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심고도: 두 판 사이의 차이

13 바이트 추가됨 ,  2016년 1월 10일 (일)
편집 요약 없음
(새 문서: ==결심고도(DH, Decision Height)== 활주로 접근 중 육안으로 주변 참조물을 식별하지 못하는 경우에 실패 접근을 시작하여야 하는 고도를 말...)
 
편집 요약 없음
3번째 줄: 3번째 줄:
활주로 접근 중 육안으로 주변 참조물을 식별하지 못하는 경우에 실패 접근을 시작하여야 하는 [[고도]]를 말한다. 즉, 특정 고도에 다다랐을때 [[활주로]] 또는 주변 시각참조물이 안보인다면 재접근을 위한 [[복행]]을 시작해야 한다.
활주로 접근 중 육안으로 주변 참조물을 식별하지 못하는 경우에 실패 접근을 시작하여야 하는 [[고도]]를 말한다. 즉, 특정 고도에 다다랐을때 [[활주로]] 또는 주변 시각참조물이 안보인다면 재접근을 위한 [[복행]]을 시작해야 한다.


[[PAR]]이나 [[ILS]], [[MLS]]와 같은 정밀계기접근에 쓰이는 개념이고 TACAN과 같은 비정밀계기접근에서는 [[MDA]]사용한다. [[공항]] [[CAT]] 등급에 따라 이 [[결심고도]]가 결정된다. [[CAT]]가 높을수록 [[결심고도]]는 그만큼 낮아진다. 즉 정밀접근 항행장비가 우수한 [[공항]]일 수록 [[결심고도]]는 낮아져, 지상([[활주로]])에 최대한 접근할 수 있게 된다.
[[PAR]]이나 [[ILS]], [[MLS]]와 같은 정밀계기접근에 쓰이는 개념이고 TACAN과 같은 비정밀계기접근에서는 [[MDA]]라는 개념을 사용한다. [[공항]] [[CAT]] 등급에 따라 이 [[결심고도]]가 결정된다. [[CAT]]가 높을수록 [[결심고도]]는 그만큼 낮아진다. 즉 정밀접근 항행장비가 우수한 [[공항]]일 수록 [[결심고도]]는 낮아져, 지상([[활주로]])에 최대한 접근할 수 있게 된다.




익명 사용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