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종사 파업: 두 판 사이의 차이

615 바이트 추가됨 ,  2024년 4월 27일 (토)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2번째 줄: 2번째 줄:


== 개요 ==
== 개요 ==
[[조종사]] 노동조합이 주도해 나타나는 파업은 다른 여타 노동시장과는 다른 양상을 보인다. 항공교통의 공공성과 국가 기간 교통망 마비라는 최악의 상황을 예방하기 위해 항공사 파업은 [[필수유지업무]]가 요구되기 때문에 실제 파업으로 이어지는 경우는 많지는 않다. 대부분 임금협상의 결과에 따라 발생 여부가 결정된다.
전통적으로 국내 항공업계의 파업은 주로 조종사 노조 주도로 발생하고 있다. [[조종사]] 노동조합 주도 파업은 다른 여타 노동시장의 그것과는 다른 양상을 보인다. 항공교통의 공공성과 국가 기간 교통망 마비라는 최악의 상황을 예방하기 위해 항공사 파업은 일정 범위로 제한된다. 항공업 파업은 [[필수유지업무]]라는 법적 제한 속에서만 가능하기 때문에 실제 파업이 현실화되어도 파급력이 크지 않다. 이 때문에 실제 파업으로 이어지는 경우는 많지는 않다.


== 대한항공(2001년) ==
== 대한항공(2001년) ==
18번째 줄: 18번째 줄:
== 아시아나항공(2005년) ==
== 아시아나항공(2005년) ==


* 파업기간: 2005년 7월 17일 ~ 8월 19일 (25일)
* 파업기간: 2005년 7월 17일 ~ 8월 10일 (25일)


항공업이 [[필수공익사업장]]으로 지정되는 직접적인 계기가 된 파업이었다.
항공업이 [[필수공익사업장]]으로 지정되는 직접적인 계기가 된 파업이었다.
24번째 줄: 24번째 줄:
2005년 7월 17일부터 8월 10일까지 25일간 파업을 진행해 2328편의 [[운항]] 차질, [[여객]] 피해액 1304억 원, [[화물]] 피해액 965억 원 등 2270억 원의 재산 피해가 발생했다. 관련업계 피해액도 2000억 원([[아시아나항공]] 추산)에 달하자 정부가 '''긴급조정권을 발동시켜 파업을 강제로 중지'''시켰다.
2005년 7월 17일부터 8월 10일까지 25일간 파업을 진행해 2328편의 [[운항]] 차질, [[여객]] 피해액 1304억 원, [[화물]] 피해액 965억 원 등 2270억 원의 재산 피해가 발생했다. 관련업계 피해액도 2000억 원([[아시아나항공]] 추산)에 달하자 정부가 '''긴급조정권을 발동시켜 파업을 강제로 중지'''시켰다.


국내 항공업계 노조 파업 중 최장기간 사례가 됐으며, 이 사건 이후 정부가 항공업을 [[필수공익사업장|필수공익사업]]으로 지정해 최소한의 인력을 유지하도록 제한했다.
국내 항공업계 노조 파업 중 최장기간 사례가 됐으며, 이 사건 이후 정부가 '''항공업을 [[필수공익사업장|필수공익사업]]으로 지정해 최소한의 인력을 유지하도록 제한'''했다.


== 대한항공(2005년) ==
== 대한항공(2005년) ==
41번째 줄: 41번째 줄:


== 아시아나항공(2023년) ==
== 아시아나항공(2023년) ==
* 파업기간: 돌입 전 합의 (6월 7일 ~ 7월 18일, 준법투쟁)
2022년 10월 사측과 임금협상을 시작한 조종사 노조는 사측과의 입장차가 좁혀지지 않자 조합원 찬반투표를 거쳐 6월 7일부터 합법적으로 비행편을 지연시키는 준법투장 방식의 쟁의행위에 들어갔다. 이로 인해 7월 16일까지 [[국제선]] 1편, [[국내선]] 10편이 [[결항]]됐고, 국제선 36편, 국내선 20편이 [[지연]]됐다.
2022년 10월 사측과 임금협상을 시작한 조종사 노조는 사측과의 입장차가 좁혀지지 않자 조합원 찬반투표를 거쳐 6월 7일부터 합법적으로 비행편을 지연시키는 준법투장 방식의 쟁의행위에 들어갔다. 이로 인해 7월 16일까지 [[국제선]] 1편, [[국내선]] 10편이 [[결항]]됐고, 국제선 36편, 국내선 20편이 [[지연]]됐다.


최종 협상이 결렬되자 조종사 노조는 7월 14일 '[[7월 24일]] 파업'을 선언하고 준법투쟁의 강도를 높인 2차 쟁의행위를 시작했다.
최종 협상이 결렬되자 조종사 노조는 7월 14일 '[[7월 24일]] 파업'을 선언하고 준법투쟁의 강도를 높인 2차 쟁의행위를 시작했다.


파업이 예고되며 [[항공권]] [[예약]] 취소가 급증하자 사측이 7월 18일 조종사 노조에 '긴급 협상'을 요청했고 19일 새벽 사측과 기본급·비행수당 2.5% 인상 등에 잠정 합의하면서 24일부터의 파업을 보류했다.
파업이 예고되며 [[항공권]] [[예약]] 취소가 급증하자 사측이 7월 18일 조종사 노조에 '긴급 협상'을 요청했고 19일 새벽 사측과 기본급·비행수당 2.5% 인상 등에 잠정 합의하면서 24일부터의 전면 파업은 보류됐다.


== 아시아나항공(2024년) ==
== 아시아나항공(2024년) ==
* 파업기간: --------------
2023년 11월부터 총 11차례 입금 교섭을 진행했지만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2023년 성과를 고려해 연 8.5% 기본급 인상과 기타 수당 인상을 요구했지만 사측은 연 7.5% 기본급 인상과 비행수당 인상만 수용할 수 있다고 맞섰다.
2023년 11월부터 총 11차례 입금 교섭을 진행했지만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2023년 성과를 고려해 연 8.5% 기본급 인상과 기타 수당 인상을 요구했지만 사측은 연 7.5% 기본급 인상과 비행수당 인상만 수용할 수 있다고 맞섰다.


2024년 4월 5일, 조종사 노조는 임금협상 결렬을 선언하고 서울지방노동위원회에 쟁의 조정을 신청했다.
2024년 4월 5일, 조종사 노조는 임금협상 결렬을 선언하고 서울지방노동위원회에 쟁의 조정을 신청했다.
4월 26일, 양측은 합의안(기본급 7.5% 인상, 안전장려금 100% 인상)을 마련했다. 5월 8일까지 잠정 합의안에 대한 찬반 투표를 실시한다.<ref>[https://www.newspim.com/news/view/20240426001207 아시아나-조종사노조, 기본급 7.5% 인상 잠정 합의(2024.4.26)]</ref>


== 참고 ==
==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