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사이드바 토글
항공위키
검색
계정 만들기
개인 도구
계정 만들기
로그인
로그아웃한 편집자를 위한 문서
더 알아보기
토론
기여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관련 사이트
항공여행정보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
라이언에어 4978편 사건
편집하기 (부분)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편집
원본 편집
역사 보기
더 보기
읽기
편집
원본 편집
역사 보기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
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
!
==사건 여파== [[파일:Belarus-blocked-airspace.jpg|섬네일|벨라루스 인근 영공 차단]] 민간 여객기 강제 착륙 사건에 대해 전 세계는 강력한 비난을 쏟아냈다. [[ICAO]]는 트위터를 통해 강제 착륙은 국제항공에 대한 [[시카고 협약]] 위반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고 나토(NATO) 역시 항공기 강제 착륙은 '국제 조사가 필요한 치명적이고 위험한 사고'라고 언급했다. 유럽연합(EU)은 벨라루스 소속 항공사 항공기의 역내 비행을 금지시키고 추가 경제 제재를 가하기로 했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421798 EU, 항공기 강제 착륙 벨라루스 제재 ·· EU 영공 통과 금지 등]</ref> 리투아니아 정부는 가장 먼저 [[5월 25일]] 벨라루스 [[영공]]을 통과한 항공기는 리투아니아 이착륙을 금지시켰다. [[SAS]], [[KLM]], [[루프트한자]], [[핀에어]], [[에어프랑스]] 등 유럽 항공사는 물론 [[싱가포르항공]]도 잇달아 벨라루스 영공 이용 중단에 들어갔다. 26일, 미국과 유럽연합 회원국들은 유엔 산하 국제민간항공기구([[ICAO]])에 사건 조사를 촉구하고 나섰다. 이들은 이번 사건이 '전례가 없고, 용인할 수 없는 행위'라며 책임자 처벌을 촉구했다. 국제 민간 항공기의 안전을 위협했을 뿐 아니라 유럽의 안전규정과 국제법을 무시한 행위였다는 것이다. 27일, 36개국으로 구성된 [[ICAO]] 이사회는 긴급회의를 열고 이 사건에 대해 조사하기로 결정했다. 강제착륙이 명백하고 국제민간항공협약([[시카고협약]])과 관련 부속서를 비롯한 국제항공법을 위반하지 않았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422217 국제항공기구, 여객기 벨라루스 강제착륙 사건 조사 착수 ·· 국제법 위반 여부]</ref> 러시아와 중국은 벨라루스 제재에 반대 입장에 섰다. 벨라루스에 대한 유럽연합의 제재에 반발해 러시아는 일부 유럽 항공사의 모스크바 운항편 가운데 벨라루스 [[영공]]을 우회하는 경우 운항 계획을 불허했다. 이로 인해 [[에어프랑스]], [[오스트리아항공]] 등의 모스크바행 항공편이 잇따라 취소됐다. 하지만 러시아 당국은 벨라루스 우회 신청한 운항편이 급증했기 때문에 허가가 지연된 것이라며 벨라루스 징계에 대한 보복으로 운항 제한을 가하고 있다는 주장을 반박했다. 5월 29일, 에어프랑스 등은 벨라루스 우회 항로를 통한 모스크바 운항 허가를 받았다고 밝혔다. 벨라루스 국적 항공사인 [[벨라비아]]는 유럽연합의 제재로 [[5월 29일]] 기준 유럽의 주요 14개 나라로의 운항이 중단되었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422497 벨라루스 항공기 유럽 10여개 나라 운항 중단]</ref> [[6월 4일]], 유럽연합은 모든 벨라루스 항공사의 EU 역내 [[영공통과]], EU 공항 접근을 금지하는 제한 조치 도입을 결정했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423419 EU, 벨라루스 항공사 역내 영공통과, 이착륙 금지 정식 제재]</ref> 이후 6월 21일, 미국·유럽·영국·캐나다는 공동성명을 통해 벨라루스 당국의 여객기 강제 착륙과 야권 인사 체포에 대해 경제제재에 합의했다.<ref>[https://biz.chosun.com/international/international_general/2021/06/22/IFFR6BU53VHVVIXXQXWKN6T64M/ 미·EU·영국·캐나다, 항공기 ‘강제 착륙’ 벨라루스 경제제재 합의]</ref> 미국 정부는 [[7월 6일]], 이 사건과 관련하여 미국과 벨라루스 간의 여행을 금지하기로 했다. 직항 노선은 없으나 [[인터라인]] 항공권까지 판매를 중지시키는 등 상징적 제재 조치를 이어갔다.
요약:
항공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자세한 사항은
항공위키: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이 문서를 편집하려면 아래에 보이는 질문에 답해주세요 (
자세한 정보
):
현존하는 가장 큰 여객기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