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아웃한 편집자를 위한 문서 더 알아보기
항공위키는 항공, 비행, 여행과 관련된 내용만 취급하고 있습니다.그 외 콘텐츠나, 파일 등은 삭제 혹은 변경될 수 있으니 양해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항공위키는 항공, 비행, 여행과 관련된 내용만 취급하고 있습니다. 그 외 콘텐츠나, 파일 등은 삭제 혹은 변경될 수 있으니 양해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이 아이콘을 클릭하면 언제든지 시각 편집으로 다시 전환할 수 있습니다.
xxxxxxxxxx
== 설명 ==
비행기가 무사히 하늘을 날아 목적지까지 이동하는 데에는 [[조종사]]의 조종 능력뿐만 아니라, [[비행]] 개시, 계속, 변경 및 종료에 이르는 동안 비행항로 선택, 비행거리 산출, 소요[[연료]]량 계산, [[화물]]/[[승객]] 위치 배분, 예상지점 및 시간의 [[항공기상]] 추정 등 각종 항공정보를 확인하는 운항관리가 필요하다. 비행의 핵심에는 이러한 사항을 바탕으로 [[비행계획]]서를 작성하는 운항관리사가 있다.
운항관리사는 [[조종사]], [[정비사]], [[관제사]] 등과 함께 법적으로 정의된 [[항공종사자]]다.
[[항공기]]는 무게와 바람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이에 대한 철저한 조사와 준비가 선행되지 않으면 자칫 큰 사고가 발생할 수 있어, 운항관리사의 역할과 책임은 그만큼 막중하다. 특히 각국의 [[기상]]정보와 제한사항, 북한의 미사일 발사와 같은 돌발 상황 등의 운항정보([[노탐]])를 완벽히 알고 있어야 안전한 [[비행]]을 계획할 수 있다. 또한 비행 도중 갑자기 응급환자가 발생하거나, 돌발사고가 났을 때, 가장 올바른 해결책을 찾아 제시하는 것도 이들의 몫이다. 따라서 운항관리사들은 [[비행기]]가 [[이륙]]할 때부터 [[착륙]]할 때까지 긴장을 늦출 수도 없어 ''''지상의 [[조종사]]''''라고 불리기도 한다.
이 문서를 편집하려면 아래에 보이는 질문에 답해주세요 (자세한 정보):
최초의 동력 비행기를 만든 사람(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