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아웃한 편집자를 위한 문서 더 알아보기
항공위키는 항공, 비행, 여행과 관련된 내용만 취급하고 있습니다.그 외 콘텐츠나, 파일 등은 삭제 혹은 변경될 수 있으니 양해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항공위키는 항공, 비행, 여행과 관련된 내용만 취급하고 있습니다. 그 외 콘텐츠나, 파일 등은 삭제 혹은 변경될 수 있으니 양해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경고: 이 문서의 오래된 판을 편집하고 있습니다. 이것을 게시하면, 이 판 이후로 바뀐 모든 편집이 사라집니다.
xxxxxxxxxx
==쓰러스트 리버서(Thrust Reverser)==
[[항공기]] 제동장치 중 하나로 엔진 추진력의 방향을 바꾸는 장치를 말한다. 제트엔진 추진력은 엔진 앞에서부터 빨아들인 공기를 엔진 뒤로 밀어내는 힘에 의해 [[항공기]]가 앞으로 움직이는 추진력을 얻게 한다. 하지만 항공기가 [[착륙]]해 멈춰설 때 이 엔진의 힘을 바로 멈출 수 없기 때문에 엔진 뒤로 내뿜는 공기의 방향을 옆으로 바꾸어 그 추진력을 감소시켜 제동력을 얻는다.
이때 엔진 외부를 열거나 방향을 바꾸어 공기의 흐름을 바꾸는 장치가 [[트러스트 리버서]](Thrust Reverser)다. 이를 역추진 장치라고 부르기도 하지만 엄밀한 의미에서 역추진 기능은 아니다. 엔진의 [[추력]]을 옆(약간 앞쪽) 방향으로 바꾸는 정도이기 때문이다. 물론 엔진 추력을 힘껏 올린다면 후진이 가능하기도 하지만 ([[파워백]] 절차) 엔진 손상, 연료, 안전 등의 문제로 실제 이렇게 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파일:Thrust reverser.jpg|600px|가운데|엔진으로 유입된 공기 방향을 바꿈으로써 추진력을 감소시키는 장치인 트러스트 리버서]]
항공기를 멈추는 제동의 힘은 [[랜딩기어]]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며, 이 외에도 날개 일부분([[플랩]] 등)을 수직으로 세워 제동의 힘을 얻는다. 트러스트 리버서는 보조 제동장치라고 할 수 있어, [[항공기]] 착륙 능력을 계산할 때 포함시키지는 않는다.
== 사건/사고 ==
* 퍼시픽웨스턴항공 314편 사고(1978년 2월 11일)
* [[일본항공 350편 사고]](1982년) : 도쿄 하네다공항 접근하던 중 조종사가 [[리버서]]를 작동시켜 하네다공항 앞 바다에 추락한 사건으로 24명이 사망했다.
* [[라우다항공 004편 사고]](1991년) : 비행 중 시스템 오류로 [[리버서]]가 작동해 추락, 탑승자 전원 사망했다.
* TAM항공 402편 사고(1996년 10월 31일)
* Kish Air 7170편 사고(2004년 2월 10일)
* TAM항공 3054편 사고(2007년 7월 17일)
==관련 용어==
* [[랜딩기어]](Landing Gear)
* [[파워백]](Powerback)
{{각주}}
이 문서를 편집하려면 아래에 보이는 질문에 답해주세요 (자세한 정보):
현존하는 가장 큰 여객기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