
| 참고3 =  
}}
}}
[[국방과학연구소]](ADD)가 유·무인기 복합체계의 핵심 플랫폼 ‘저피탐 무인 편대기(LOWUS)’를 공식 출고했다. ADD와 [[대한항공]]은 25일 부산 대한항공 테크센터에서 유·무인 LOWUS 기술시범기 1호기 출고 기념식을 열고 대중에 공개했다. 2025년 내 초도비행을 계획하고 있다.<ref>[https://m.kukinews.com/article/view/kuk202502250053 "조종사 1명이 무인기 편대 이끈다"… ADD-대한항공 ‘저피탐 무인 편대기' 출고(2025.2.25)]</ref>


=== 오키나와행 진에어 이륙 직후 긴급 회항 ===
 
===오키나와행 진에어 이륙 직후 긴급 회항===
부산 김해에서 오키나와로 향하던 [[진에어]] 항공기가 이륙 직후, 굉음과 불꽃이 보이며 긴급 회항했다. 2월 25일 오전 8시 5분 [[김해공항]]에서 오키나와 나하공항으로 갈 예정이었던 진에어 LJ 0371편이 이륙 직후 굉음이 3차례 연속으로 들리고 기체가 흔들리자, 즉각 [[회항]]을 결정했습니다.<ref>[https://dgmbc.com/article/4qs7mjatTTl1HsguR7lRDZ 오키나와행 진에어, 이륙 직후 긴급 회항···3시간 만에 대체 항공 탑승 시작(2025.2.25)]</ref>
부산 김해에서 오키나와로 향하던 [[진에어]] 항공기가 이륙 직후, 굉음과 불꽃이 보이며 긴급 회항했다. 2월 25일 오전 8시 5분 [[김해공항]]에서 오키나와 나하공항으로 갈 예정이었던 진에어 LJ 0371편이 이륙 직후 굉음이 3차례 연속으로 들리고 기체가 흔들리자, 즉각 [[회항]]을 결정했습니다.<ref>[https://dgmbc.com/article/4qs7mjatTTl1HsguR7lRDZ 오키나와행 진에어, 이륙 직후 긴급 회항···3시간 만에 대체 항공 탑승 시작(2025.2.25)]</ref>


=== 에어버스, A321XLR 유럽항공안전청 인증 획득 ===
===에어버스, A321XLR 유럽항공안전청 인증 획득===
A321XLR은 A321 항공기 업그레이드 버전이다. [[항속거리]]가 8400㎞에 달해 대서양 횡단이 가능하다. 지난해 운항을 시작했다. 항속거리는 항공기나 선박이 연료를 최대 적재량까지 실어 이동할 수 있는 최대 거리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유럽항공안전청([[EASA]])은 [[Pratt & Whitney|프랫 앤 휘트니]] [[GTF]] 엔진을 장착한 A321XLR에 대해 최근 인증을 부여했다.<ref>[http://newsimpact.co.kr/View.aspx?No=3550929 에어버스, A321XLR 유럽항공안전청 인증 획득(2025.2.25)]</ref>
A321XLR은 A321 항공기 업그레이드 버전이다. [[항속거리]]가 8400㎞에 달해 대서양 횡단이 가능하다. 지난해 운항을 시작했다. 항속거리는 항공기나 선박이 연료를 최대 적재량까지 실어 이동할 수 있는 최대 거리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유럽항공안전청([[EASA]])은 [[Pratt & Whitney|프랫 앤 휘트니]] [[GTF]] 엔진을 장착한 A321XLR에 대해 최근 인증을 부여했다.<ref>[http://newsimpact.co.kr/View.aspx?No=3550929 에어버스, A321XLR 유럽항공안전청 인증 획득(2025.2.25)]</ref>


=== 아시아나항공, 잘못 판매한 비즈니스 항공권 환불 요구 안하기로 ===
===아시아나항공, 잘못 판매한 비즈니스 항공권 환불 요구 안하기로===
평소 500만원대에 판매하던 인천발 영국 런던행 [[아시아나항공]] [[비즈니스클래스]] 항공권을 150만원대에 판매해 논란이 됐던 아시아나항공이 이 [[항공권]]을 구매한 모든 고객들에게 취소 대신 모두 승인 해주기로 했다.<ref>[https://namdi.co.kr/?p=14588 아시아나항공, 150만원대 런던행 비즈니스 환불 없던 일로(2025.2.25)]</ref>
평소 500만원대에 판매하던 인천발 영국 런던행 [[아시아나항공]] [[비즈니스클래스]] 항공권을 150만원대에 판매해 논란이 됐던 아시아나항공이 이 [[항공권]]을 구매한 모든 고객들에게 취소 대신 모두 승인 해주기로 했다.<ref>[https://namdi.co.kr/?p=14588 아시아나항공, 150만원대 런던행 비즈니스 환불 없던 일로(2025.2.25)]</ref>


=== 승객 183명 태운 진에어 회항 소동…"엔진 쪽 폭발음" ===
===승객 183명 태운 진에어 회항 소동…"엔진 쪽 폭발음"===
{{이미지
{{이미지
| 이미지 = https://img1.yna.co.kr/etc/inner/KR/2025/02/25/AKR20250225069101051_01_i_P4.jpg
| 이미지 = https://img1.yna.co.kr/etc/inner/KR/2025/02/25/AKR20250225069101051_01_i_P4.jpg
}}
}}
25일 아침 8시 [[김해국제공항|김해공항]]을 이륙, 일본 오키나와 나하공항으로 향하던 [[진에어]] LJ371 항공편이 이륙 후 거제도 상공에서 기체를 돌려 김해공항에 [[비상착륙]]했다. 이륙 직후 엔진에서 이상 소음이 감지되면서, [[회항]] 조치가 내려진 것으로 파악됐다. 해당 항공기는 착륙 무게 제한으로 거제 상공에서 선회하며 연료를 소모한 후 착륙했다.<ref>[https://www.kpinews.kr/newsView/1065599093763451 승객 183명 태운 진에어 회항 소동…"엔진 쪽 폭발음"(2025.2.25)]</ref>
25일 아침 8시 [[김해국제공항|김해공항]]을 이륙, 일본 오키나와 나하공항으로 향하던 [[진에어]] LJ371 항공편이 이륙 후 거제도 상공에서 기체를 돌려 김해공항에 [[비상착륙]]했다. 이륙 직후 엔진에서 이상 소음이 감지되면서, [[회항]] 조치가 내려진 것으로 파악됐다. 해당 항공기는 착륙 무게 제한으로 거제 상공에서 선회하며 연료를 소모한 후 착륙했다.<ref>[https://www.kpinews.kr/newsView/1065599093763451 승객 183명 태운 진에어 회항 소동…"엔진 쪽 폭발음"(2025.2.25)]</ref>
=== 한화·재료연구원, 국산 항공엔진 소재 공동 개발 협력 ===
===한화·재료연구원, 국산 항공엔진 소재 공동 개발 협력===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지난 24일 경남 창원 한국재료연구원에서 ‘한국재료연구원-한화에어로스페이스 25년 1차 기술교류회’를 진행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교류회는 항공 엔진 관련 소재기술 협력과 공동 개발을 추진하기 위해 양 기관의 기술 개발 실적과 현황을 논의하는 자리로 마련됐다.{{각주}}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지난 24일 경남 창원 한국재료연구원에서 ‘한국재료연구원-한화에어로스페이스 25년 1차 기술교류회’를 진행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교류회는 항공 엔진 관련 소재기술 협력과 공동 개발을 추진하기 위해 양 기관의 기술 개발 실적과 현황을 논의하는 자리로 마련됐다.{{각주}}


[[분류:소식]]
[[분류:소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