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역사(6월 8일) 편집하기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항공역사네비
<div style="float: right; margin-bottom: 10px;">[[항공역사(6월 7일) | 전날]] ↔ [[항공역사(6월 9일) | 다음날]]</div>
| 전날 = 6월 7일
| 다음날 = 6월 9일
}}
[[6월 8일]] 발생한 항공 관련 사건, 사고와 기록
 
===1908년===
===1908년===


{{이미지
| 이미지 = https://airtravelinfo.kr/files/attach/images/35753/836/057/6bcbcbc2dfa7fb2e2cf21ba5877563ef.jpg
| 설명 = Roe I Biplane
|스타일=width: 205px; float: right; margin-left: 15px; clear: right;}}
초창기 비행 개발 시기의 영국 항공연구가였던 Alliot Vernon Roe가 Brooklands, Surrey에서 자신이 만든 비행기(Roe I Biplane)로 최초의 비행에 성공했다. 그는 1910년 자신의 이름을 딴 항공기 제작회사 Avro를 설립해 각종 비행기를 개발하고 생산했다. 1963년 Hawker Siddeley에 합병될 때까지 53년간 70여 종의 항공기를 개발했다.
초창기 비행 개발 시기의 영국 항공연구가였던 Alliot Vernon Roe가 Brooklands, Surrey에서 자신이 만든 비행기(Roe I Biplane)로 최초의 비행에 성공했다. 그는 1910년 자신의 이름을 딴 항공기 제작회사 Avro를 설립해 각종 비행기를 개발하고 생산했다. 1963년 Hawker Siddeley에 합병될 때까지 53년간 70여 종의 항공기를 개발했다.
<div class="img_box">https://airtravelinfo.kr/files/attach/images/35753/836/057/6bcbcbc2dfa7fb2e2cf21ba5877563ef.jpg<br />Roe I Biplane</div>


===1920년===
===1920년===
21번째 줄: 14번째 줄:
사상 최초로 Airco DH.4에 [[여압]] 조절이 가능한 연료공급장치를 장착, 비행에 성공했다. 조종실 [[여압장치]] 활용은 다음 버전인 Airco DH.9A였으며 이로써 8천피트 이상 고도에서도 정상적인 호흡이 가능하게 되었다.  
사상 최초로 Airco DH.4에 [[여압]] 조절이 가능한 연료공급장치를 장착, 비행에 성공했다. 조종실 [[여압장치]] 활용은 다음 버전인 Airco DH.9A였으며 이로써 8천피트 이상 고도에서도 정상적인 호흡이 가능하게 되었다.  


===1955년 ===
===1955년===


독일 [[루프트한자]]의 첫 장거리 항공 노선 운영 (함부르크-뒤셀도르프-섀넌-뉴욕)
독일 [[루프트한자]]의 첫 장거리 항공 노선 운영 (함부르크-뒤셀도르프-섀넌-뉴욕)
27번째 줄: 20번째 줄:
===1959년===
===1959년===


[[콘티넨탈항공]], 자사 첫 제트 항공편 운항 (B707-120 기종)
1.
 
[[콘티넨탈항공]], 자사 첫 제트 항공편 운항 (B707-120 기종)  
 
2.


===1959년 ===
프랑스 단발 엔진 경비행기 Wassmer WA-40, 초도 비행.  
프랑스 단발 엔진 경비행기 Wassmer WA-40, 초도 비행.  


===1959년===
3.
 
로켓 추진 엔진을 장착한 실험용 비행기 North American X-15, 초도 비행. [[마하]] 6.72 라는 속도로 비행하기도 했다.
로켓 추진 엔진을 장착한 실험용 비행기 North American X-15, 초도 비행. [[마하]] 6.72 라는 속도로 비행하기도 했다.


39번째 줄: 36번째 줄:
XB-70 Valkyrie 개발기가 시험 비행 도중, 비행 장면을 촬영하기 위해 함께 비행하던 F-104 Starfighter 와 공중 충돌해 [[조종사]] 모두 사망했다. XB-70 은 단 두 대만 개발되고 중단되었다.
XB-70 Valkyrie 개발기가 시험 비행 도중, 비행 장면을 촬영하기 위해 함께 비행하던 F-104 Starfighter 와 공중 충돌해 [[조종사]] 모두 사망했다. XB-70 은 단 두 대만 개발되고 중단되었다.


{{이미지
<div class="img_box">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7/7c/North_American_XB-70_in_Flight_EC68-2131.jpg/757px-North_American_XB-70_in_Flight_EC68-2131.jpg<br />XB-70</div>
| 이미지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7/7c/North_American_XB-70_in_Flight_EC68-2131.jpg/757px-North_American_XB-70_in_Flight_EC68-2131.jpg
 
| 설명 = XB-70
<div class="img_box">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0/03/F-104_right_side_view.jpg/800px-F-104_right_side_view.jpg<br />F-104 Starfighter</div>
| 스타일 = width: 200px; height: 180px; display: inline-block; float: left;}}
 
{{이미지
===1982년===
| 이미지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0/03/F-104_right_side_view.jpg/800px-F-104_right_side_view.jpg
| 설명 = F-104 Starfighter
| 스타일 = width: 200px; height: 180px; display: inline-block;}}
=== 1982년===


리오데자네이로를 출발해 포탈레자로 비행하던 브라질 [[VASP]] 항공 소속 168편 항공기(B727)가 포탈레자 접근을 위해 하강하던 중 지형지물과 충돌해 탑승자 137명 모두 사망했다.
리오데자네이로를 출발해 포탈레자로 비행하던 브라질 [[VASP]] 항공 소속 168편 항공기(B727)가 포탈레자 접근을 위해 하강하던 중 지형지물과 충돌해 탑승자 137명 모두 사망했다.
63번째 줄: 56번째 줄:
6일부터 싱가포르에서 열린 제 60차 [[IATA]] 연차총회(AGM)에서 항공 비즈니스 단순화와 관련된 5가지 우선 의제를 채택했다.
6일부터 싱가포르에서 열린 제 60차 [[IATA]] 연차총회(AGM)에서 항공 비즈니스 단순화와 관련된 5가지 우선 의제를 채택했다.


#[[전자 항공권]] (ET, ectronic ticketing)
# [[전자 항공권]] (ET, ectronic ticketing)
#[[CUSS]](common use self-service, 무인 수속장비) 확대
# [[CUSS]](common use self-service, 무인 수속장비) 확대
#[[탑승권]] 바코드 기술 도입
# [[탑승권]] 바코드 기술 도입
#[[수하물]] 관리, 추적을 위한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기술 표준화
# [[수하물]] 관리, 추적을 위한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기술 표준화
#다수 항공사간 여객, 화물 연결을 위한 기술/시스템 표준화
# 다수 항공사간 여객, 화물 연결을 위한 기술/시스템 표준화


===2014년===
===2014년===
73번째 줄: 66번째 줄:
밤 11시 20분 경, 파키스탄 카라치 진나(Jinnah)공항에서 무장 괴한(군인) 10명이 항공기와 공항 시설물을 공격해 9일 오전까지 대치 상태가 지속되었다. <ref>[https://airtravelinfo.kr/1038337 파키스탄 카라치공항, 테러로 셧다운]</ref> 파키스탄 탈레반(Tehrik-i-Taliban Pakistan)은 이번 공격이 2013년 북 와지리스탄에서 드론 공격으로 희생된 지도자 Hakimullah Mehsud의 보복이라고 밝혔다. 이 테러로 총 36명(테러범 포함) 사망했다.<ref>[[wikipedia:2014_Jinnah_International_Airport_attack|2014 Jinnah International Airport attack]]</ref>
밤 11시 20분 경, 파키스탄 카라치 진나(Jinnah)공항에서 무장 괴한(군인) 10명이 항공기와 공항 시설물을 공격해 9일 오전까지 대치 상태가 지속되었다. <ref>[https://airtravelinfo.kr/1038337 파키스탄 카라치공항, 테러로 셧다운]</ref> 파키스탄 탈레반(Tehrik-i-Taliban Pakistan)은 이번 공격이 2013년 북 와지리스탄에서 드론 공격으로 희생된 지도자 Hakimullah Mehsud의 보복이라고 밝혔다. 이 테러로 총 36명(테러범 포함) 사망했다.<ref>[[wikipedia:2014_Jinnah_International_Airport_attack|2014 Jinnah International Airport attack]]</ref>


===2015년===
=== 2015년 ===
리투아니아 항공사 에어리투아니카(Air Lituanica), 최종 파산(2015년 5월 22일 운항 중단)
리투아니아 항공사 에어리투아니카, 최종 파산


{{각주}}
{{각주}}




__부분편집숨김__
__부분편집숨김__
[[분류:항공역사]]
항공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자세한 사항은 항공위키: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이 문서를 편집하려면 아래에 보이는 질문에 답해주세요 (자세한 정보):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