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아웃한 편집자를 위한 문서 더 알아보기
항공위키는 항공, 비행, 여행과 관련된 내용만 취급하고 있습니다.그 외 콘텐츠나, 파일 등은 삭제 혹은 변경될 수 있으니 양해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항공위키는 항공, 비행, 여행과 관련된 내용만 취급하고 있습니다. 그 외 콘텐츠나, 파일 등은 삭제 혹은 변경될 수 있으니 양해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이 아이콘을 클릭하면 언제든지 시각 편집으로 다시 전환할 수 있습니다.
xxxxxxxxxx
== 코로나19 사태 속 유령비행 ==
사상 초유의 사태 [[코로나19]] 팬데믹 속에 항공수요 급감으로 항공기 운항 횟수 축소가 불가피했지만 슬롯 유지 기준을 지키기 위해 [[유령비행]]이 드물지 않게 나타났다. 세계 각국 대부분은 코로나19 사태의 심각성을 감안해 기준 운항 횟수를 충족하지 않아도 [[슬롯]] 권리가 유지되도록 기준 적용을 유예했다.
=== EU 슬롯 원칙 강행과 환경 문제 ===
유럽연합은 2021년 [[동계 시즌]]을 기준으로 60% ([[IATA]] 기준으로는 80%) 이상 운항 횟수 유지해야 슬롯 권리를 유지하도록 방침을 변경했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427520 EU, 슬롯 유지? 유령비행이라도 해라 ·· 원칙 적용 방침]</ref> EU는 의무비행 기준을 50%로 변경해 적용했다. 우리나라는 EU와 별도 협상을 벌여 2021년 [[동계시즌]] 적용 유예를 받아냈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445944 유럽행 유령 항공기 안띄워도 돼 ·· 한·EU 항공편 적용 유예]</ref>
2022년 [[하계 스케줄]](S22)에는 슬롯 유지 원칙(80% 이상 운항)을 적용하겠다는 유럽연합의 강행 방침에 유럽 항공업계는 슬롯 기득권 유지를 위해 유령비행편 운항이 불가피하다며 적용 기준 완화를 요구했지만 유럽엽합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루프트한자]]는 W21 시즌에 빈 비행기 18000여 편을 띄워야 했다며 EU 정책을 비판했다. 이런 갈등은 환경 논란으로 이어졌다. 유령비행편 운항으로 실제 수송 행위는 발생하지 않으면서 무책임하게 탄소배출만 지속된다는 목소리가 그것이었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476035 그린피스, EU 슬롯 고집 때문에 10만 편 유령비행 비판]</ref>
하지만 반대로 상대적으로 슬롯 권리가 크지 않은 [[저비용항공사]]나 신생 항공사들은 EU의 슬롯 기준 적용은 원칙적으로 이뤄져야 한다며 내심 새로운 슬롯 확보 가능성에 기대를 걸었다.
이 문서를 편집하려면 아래에 보이는 질문에 답해주세요 (자세한 정보):
최초의 동력 비행기를 만든 사람(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