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여닫기
검색
메뉴 여닫기
알림
개인 메뉴 토글
지연
편집하기
(부분)
항공위키
보기
읽기
편집
원본 편집
역사 보기
associated-pages
문서
토론
다른 명령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
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
!
==항공편 지연 기준== 국제적으로 통상 출도착 항공편의 경우에는 [[STD]]/[[STA]]+15분 이내에 출도착했을 때를 정시운항(정시출발, 정시도착)으로 분류하며, 이 기준을 벗어나면 지연(Delay) [[항공편]]으로 처리한다. 항공 데이터 관리 기업인 [[OAG]]가 주로 이 기준으로 항공편 정시율, 지연율을 관리한다. 하지만 지연을 판단하는 기준은 조사하는 기관이나 지역, 국가마다 상이하다. 우리나라 관계 기관이 발표하는 자료의 경우 [[국제선]]은 1시간 이상 지연된 경우를 지연으로 간주한다. ===우리나라 지연 기준=== {| class="wikitable" |- ! 구분 !! 출발 !도착 !비고 |- | 국제선 || [[STD]] + 60분 초과 | - | rowspan="2" |항공기 이착륙 시점을 기준으로 함 |- | 국내선 || STD + 30분 초과 | - |} 우리나라는 기준 시점을 [[이륙]](Take-off), [[착륙]](Landing, Touch-down)을 기준으로 하고 있지만 [[ICAO]] 통계에서는 이륙을 위하여 항공기가 움직이기 시작한 시점부터 착륙 후 최종 정지 시점을 기준으로 한다. === 기타 === [[승객]]의 입장에서는 출발 정시성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지만 실제 여행, 항공기 운항에 있어서 보다 중요하고 의미있는 것은 도착 [[정시성]]이라고 할 수 있다. <ref>[항공상식] [http://www.airtravelinfo.kr/xe/18212 항공기는 정시출발과 정시도착, 어느 것이 더 중요할까?]</ref> ===참고=== * [[연결지연]] * [[지연코드]](Delay Code) * [[결항]]
요약:
항공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자세한 사항은
항공위키: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이 문서를 편집하려면 아래에 보이는 질문에 답해주세요 (
자세한 정보
):
이 위키의 이름은 무엇인가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