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항공 2216편 사고: 두 판 사이의 차이

147 바이트 추가됨 ,  2024년 12월 29일 (일)
편집 요약 없음
23번째 줄: 23번째 줄:
==발생 경위==
==발생 경위==
12월 29일 오전 9시 3분경 항공기가 랜딩기어를 전개하지 않은 채 무안공항에 [[동체착륙]]했다. 그러나 [[항공기]]는 속도를 줄이지 못하며 공항 외벽에 강하게 충돌했고, 항공기 앞부분이 폭발하듯 반파되며 화재가 발생했다.
12월 29일 오전 9시 3분경 항공기가 랜딩기어를 전개하지 않은 채 무안공항에 [[동체착륙]]했다. 그러나 [[항공기]]는 속도를 줄이지 못하며 공항 외벽에 강하게 충돌했고, 항공기 앞부분이 폭발하듯 반파되며 화재가 발생했다.
=== 시간대별 사항 ===
* 08:57, 관제탑이 사고 항공기에 조류충돌 가능성 경고 전달


오전 8시 57분 무안공항 [[관제탑]]은 접근하는 사고기에 대해 [[조류충돌]] 가능성을 경고했다. (이후 조류충돌 있었을 것으로 추정) 1분 후 사고기 [[기장]]은 [[메이데이]]를 선언하고 9시 경 당초 착륙 예정이던 [[활주로]] 01에서 착륙 실패했다. Flightradar24 데이터에 따르면 8시 58분 47초 시점에는 고도 500피트(약 150미터)까지 하강했다. 이후 데이터는 없으나 [[복행]]을 수행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관제탑의 반대 방향 착륙 허가에 따라 활주로 19 방향에서 9시 3분 경 다시 착륙을 시도했다.   
오전 8시 57분 무안공항 [[관제탑]]은 접근하는 사고기에 대해 [[조류충돌]] 가능성을 경고했다. (이후 조류충돌 있었을 것으로 추정) 1분 후 사고기 [[기장]]은 [[메이데이]]를 선언하고 9시 경 당초 착륙 예정이던 [[활주로]] 01에서 착륙 실패했다. Flightradar24 데이터에 따르면 8시 58분 47초 시점에는 고도 500피트(약 150미터)까지 하강했다. 이후 데이터는 없으나 [[복행]]을 수행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관제탑의 반대 방향 착륙 허가에 따라 활주로 19 방향에서 9시 3분 경 다시 착륙을 시도했다.   
69번째 줄: 73번째 줄:
항공기 속도가 줄지 않은 것과 관련해 동체착륙 진행 과정에서 속도를 줄이려는 움직임이 보이지 않았다는 지적도 나왔다. 날개 등을 움직여 [[항력]]을 키워 속도를 줄여야 하는데 사고 동영상 속에서는 그런 움직임이 보이지 않았다는 것이다. 물론 엔진이 완전 불통되면 날개 움직임 조차 [[조종사]]가 제어하기 어려울 수 있다.  
항공기 속도가 줄지 않은 것과 관련해 동체착륙 진행 과정에서 속도를 줄이려는 움직임이 보이지 않았다는 지적도 나왔다. 날개 등을 움직여 [[항력]]을 키워 속도를 줄여야 하는데 사고 동영상 속에서는 그런 움직임이 보이지 않았다는 것이다. 물론 엔진이 완전 불통되면 날개 움직임 조차 [[조종사]]가 제어하기 어려울 수 있다.  


[[동체착륙]]이 제대로 수행되지 않았다는 지적도 나왔다. 동영상 속에 항공기와 활주로 지면이 맞닿은 시점이 항공기를 멈춰 세우기에는 다소 늦은 것 아니냐는 의견이 나온다. 동체가 활주로 지면과 완전히 밀착해 닿지 않아 초반에는 지면과 마찰력이 크게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추정된다. 활주로 끝단에 이르러서야 먼지가 크게 일어나는 모습이 포착됐다. 아울러 동체착륙 시점도 활주로 진입 초반을 지나쳐 중반 부근에서야 [[터치다운]] 한 듯한 모습이 보였다
[[동체착륙]]이 제대로 수행되지 않았다는 지적도 나왔다. 동영상 속에 항공기와 활주로 지면이 맞닿은 시점이 항공기를 멈춰 세우기에는 다소 늦은 것 아니냐는 의견이 나온다. 항공기 기수가 들린 채 동체가 활주로 지면과 완전히 밀착해 닿지 않아 초반에는 지면과의 마찰력이 크게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추정된다. [[활주로]] 끝단에 이르러서야 먼지가 크게 일어나는 모습이 포착됐다. 아울러 동체착륙 시점도 활주로 진입 초반을 지나쳐 중반 부근에서야 [[터치다운]] 한 듯한 모습이 보였다


==사고 원인==
==사고 원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