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54,803
번
항공위키는 항공, 비행, 여행과 관련된 내용만 취급하고 있습니다.
그 외 콘텐츠나, 파일 등은 삭제 혹은 변경될 수 있으니 양해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항공위키는 항공, 비행, 여행과 관련된 내용만 취급하고 있습니다. 그 외 콘텐츠나, 파일 등은 삭제 혹은 변경될 수 있으니 양해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3번째 줄: | 3번째 줄: | ||
=== 대한항공, 프리미엄 이코노미 올 중반부터 도입 === | === 대한항공, 프리미엄 이코노미 올 중반부터 도입 === | ||
[[대한항공]]이 [[프리미엄 이코노미클래스]]를 도입한다. [[비즈니스클래스]]와 [[이코노미클래스]] 중간 단계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리미엄 이코노미 도입에 대해 그동안 가능성이 제기되긴 했지만 이번에 구체적인 시기까지 언급된 것은 처음이다. 11일 대한항공 새로운 CI 공개 행사 후에 진행된 외신 기자 간담회에서 "B777-300ER 항공기 11대에 [[퍼스트클래스]]를 없애고 프리미엄 이코노미석을 도입할 것"이라며 "올해 중반부터 시작해 오는 2026년 말까지 완료될 예정"이라고 밝혔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716216 대한항공, 프리미엄 이코노미 올 중반부터 도입(2025.3.13)]</ref> | [[대한항공]]이 [[프리미엄 이코노미클래스]]를 도입한다. [[비즈니스클래스]]와 [[이코노미클래스]] 중간 단계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리미엄 이코노미 도입에 대해 그동안 가능성이 제기되긴 했지만 이번에 구체적인 시기까지 언급된 것은 처음이다. 11일 대한항공 새로운 CI 공개 행사 후에 진행된 외신 기자 간담회에서 "B777-300ER 항공기 11대에 [[퍼스트클래스]]를 없애고 프리미엄 이코노미석을 도입할 것"이라며 "올해 중반부터 시작해 오는 2026년 말까지 완료될 예정"이라고 밝혔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716216 대한항공, 프리미엄 이코노미 올 중반부터 도입(2025.3.13)]</ref> | ||
=== 당국 "에어부산 30번 좌석 선반서 첫 발화…보조배터리 화재에 무게" === | |||
[[김해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에어부산]] 여객기 화재 사고의 원인이 [[보조배터리]]일 가능성이 커졌다.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사조위)는 1월 28일 일어난 김해공항 에어부산 여객기 화재 사고조사 진행 현황에 대해 14일 이같이 밝혔다.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의 감정 결과, 화재는 항공기 내부 좌측 30번열 상단 선반에서 최초로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ref>[https://www.news1.kr/realestate/general/5719173 당국 "에어부산 30번 좌석 선반서 첫 발화…보조배터리 화재에 무게"(2025.3.14)]</ref><ref>[https://www.news1.kr/realestate/general/5719173 당국, "에어부산 화재, 30번 좌석 선반서 발화"…보조배터리 원인 무게(2025.3.14)]</ref> | |||
=== 국내 LCC, 결손금 털고 이륙 준비…항공업계 지각 변동 스타트 === | === 국내 LCC, 결손금 털고 이륙 준비…항공업계 지각 변동 스타트 === | ||
20번째 줄: | 23번째 줄: | ||
=== KAI, 해외 첫 수출기 수명연장 계약…KAI, 인도네시아와 930억 계약 === | === KAI, 해외 첫 수출기 수명연장 계약…KAI, 인도네시아와 930억 계약 === | ||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은 지난 13일 인도네시아 정부와 6400만달러(약 930억원) 규모의 인도네시아 공군 [[KT-1]](KT-1B) 기본 훈련기 '기체 수명연장 사업' 계약을 체결했다. 기체 수명연장 사업은 고객의 항공기 운용 분석 및 수명 해석을 통해 동체와 주익 등을 보강해 기체의 설계 수명을 목표 운영시간까지 연장한다. 고객이 운용했던 항공기를 분해, 점검하고 정확한 수명을 진단하는 내용까지 포함된다. 이번 사업으로 KT-1B 기체 수명은 기존 대비 약 150%가량 대폭 상승할 예정이다.<ref>[https://v.daum.net/v/20250314151944978 "비행기 수명 늘려드려요"... KAI, 인도네시아와 930억 계약(2025.3.14)]</ref> |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은 지난 13일 인도네시아 정부와 6400만달러(약 930억원) 규모의 인도네시아 공군 [[KT-1]](KT-1B) 기본 훈련기 '기체 수명연장 사업' 계약을 체결했다. 기체 수명연장 사업은 고객의 항공기 운용 분석 및 수명 해석을 통해 동체와 주익 등을 보강해 기체의 설계 수명을 목표 운영시간까지 연장한다. 고객이 운용했던 항공기를 분해, 점검하고 정확한 수명을 진단하는 내용까지 포함된다. 이번 사업으로 KT-1B 기체 수명은 기존 대비 약 150%가량 대폭 상승할 예정이다.<ref>[https://v.daum.net/v/20250314151944978 "비행기 수명 늘려드려요"... KAI, 인도네시아와 930억 계약(2025.3.14)]</ref><ref>[https://biz.chosun.com/industry/company/2025/03/14/HDSJXAL3MBAWLD2KYBRWHMAJ4Q/ KAI, 인도네시아와 930억원 규모 기체 수명연장 사업 계약(2025.3.14)]</ref> | ||
=== 방사청 헬기 개량사업 개시, 대한항공 LIG연합과 KAI 엘빗시스템즈연합 1조시장 두고 격돌 === | |||
지난 12일, 방위사업청은 약 1조 원 규모의 [[헬기]] 성능개량 사업 추진을 발표하며, 국내 항공우주 분야의 두 거대 기업인 [[대한항공]]과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치열한 수주 경쟁을 벌이게 되었다. 이 사업은 우리 군의 특수작전용 헬기의 항공전자 시스템을 디지털화하고 기동성을 향상시켜 작전 수행 능력을 증대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대한항공의 UH-60 생산 및 유지보수 능력과 KAI의 설계 기술을 경쟁을 벌이게 됐다.<ref>[https://www.startup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419146 방사청 헬기 개량사업 개시, 대한항공 LIG연합과 KAI 엘빗시스템즈연합 1조시장 두고 격돌(2025.3.14)]</ref> | |||
=== 아메리칸항공 엔진 문제로 긴급 착륙 후 화재 발생, 날개 위 대피 === | === 아메리칸항공 엔진 문제로 긴급 착륙 후 화재 발생, 날개 위 대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