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공항 역사: 두 판 사이의 차이

20 바이트 추가됨 ,  2020년 11월 27일 (금)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7번째 줄: 7번째 줄:
우리나라에 처음 들어선 비행장은 1916년 건설된 여의도비행장이다. 일제는 경기도 용강면(현재 여의도)에 비행장 건설을 시작해 그해 9월에 [[활주로]]를 완성하고 10월 운영에 들어갔다. 일제는 표면상으로는 민간 [[항로]] 개설 등 항공교통을 개발하기 위한 것이었지만 실제는 대륙 진출의 교두보로 유사시 활용할 수 있는 비행장이 필요했기 때문이었다.
우리나라에 처음 들어선 비행장은 1916년 건설된 여의도비행장이다. 일제는 경기도 용강면(현재 여의도)에 비행장 건설을 시작해 그해 9월에 [[활주로]]를 완성하고 10월 운영에 들어갔다. 일제는 표면상으로는 민간 [[항로]] 개설 등 항공교통을 개발하기 위한 것이었지만 실제는 대륙 진출의 교두보로 유사시 활용할 수 있는 비행장이 필요했기 때문이었다.


1922년에는 우리나라에서 최초 비행을 실시했던 안창남이 여의도비행장에서 시험 비행을 하기도 했다. 여의도비행장은 한국전쟁 후 1953년 국제공항으로 승격했다. 1958년 1월에는 민간 공항 기능이 김포공항으로 이관되면서 공군기지로 역할을 담당했다가 1971년 2월 공군기지가 성남(현재 서울공항)으로 이전하면서 폐쇄되었다.
1922년에는 우리나라에서 최초 비행을 실시했던 [[안창남]]이 여의도비행장에서 시험 비행을 하기도 했다. 여의도비행장은 한국전쟁 후 1953년 국제공항으로 승격했다. 1958년 1월에는 민간 공항 기능이 [[김포공항]]으로 이관되면서 공군기지로 역할을 담당했다가 1971년 2월 공군기지가 성남(현재 서울공항)으로 이전하면서 폐쇄되었다.


==김포공항==
==김포공항==
16번째 줄: 16번째 줄:
1958년 [[대한국민항공사]]가 운항을 시작했으며 1960년에는 공항 내 종합 터미널(구 국내선 [[터미널]])을 건설하고 그해 관할권을 미군으로부터 넘겨받았다.  
1958년 [[대한국민항공사]]가 운항을 시작했으며 1960년에는 공항 내 종합 터미널(구 국내선 [[터미널]])을 건설하고 그해 관할권을 미군으로부터 넘겨받았다.  


김포공항은 1958년 국제공항 승격이래 계속 성장하여 1971년 국내선 여객 처리 100만 명을 돌파했고, 국제선은 1973년 100만 명을 넘어섰다. 1988년 서울올림픽 개최로 국제선 545만 명, 국내선 475만 명으로 1천만 명이 넘게 이용하는 공항으로 성장하였다.
김포공항은 1958년 국제공항 승격이래 계속 성장하여 1971년 [[국내선]] 여객 처리 100만 명을 돌파했고, 국제선은 1973년 100만 명을 넘어섰다. 1988년 서울올림픽 개최로 [[국제선]] 545만 명, 국내선 475만 명으로 1천만 명이 넘게 이용하는 공항으로 성장하였다.


국제공항 확장 계획에 따라 인천공항이 개항한 2001년 국제선 기능을 인천공항에 넘겨주고 국내선 전용으로 전환되었다. 하지만 시내에 근접한 잇점 때문에 근거리 국제선 요구가 지속되자 2003년 김포(서울)-하네다(도쿄) 노선을 시작으로 [[국제선]]이 부활되었다. 2019년 현재 김포공항은 국내선 및 일본, 중국, 타이베이 등 근거리 국제노선 일부를 운항하는 국제공항으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국제공항 확장 계획에 따라 인천공항이 개항한 2001년 국제선 기능을 [[인천공항]]에 넘겨주고 국내선 전용으로 전환되었다. 하지만 시내에 근접한 잇점 때문에 근거리 국제선 요구가 지속되자 2003년 김포(서울)-하네다(도쿄) 노선을 시작으로 [[국제선]]이 부활되었다. 2019년 현재 김포공항은 국내선 및 일본, 중국, 타이베이 등 근거리 국제노선 일부를 운항하는 국제공항으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김해공항==
==김해공항==


[[김해국제공항]]은 1940년 일본 육군비행장으로 개설된 부산 수영비행장에서 출발했다. 해방 후 1946년 미군정이 C-47 [[항공기]]를 이용 김포비행장을 기점으로 서울-대구-부산 노선을 주 2회 운항하면서 수형비행장이 민간용으로 활용되기 시작했다. 1948년 [[대한국민항공사]]가 서울-부산 [[노선]]을 개설해 운항하면서 여의도공항이 국제공항으로 지정되기 전까지 수영비행장이 국제공항으로 운영되었다.
[[김해국제공항]]은 1940년 일본 육군비행장으로 개설된 부산 수영비행장에서 출발했다. 해방 후 1946년 미군정이 C-47 [[항공기]]를 이용 김포비행장을 기점으로 서울-대구-부산 노선을 주 2회 운항하면서 수영비행장이 민간용으로 활용되기 시작했다. 1948년 [[대한국민항공사]]가 서울-부산 [[노선]]을 개설해 운항하면서 여의도공항이 국제공항으로 지정되기 전까지 수영비행장이 국제공항으로 운영되었다.


1958년 수영비행장 이름이 부산비행장으로 변경되었고 1963년에는 국제공항으로 승격되었다. 1976년 8월, 부산비행장이 김해군 대저읍으로 이전하고 김해국제공항으로 명명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1958년 수영비행장 이름이 부산비행장으로 변경되었고 1963년에는 국제공항으로 승격되었다. 1976년 8월, 부산비행장이 김해군 대저읍으로 이전하고 김해국제공항으로 명명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