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레스코드: 두 판 사이의 차이

574 바이트 추가됨 ,  2017년 8월 10일 (목)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6번째 줄: 6번째 줄:


항공업계에서 특별히 드레스코드를 적용하는 경우는 직원용 [[항공권]]을 소지하고 항공기에 탑승(Pass Rider)할 때가 대부분이다. 직원(혹은 가족)의 신분으로 일반 [[승객]]에게 피해를 주지 않아야 하며 이미지를 실추하지 말아야 한다는 [[항공사]] 자체 판단 때문이다.<ref>[항공컬럼] [http://www.airtravelinfo.kr/xe/1204624 옷차림 이유로 탑승거절? 비행기 타는데 복장 따지는 이유?]</ref>
항공업계에서 특별히 드레스코드를 적용하는 경우는 직원용 [[항공권]]을 소지하고 항공기에 탑승(Pass Rider)할 때가 대부분이다. 직원(혹은 가족)의 신분으로 일반 [[승객]]에게 피해를 주지 않아야 하며 이미지를 실추하지 말아야 한다는 [[항공사]] 자체 판단 때문이다.<ref>[항공컬럼] [http://www.airtravelinfo.kr/xe/1204624 옷차림 이유로 탑승거절? 비행기 타는데 복장 따지는 이유?]</ref>
==항공사별 드레스 코드==
===사우디아항공====
이슬람 문화권 항공사답게 기내에서 주류 제공이 안되는 것은 물론 승객의 복장 규정마저 까다롭다. 여성, 남성 모두 다리를 드러내는 옷을 입어서는 안된다. 따라서 치마, 반바지 등을 착용했을 때는 탑승이 거절될 수도 있다. 아울러 몸매가 그대로 드러나는 얇은 옷 또한 입어서는 안되는 기준 중의 하나다.<ref>[항공소식] ['치마·반바지 안돼!' 사우디아항공 황당한 드레스 코드]</ref>




익명 사용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