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bert Gastambide, 실험용 단엽기 Antoinette II(Gastambide-Mengin monoplane)에 여객(Passenger) 자격으로 탑승했다.
사상 처음 (조종 가능한) 동력 비행기에 탑승한 여객(Passenger)은 라이트 형제의 비행기 개발 회사의 기계공이었던 Charles Furnas다.
[항공역사] 5월 14일, [항공상식] 세계 최초의 항공기 탑승객은 누구?
프랑스 Parachutist Adolphe Pegond가 지상 700 피트 상공에서 낙하해 성공. Adolphe는 비행기에서 낙하를 시도해 지상에 안전하게 착지한 최초의 인물이 됨
Zeppelin LX 120 Bodenese라는 비행선(Airship)으로 베를린에서 첫 정기 여객운송 서비스를 시작한 날
마지막 경식 비행선(Rigid Airship) Graf Zeppelin (LZ 130), 마지막 비행
일본항공, 자사 처음으로 여성 승무원 채용
BAC(British Aircraft Corporation)이 개발한 약 80명 탑승 가능한 단거리 제트 여객기 BAC-111, 초도 비행. 1989년까지 총 244대 생산
아르헨티나에서 개발된 공격·진압용 비행기 FMA IA 58 Pucara, 초도 비행. 약 160대 생산
세기항공 소속 파이퍼체로키 VI 여객기, 안성산에 추락해 국회의원 조창대 등 5명 사망
엘알(El Al) 이스라엘 항공기 승무원들이 런던에서 체류하기 위해 버스로 호텔까지 이동하던 중 괴한들의 총격으로 승무원 2명 사망. 팔레스타인해방기구(PFLP)는 나중에 자신들의 행동이었음을 시인
국산 최초 초음속 비행기 T-50 고등 훈련기(골든 이글) 초도 시험비행 성공

사고 발생 모형
스팬항공 (Spanair, SAS 그룹) 소속 JK5022편(MD-82)이 Madrid에서 출발해 Gran Canaria까지 비행하기 위해 Barajas 공항(마드리드)에서 이륙 후 바로 추락한 사건으로 탑승객 154명이 사망하고 18명이 살아남았다. 스팬항공으로서는 20년 운항 중 처음 낸 인명사고였다.
항공기는 이륙하자마자 2초만에 활주로를 벗어나 오른쪽으로 떨어졌다.
스팬항공에 따르면 조종사는 이륙하기에 너무 더운 외기 온도경고 상태에서 이미 한차례 이륙을 시도하다가 중단한 상태였으며 한 시간 넘게 지연되면서 재차 이륙을 시도하다가 사고가 발생한 것이다.
조사 결과 해당 항공기는 이륙 시 날개(플랩) 각도가 0도로 이륙하기에는 불가능한 상태였으나 경고 시스템이 작동하지 않았다.
사고 항공기(MD-82)는 1993년 대한항공이 도입했으며 1999년부터 스팬항공이 운영해오고 있던 중이었다.
이와 유사한 원인으로 발생했던 항공사고는 노스웨스트항공 소속 255편으로 역시 MD-82 기종이었다.
First Air 소속 6560편 항공기(B737)가 캐나다 Resolute Bay 공항에 도착하던 중 인근 산에 추락해 탑승자 15명 중 12명 사망했다. 오토파일럿, 착륙기기 오류로 인해 활주로를 제대로 찾지 못해 복행을 시도했으나 이미 너무 지상에 근접한 상태였기 때문에 그대로 추락했다.
부조종사는 기기 오류를 의심해 항공기를 복행(Go-Around)시키고 착륙 접근방향을 다시 조정할 것을 제시했으나 주조종사가 이를 무시하고 착륙을 시도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 [2012/09/20] 오늘의 항공역사 (9월 20일) (3755, 1)
- [2011/07/26] 오늘의 항공역사 (7월 26일) (5258, 2)
- [2011/07/23] 오늘의 항공역사 (7월 23일) (6280, 1)
- [2011/07/21] 오늘의 항공역사 (7월 21일) (4725)
- [2011/07/19] 오늘의 항공역사 (7월 19일) (5161, 1)
- [2011/07/13] 오늘의 항공역사 (7월 13일) (4551, 1)
- [2011/07/04] 오늘의 항공역사 (7월 4일) (5562, 1)
No. | Subject | Last Update |
---|---|---|
HOT | 2020년 세계 Top 20 항공사 ·· 에어뉴질랜드 베스트, 대한항공도 순위 | 2019.11.26 |
Notice | 게시글과 항공위키 연계 관련하여 | 2018.02.16 |
Notice | 해외여행(항공) 준비할 것과 여행 팁 (총정리) | 2018.11.25 |
366 | 오늘의 항공역사 (5월 9일)2 | 2019.05.09 |
365 | 오늘의 항공역사 (1월 11일) | 2019.01.11 |
364 | 오늘의 항공역사 (8월 12일) | 2019.08.12 |
363 | 오늘의 항공역사 (8월 14일) | 2019.08.14 |
362 | 오늘의 항공역사 (8월 18일) | 2019.08.18 |
361 | 오늘의 항공역사 (8월 15일) | 2019.08.15 |
360 | 오늘의 항공역사 (8월 17일) | 2019.08.17 |
359 | 오늘의 항공역사 (8월 16일) | 2019.08.16 |
358 | 오늘의 항공역사 (8월 19일) | 2019.08.19 |
오늘의 항공역사 (8월 20일) | 2019.08.20 | |
356 | 오늘의 항공역사 (8월 21일) | 2019.08.21 |
355 | 오늘의 항공역사 (8월 22일) | 2019.08.22 |
354 | 오늘의 항공역사 (8월 23일) | 2019.08.23 |
353 | 오늘의 항공역사 (8월 24일) | 2019.08.24 |
352 | 오늘의 항공역사 (8월 25일) | 2019.08.25 |
351 | 오늘의 항공역사 (8월 26일) | 2019.08.27 |
350 | 오늘의 항공역사 (8월 27일) | 2019.08.27 |
349 | 오늘의 항공역사 (8월 28일) | 2019.08.28 |
348 | 오늘의 항공역사 (8월 29일) | 2019.08.29 |
347 | 오늘의 항공역사 (8월 30일) | 2019.08.30 |
Leave a comment Use WYSIWY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