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여닫기
개인 메뉴 토글
로그인하지 않음
만약 지금 편집한다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될 수 있습니다.

라이언에어 4978편 사건 편집하기

항공위키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라이언에어 4978편 사건
==라이언에어 4978편 강제 착륙==


비행 중이던 아일랜드 [[저비용항공사]] [[라이언에어]] 여객기가 벨라루스 당국에 의해 강제로 착륙한 사건이다.<ref>[https://airtravelinfo.kr/happening/1421723 벨라루스, 반정부 인사 체포 외국 여객기 강제 착륙(2021/5/24)]</ref>
비행 중이던 아일랜드 [[저비용항공사]] [[라이언에어]] 여객기가 벨라루스 당국에 의해 강제로 착륙한 사건이다.<ref>[https://airtravelinfo.kr/happening/1421723 벨라루스, 반정부 인사 체포 외국 여객기 강제 착륙(2021/5/24)]</ref>


==사건 개요==
==개요==


* 항공편: 라이언에어 4978편
* 항공편 : 라이언에어 4978편
* 구간: 아테네(그리스) - 빌니우스(리투아니아)
* 구간 : 아테네(그리스) - 빌니우스(리투아니아)
* 일자: 2021년 [[5월 23일]]
* 일자 : 2021년 [[5월 23일]]
* 내용: 벨라루스 영공 비행 중 벨라루스 당국의 요구로 수도 민스크에 착륙, 이후 승객 2명 체포
* 내용 : 벨라루스 영공 비행 중 벨라루스 당국의 요구로 수도 민스크에 착륙, 이후 승객 2명 체포


==발생 경위==
==발생 경위==
20번째 줄: 20번째 줄:
항공기는 약 2시간 30분 동안의 보안 검사 등을 거치며 7시간 후인 오후 8시 47분 민스크공항에서 이륙해 오후 9시 27분 빌니우스에 무사히 도착했다. 항공기에서 벨라루스 보안요원으로 보이는 벨라루스 국적자 1명과 러시아 국적자 3명은 탑승을 하지 않았다.
항공기는 약 2시간 30분 동안의 보안 검사 등을 거치며 7시간 후인 오후 8시 47분 민스크공항에서 이륙해 오후 9시 27분 빌니우스에 무사히 도착했다. 항공기에서 벨라루스 보안요원으로 보이는 벨라루스 국적자 1명과 러시아 국적자 3명은 탑승을 하지 않았다.


==사건 여파==
==사건 이후==
[[파일:Belarus-blocked-airspace.jpg|섬네일|벨라루스 인근 영공 차단]]
[[파일:Belarus-blocked-airspace.jpg|섬네일|벨라루스 인근 영공 차단]]
민간 여객기 강제 착륙 사건에 대해 전 세계는 강력한 비난을 쏟아냈다. [[ICAO]]는 트위터를 통해 강제 착륙은 국제항공에 대한 [[시카고 협약]] 위반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고 나토(NATO) 역시 항공기 강제 착륙은 '국제 조사가 필요한 치명적이고 위험한 사고'라고 언급했다.  
민간 여객기 강제 착륙 사건에 대해 전 세계는 강력한 비난을 쏟아냈다. [[ICAO]]는 트위터를 통해 강제 착륙은 국제항공에 대한 [[시카고 협약]] 위반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고 나토(NATO) 역시 항공기 강제 착륙은 '국제 조사가 필요한 치명적이고 위험한 사고'라고 언급했다.  
36번째 줄: 36번째 줄:
벨라루스 국적 항공사인 [[벨라비아]]는 유럽연합의 제재로 [[5월 29일]] 기준 유럽의 주요 14개 나라로의 운항이 중단되었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422497 벨라루스 항공기 유럽 10여개 나라 운항 중단]</ref>
벨라루스 국적 항공사인 [[벨라비아]]는 유럽연합의 제재로 [[5월 29일]] 기준 유럽의 주요 14개 나라로의 운항이 중단되었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422497 벨라루스 항공기 유럽 10여개 나라 운항 중단]</ref>


[[6월 4일]], 유럽연합은 모든 벨라루스 항공사의 EU 역내 [[영공통과]], EU 공항 접근을 금지하는 제한 조치 도입을 결정했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423419 EU, 벨라루스 항공사 역내 영공통과, 이착륙 금지 정식 제재]</ref> 이후 6월 21일, 미국·유럽·영국·캐나다는 공동성명을 통해 벨라루스 당국의 여객기 강제 착륙과 야권 인사 체포에 대해 경제제재에 합의했다.<ref>[https://biz.chosun.com/international/international_general/2021/06/22/IFFR6BU53VHVVIXXQXWKN6T64M/ 미·EU·영국·캐나다, 항공기 ‘강제 착륙’ 벨라루스 경제제재 합의]</ref>
[[6월 4일]], 유럽연합은 모든 벨라루스 항공사의 EU 역내 [[영공통과]], EU 공항 접근을 금지하는 제한 조치 도입을 결정했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423419 EU, 벨라루스 항공사 역내 영공통과, 이착륙 금지 정식 제재]</ref>


미국 정부는 [[7월 6일]], 이 사건과 관련하여 미국과 벨라루스 간의 여행을 금지하기로 했다. 직항 노선은 없으나 [[인터라인]] 항공권까지 판매를 중지시키는 등 상징적 제재 조치를 이어갔다.
{{각주}}
 
== 사건 조사 ==
2022년 [[7월 19일]], 유엔 산하 전문기구인 국제민간항공기구([[ICAO]])는 여객기 강제 착륙의 배후에는 벨라루스 정부 고위층이 있다는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폭발물 위협은 의도적인 거짓말이었고 벨라루스 정부 고위층의 지시로 이뤄진 것으로 드러났다"며 국제민간항공협약([[시카고 협약]]) 위반이라고 밝혔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503438 ICAO, "여객기 강제착륙 배후는 벨라루스 고위층"]</ref>
 
== 기타 ==
라만 프라타세비치는 벨라루스에서 재판이 진행 중이다.(2022년 7월 기준) 함께 체포된 여자 친구는 2022년 5월 불온한 텔레그램 채널 운영 혐의로 징력 6년을 선고받았다.{{각주}}
 
[[분류:항공사고]]
[[분류:라이언에어]]
항공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자세한 사항은 항공위키: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이 문서를 편집하려면 아래에 보이는 질문에 답해주세요 (자세한 정보):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