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내반입금지물품 편집하기

항공위키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6번째 줄: 6번째 줄:
== 종류 ==
== 종류 ==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국내 공항 국제선 기준
|+국내 규정
!구분
!구분
!휴대
!휴대
71번째 줄: 71번째 줄:
* 전염성, 생물학적 위험물질 및 독성물질(농약 등)
* 전염성, 생물학적 위험물질 및 독성물질(농약 등)
|}
|}
세부 물품 검색 사이트: [https://www.avsec365.or.kr/avsc/airsforbid/list.do 항공안전365]
== 일시 금지 사례==
때로는 실질적인 위해 가능성이 없는 물품임에도 불구하고 테러 등 시기에 따라 위해의 목적으로 간접 활용될 수 있는 물품도 일시적으로 기내 반입을 제한하기도 했다.
===노트북, 태블릿 기내반입 금지===
2017년 3월에는 전자기기 배터리가 폭발물로 개조, 악용될 수 있다는 정보로 중동, 북아프리카 일부 지역에서 출발하는 미국행 항공기에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등 전자기기의 기내반입이 금지되기도 했다. 급기야 미국은 이 조치를 전세계 항공편을 대상으로 확대하려는 움직임을 보였고, 항공업계 및 해당 국가가 강하게 반발하자 미국은 보안 조치를 강화하는 조건으로 이 조치를 해제(2017년 7월)했다.
===노트7 기내반입 금지===
2016년 출시된 삼성전자 스마트폰 노트7이 배터리 결함 등으로 잇달아 폭발, 화재가 발생하자 미국 [[FAA]] 및 전세계 [[항공사]]들은 이 노트7 스마트폰 기내반입을 금지했다. 결국 삼성전자는 노트7 제품 전량을 회수하는 극단적인 조치를 취했다. 삼성은 해당 제품의 부품을 활용해 배터리 용량을 줄인 노트FE를 한정 수량 출시했으며 노트FE는 기내반입이 허용됐다.
===맥북 프로 15인치 반입·수송 금지===
2019년 8월 미국 연방항공청([[FAA]])은 애플 맥북 프로 15인치 모델 일부에 대해 항공기 기내 반입은 물론 [[수하물]] 위탁도 금지시켰다. 배터리 과열로 인한 화재 위험성을 이유로 들었다. 금지 조치된 모델은 2015년 9월에서 2017년 2월 사이에 생산, 판매된 맥북 프로 15인치 노트북이다.
==참고==
*[[액체류 기내 반입 제한]]
*[[3-1-1 Rule]]
*[[리튬이온 배터리]]
*[[전자담배]]
{{각주}}
{{각주}}
[[분류:항공안전]]
[[분류:수하물]]
[[분류:여객]]
항공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자세한 사항은 항공위키: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이 문서를 편집하려면 아래에 보이는 질문에 답해주세요 (자세한 정보):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