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아웃한 편집자를 위한 문서 더 알아보기
항공위키는 항공, 비행, 여행과 관련된 내용만 취급하고 있습니다.그 외 콘텐츠나, 파일 등은 삭제 혹은 변경될 수 있으니 양해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항공위키는 항공, 비행, 여행과 관련된 내용만 취급하고 있습니다. 그 외 콘텐츠나, 파일 등은 삭제 혹은 변경될 수 있으니 양해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이 아이콘을 클릭하면 언제든지 시각 편집으로 다시 전환할 수 있습니다.
xxxxxxxxxx
==운송 방법==
기본적으로 항공운송에서 반려동물(Pet)은 [[수하물]]로 처리된다. 즉 [[탑승객]]이 소유한 짐([[Baggage]]) 중 하나라는 얘기다. 하지만 승객이 동반하지 않는 반려동물은 다른 여타 생동물과 마찬가지로 [[화물]]([[Cargo]])로 처리되어 운송된다.
[[file:pet_3.jpg|thumb|화물칸에 (화물 혹은 수하물로) 실리는 반려동물]]
===수하물(짐, Baggage)로 운송하는 방식===
가장 일반적인 방식으로 반려동물 크기가 작으면 기내로 휴대하고 탑승([[PETC]])할 수 있으며, 일정 크기를 초과하면 항공기 [[화물칸]]([[AVIH]])으로 보내야 한다. 일반적인 [[수하물]]을 휴대수하물, 위탁수하물로 구분하여 처리하는 것과 같다.
다만 두 경우 모두 반려동물은 용기(케이지)에 넣어 보관해야 하며 운송하는 동안 밖으로 꺼낼 수 없도록 하고 있다. 특히 화물칸으로 보내는 반려동물은 운송 용기(케이지)에서 절대 이탈할 수 없도록 잠금장치 등으로 조치해야 한다. 화물칸은 비행 중에는 사람이 접근할 수 없는 공간이므로 더더욱 주의가 필요하다.
===화물(Cargo)로 운송하는 방식===
[[파일:Pet 1.jpg|섬네일|좌석 아래 보관]]
[[수하물]](Baggage)과 [[화물]](Cargo)의 차이점은 그 소유주와 함께 비행기에 실리느냐 그렇지 않고 물건만 항공기에 탑재되느냐에 따라 구분된다. 국가 혹은 항공사에 따라서는 반려동물(Pet)을 수하물로 처리하지 못하도록 하기도 한다. 영국 및 영연방 국가가 대표적으로 이런 국가로 여행, 혹은 항공편을 이용할 때는 반려동물을 수하물로 부칠 수 없고 화물로 보내야 한다.
이 문서를 편집하려면 아래에 보이는 질문에 답해주세요 (자세한 정보):
이 위키의 이름은 무엇인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