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여닫기
검색
메뉴 여닫기
알림
개인 메뉴 토글
에어서울
편집하기
항공위키
보기
읽기
편집
원본 편집
역사 보기
associated-pages
문서
토론
다른 명령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
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
!
{{항공사 |airlines=에어서울 |iata=RS |icao=ASV |callsign=AIR SEOUL |homepage=[http://flyairseoul.com flyairseoul.com] |start=2015년 [[4월 7일]] |flying=2016년 [[10월 6일]] |end= |age={{나이|2015|4|7}} |airplane=6대 |pax=1,719,880명(2022년) |revenue=1,499억 원(2022년/별도) |img=file:airseoul.jpg }} 에어서울(Air Seoul) : 대한민국 [[저비용항공사]] == 개요 == [[아시아나항공]]이 설립한 [[저비용항공사]]로 서울(인천)을 거점으로 아시아나항공의 일본 적자 노선을 받아 운항 중에 있다. 에어서울은 국내 노선은 취항하지 않고 있으며 [[국제선]]만 운항하고 있다. ==연혁== * 2015년 [[4월 7일]], 에어서울 설립 * 2016년 [[7월 11일]], 김포-제주 임시 운항(테스트 성격) * 2016년 [[10월 6일]], 인천-다카마쓰 [[국제선]] 신규 취항 * 2019년 [[10월 27일]], 김포-제주 정기편 취항 (공식적인 국내선 첫 취항) * 2020년 3월, [[코로나19]] 사태로 수요 급감. 3월 한 달동안 전 노선 운항 중단 ===코로나19 사태와 재무구조 악화=== 2019년 사업 결과 잉여금과 납입자본금까지 모두 잠식되는 '완전 자본잠식'(자본잠식률 133%)에 빠졌다. 항공사업법에 따르면 [[재무구조 개선명령]]을 받을 가능성이 커졌다.<ref>[https://airtravelinfo.kr/xe/air_news/1366394 에어서울, '완전 자본잠식' 재무구조 개선명령? 퇴출?]</ref> 사정은 [[코로나19]] 사태로 더욱 악화돼 2020년 대규모 적자, 2021년에도 손실이 이어지면서 자본잠식률은 무려 1,159%에 이르렀다. ([[한일 갈등과 항공편 감축]], [[코로나19 사태와 국적 항공사 경영 위기]] 참고)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자본·부채 현황(단위: 억 원) !구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 비고 |- |자본총계 |64 | -57 | -838 | -1,853 | -2,217 | |- |부채총계 |622 |3,732 | 3,596 |3,876 |4,144 | |- |부채비율(%) |971.82 | - | - | - | - |2019년 이후 부채비율 계산 불가(자본 마이너스 상태) |- | 자본잠식률(%) | 63.42 |132.57 |578.70 |1158.82 |1367.01 |2019년 이후 완전 자본잠식 상태 |} ==설립== 2014년 초, [[아시아나항공]]은 [[에어부산]]에 이은 두번째 [[LCC]] 설립을 계획했으나 세월호 사고 이후 경색된 여행경기 및 경기 침체 등으로 실행에 옮기지는 못하고 2015년 초 설립을 위한 재가동에 들어갔다. 2015년 10월 19일, 국토교통부에 국제항공운송사업 면허를 신청했고, 여타 [[저비용항공사]]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2015년 12월 28일 정식 국제항공운송사업 면허를 취득했다. [[운항증명]]과 각 항공기에 대한 [[감항증명]] 절차를 거쳐 정식 운항에 들어간다. 2016년 2분기에 아시아나항공으로부터 A321 항공기 3대를 빌려 일본, 중국, 동남아를 중심으로 운항을 시작하고 2017년에 [[항공기]]를 2대 추가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운항증명]] 획득에 시간적 차질이 발생하면서 국제선 운항증명 대신 국내선 [[운항증명]]을 신청해, 2016년 7월 11일, 김포-제주 노선을 시작으로 상업 비행에 들어갔다. 그러나 곧 국제선 운항증명 취득해 국제선만 운항했다. 2019년 7월 한일 관계 악화로 수요 급감하자 타개책 일환으로 10월 27일 김포-제주 [[국내선]] 정기편 운항을 시작했다.<ref>[https://airtravelinfo.kr/xe/air_news/1345759 에어서울, 자사 첫 정기 국내선 취항 ·· 항공 위기 타개책 일환]</ref> ==서비스== 일반적인 [[저비용항공사]] 콘셉트를 그대로 따르고 있으며 국적 항공사 가운데서는 일종의 회수권 제도인 [[민트패스]]를 운영하고 있다. ==보유 항공기==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 center" |+2023년 4월 |- !항공기!!보유!!주문!!비고 |- |A321-200 ||6||-||도입 계획 없음 |} 초기에는 [[아시아나항공]]이 사용하던 기재를 도입했지만 점차 독자 도입으로 전환되고 있다. ==노선== *일본 : 오키나와, 도야마, 구마모토, 마쓰야마, 아시히가와, 시즈오카, 미야자키, 요나고, 다카마쓰, 우베 *중국 : 홍콩, 마카오 *동남아 : 씨엠립(캄보디아), 코타키나발루(말레이시아), 칼리보(필리핀) *미주 : 괌 ==사건/사고== {{빈 문단}} == 기타 == === 지분 구조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2021년 12월 31일 기준 !주주 !비중(%) !비고 |- |아시아나항공 |100 | |} ==참고== *[[저비용항공사]] *[[아시아나항공]] *[[에어부산]] *[[연도별 우리나라 항공사 설립 현황]] {{각주}}
요약:
항공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자세한 사항은
항공위키: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이 문서를 편집하려면 아래에 보이는 질문에 답해주세요 (
자세한 정보
):
이 위키의 이름은 무엇인가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각주
(
편집
)
틀:나이
(
원본 보기
) (보호됨)
틀:빈 문단
(
편집
)
틀:항공사
(
원본 보기
) (보호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