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여닫기
4.2천
720
370
5.4만
항공위키
개인 메뉴 토글
로그인하지 않음
만약 지금 편집한다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될 수 있습니다.

타타그룹 편집하기

항공위키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Tata logo.svg|섬네일|타타그룹]]타타그룹(Tara Group) : [[에어인디아]] 소유한 인도 그룹
[[파일:Tata logo.svg|섬네일|타타그룹]]


== 개요 ==
==타타그룹(Tara Group)==
1868년 Jamsetji Tata가 설립한 무역 회사로 시작해 성장한 인도 최대 기업집단이다. 항공 부문에서는 산하에 [[에어아시아]]와 합작해 설립한 [[에어아시아 인디아]]와 [[싱가포르항공]]과 합작한 [[비스타라]]를 두고 있다.


==항공산업==
1868년 Jamsetji Tata가 설립한 무역 회사로 시작해 성장한 인도 최대 기업집단이다. 항공 부문에서는 산하에 [[에어아시아]]와 합작해 설립한 에어아시아 인디아와 [[싱가포르항공]]과 합작한 [[비스타라]]를 두고 있다.


타타그룹은 인도 항공 산업과 깊은 역사를 가지고 있다. 인도 [[국영 항공사]]인 [[에어인디아]](1946년)의 전신이라고도 할 수 있는 Tara Airlines(1932년~1946년)를 운영했었으며 1946년 에어인디아로 전환했다. 하지만 에어인디아는 1953년 국영화되면서 정부 소유로 전환되었다.
타타그룹은 인도 항공 산업과 깊은 역사를 가지고 있다. 인도 [[국영 항공사]]인 [[에어인디아]](1946년)의 전신이라고도 할 수 있는 Tara Airlines(1932년~1946년)를 운영했었으며 1946년 에어인디아로 전환했다. 하지만 에어인디아는 1953년 국영화되면서 정부 소유로 전환되었다.
12번째 줄: 11번째 줄:
에어인디아 명성이 쇠퇴하면서 경쟁력을 잃자 인도 정부는 JRD Tata를 다시 이사회로 불러 들였지만 에어인디아의 쇠퇴 경향을 되돌리지는 못했다. 그리고 타타그룹은 항공산업에서 한 발 물러나 있었다.
에어인디아 명성이 쇠퇴하면서 경쟁력을 잃자 인도 정부는 JRD Tata를 다시 이사회로 불러 들였지만 에어인디아의 쇠퇴 경향을 되돌리지는 못했다. 그리고 타타그룹은 항공산업에서 한 발 물러나 있었다.


2013년 타타그룹은 [[에어아시아]]와 합작한 에어아시아 인디아, [[싱가포르항공]]과 합작해 [[비스타라]]를 설립하면서 다시 항공시장으로 돌아왔다. [[에어인디아]]가 쇠락, 파산 위기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가운데 2017년부터 매각을 진행 중이지만 주인을 찾지 못하다가 2020년 말 타타그룹이 인수 의향을 보이고 있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390663 인도 타타그룹, 에어인디아 인수 검토 ·· 실사 들어가]</ref> 2021년 10월 에어인디아 인수에 합의, 2022년 [[1월 27일]] 인수절차를 마무리해 인도 최대 항공그룹으로 부상하게 됐다.
2013년 타타그룹은 [[에어아시아]]와 합작한 에어아시아 인디아, [[싱가포르항공]]과 합작해 [[비스타라]]를 설립하면서 다시 항공시장으로 돌아왔다. [[에어인디아]]가 쇠락, 파산 위기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가운데 2017년부터 매각을 진행 중이지만 주인을 찾지 못하다가 2020년 말 타타그룹이 인수 의향을 보이고 있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390663 인도 타타그룹, 에어인디아 인수 검토 ·· 실사 들어가]</ref>


2022년, 에어아시아 인디아와 에어인디아 익스프레스 통합, 비스타라와 에어인디아 통합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FSC]] 1사, [[LCC]] 1사 체제로 재편하려는 목적으로 분석됐다.
==보유 항공사 현황==
 
===보유 항공사 현황===


{| class="wikitable sortable"
{| class="wikitable sortable"
22번째 줄: 19번째 줄:
! 항공사 !! 설립 !! 지분 !! 비고
! 항공사 !! 설립 !! 지분 !! 비고
|-
|-
| [[에어아시아 인디아]] || 2013년 || 83.67% || [[에어아시아]] 합작 설립
| [[에어아시아 인디아]] || 2013년 || 83.67% || [[에어아시아]](16.33%) 합작 설립
|-
|-
| [[비스타라]] || 2013년 || 51% || [[싱가포르항공]](49%)과 합작 설립
| [[비스타라]] || 2013년 || 51% || [[싱가포르항공]](49%)과 합작 설립
|-
|-
| [[에어인디아]] || 1932년 || 100% || 2022년 1월 인수절차 종료<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446272 타타그룹, 68년 만에 에어인디아 되찾아]</ref><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476543 타타그룹, 에어인디아 인수절차 마무리 … 69년 만에 귀가]</ref>
| [[에어인디아]] || - || - || 2020년 말 인수 의향 표명
|-
|[[에어인디아 익스프레스]]
|2005년
|
|에어인디아 자회사
|}
|}
==참고==
* [[에어인디아]]
* [[JRD Tata]]
* [[인도 항공사 현황]]


{{각주}}
{{각주}}
[[분류:항공사]]
[[분류:항공시장]]
항공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자세한 사항은 항공위키: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이 문서를 편집하려면 아래에 보이는 질문에 답해주세요 (자세한 정보):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