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여닫기
개인 메뉴 토글
로그인하지 않음
만약 지금 편집한다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될 수 있습니다.

권기옥 편집하기

항공위키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Kwon Ki-ok1928.jpg|200px|섬네일|국민혁명군 시절 권기옥 ]]
==권기옥(權基玉)==
{{인물
{{인물
| 직업 = 비행사, 독립운동가, 군인
| 출생 = 1901/1/11
| 출생 = 1901년 [[1월 11일]]
| 사망 = 1988/4/19
| 사망 = 1988년 [[4월 19일]]
| 나이 = {{나이|1901|1|11|1988|4|19}}
| 나이 = {{나이|1901|1|11|1988|4|19}}
| 이미지 = 파일:Kwon Ki-ok1928.jpg
}}
}}


권기옥(權基玉), 우리나라 여성 비행사
우리나라 최초의 여성 [[비행사]]이자 독립운동가다.
==개요==
 
우리나라 최초의 여성 [[비행사]]이자 독립운동가다. 1919년 3·1운동 참여 후 상해로 망명해 윈난항공학교 졸업하고 한국 최초의 여성 비행사가 됐다. 남경 국민정부 항공서 소속으로 독립운동에 참여했으며 해방 후 대한민국 공군 창설의 주역이 됐다.
 
* 1924년 [[7월 5일]], 첫 단독 비행
* 1925년 2월 11일, 비행사 자격 획득(우리나라 여성 최초)


==생애==
==생애==


*1901년 [[1월 11일]], 평안남도 평양 출생
* 1901년 1월 11일, 평안남도 평양 출생
*1917년 5월, 미국인 아트 스미스의 평양 [[곡예 비행]] 관람
* 1917년 5월, 미국인 아트 스미스의 평양 [[곡예 비행]] 관람
*1919년, 3·1 만세 운동에 참여했다가 구금
* 1919년, 3·1 만세 운동에 참여했다가 구금
*1919년, 임시 정부 군자금 모금활동에 참여했다가 체포되어 구금(6개월)
* 1919년, 임시 정부 군자금 모금활동에 참여했다가 체포되어 구금(6개월)
*1920년 봄, 출소 후 브라스밴드단 만들어 지방 순회하며 민중계몽운동과 독립운동 연락 역할 담당
* 1920년 봄, 출소 후 브라스밴드단 만들어 지방 순회하며 민중계몽운동과 독립운동 연락 역할 담당
*1925년 [[2월 11일]], 중화민국 윈난(운남) 항공학교 1기생 졸업, [[비행사]] 자격 획득(우리나라 여성 최초)
* 1925년, 중화민국 윈난 항공학교 1기생 졸업, [[비행사]] 자격 획득(우리나라 여성 최초)
*1932년, 상하이 전투에서 중화민국 소속으로 비행기 전투에 임해 무공훈장 수여
* 1932년, 상하이 전투에서 중화민국 소속으로 비행기 전투에 임해 무공훈장 수여
*1949년, 귀국 후 국회 국방위원회 전문위원으로 한국 공군 창설의 산파 역할
* 1949년, 귀국 후 국회 국방위원회 전문위원으로 한국 공군 창설의 산파 역할
*1957년 ~ 1972년, 한국연감 발행
* 1957년 ~ 1972년, 한국연감 발행
*1977년, 대한민국 건국훈장 국민장 수여
* 1977년, 대한민국 건국훈장 국민장 수여
*1988년 [[4월 19일]], 사망해 국립묘지 안장
* 1988년 4월 19일, 사망해 국립묘지 안장


==참고==
==참고==


*[[이정희]]
* [[이정희]]
*[[박경원]]
* [[박경원]]


{{각주}}
{{각주}}
항공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자세한 사항은 항공위키: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이 문서를 편집하려면 아래에 보이는 질문에 답해주세요 (자세한 정보):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