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여닫기
개인 메뉴 토글
로그인하지 않음
만약 지금 편집한다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될 수 있습니다.

미국-중동 항공업계 불법 보조금 갈등(2015년) 편집하기

항공위키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0번째 줄: 10번째 줄:
2015년 4월, 미국 정부는 자국 항공사들의 주장(중동 항공사에 대한 정부 불법 보조금 지급)에 대한 조사에 들어갔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103226 미 정부, 걸프 항공사들 불공정 경쟁 이슈에 대해 조사에 착수키로] (2015/4/12)</ref>
2015년 4월, 미국 정부는 자국 항공사들의 주장(중동 항공사에 대한 정부 불법 보조금 지급)에 대한 조사에 들어갔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103226 미 정부, 걸프 항공사들 불공정 경쟁 이슈에 대해 조사에 착수키로] (2015/4/12)</ref>


이에 대해 [[에티하드항공]]을 비롯한 중동 3개 항공사가 일제히 미국 항공업계의 주장을 반박하며 미국 항공업계가 미국 정부로부터 700억 달러에 달하는 채무를 탕감받는 등 오히려 불공정한 지원을 받은 것이라고 주장했다. 아울러 자신들은 WTO에서 명시한 보조금 기준을 위반하지 않았다고 밝히며 양국/지역간의 오픈스카이를 끌어들이는 것은 합당치 않다고 주장했다.<ref>[https://airtravelinfo.kr/column/1104741 중동 항공사, 세계 항공업계와 제 2의 걸프전?] (2015/4/22)</ref><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112169 에티하드, 미국 항공사 적반하장 비난 (불법 보조금 전쟁)] (2015/6/2)</ref><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197361 미국 항공사들, 트럼프 정부에 중동계 불공정 항의서신] (2017/2/8)</ref>
이에 대해 [[에티하드항공]]을 비롯한 중동 3개 항공사가 일제히 미국 항공업계의 주장을 반박하며 미국 항공업계가 미국 정부로부터 700억 달러에 달하는 채무를 탕감받는 등 오히려 불공정한 지원을 받은 것이라고 주장했다. 아울러 자신들은 WTO에서 명시한 보조금 기준을 위반하지 않았다고 밝히며 양국/지역간의 오픈스카이를 끌어들이는 것은 합당치 않다고 주장했다.<ref>[https://airtravelinfo.kr/column/1104741 중동 항공사, 세계 항공업계와 제 2 의 걸프전?] (2015/4/22)</ref><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112169 에티하드, 미국 항공사 적반하장 비난 (불법 보조금 전쟁)] (2015/6/2)</ref><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197361 미국 항공사들, 트럼프 정부에 중동계 불공정 항의서신] (2017/2/8)</ref>


유럽 지역 항공사들도 이 갈등에 뛰어 들었다. 유럽 지역 역시 이들 3개 중동 항공사의 공격적인 마케팅과 노선 확장 탓에 몸살을 앓고 있기 때문이었다. 특히 이들 항공사들이 유럽 다수의 중소규모 항공사들을 인수하거나 제휴, 혹은 [[공항]] 지분을 인수하는 방식으로 시장을 침투하자 유럽 항공업계가 느끼는 위기감은 적지 않았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111662 유럽도 걸프항공사들과의 전쟁 모드 돌입] (2015/5/29)</ref>
유럽 지역 항공사들도 이 갈등에 뛰어 들었다. 유럽 지역 역시 이들 3개 중동 항공사의 공격적인 마케팅과 노선 확장 탓에 몸살을 앓고 있기 때문이었다. 특히 이들 항공사들이 유럽 다수의 중소규모 항공사들을 인수하거나 제휴, 혹은 [[공항]] 지분을 인수하는 방식으로 시장을 침투하자 유럽 항공업계가 느끼는 위기감은 적지 않았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111662 유럽도 걸프항공사들과의 전쟁 모드 돌입] (2015/5/29)</ref>
16번째 줄: 16번째 줄:
이 갈등으로 인해 미국 항공사들과 중동 항공사들은 서로 체결했던 제휴를 중단했다. [[공동운항]] 중단은 물론 심지어 같은 [[항공동맹체]]임에도 불구하고 협력은 기대하기 어려워 그 유대감마저 흔들게 되었고 원월드 항공동맹체 해체 우려까지 제기됐다.<ref>[https://airtravelinfo.kr/column/1113941 항공동맹체 원월드(Oneworld) 해체될 것인가?] (2015/6/11)</ref> 그 과정에서 이들 항공업계는 서로 사소한 것까지 상호 비난하는 등 관계 악화는 지속됐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204970 카타르항공 CEO, '미국행 항공편 전자제품 휴대 금지' 비난] (2017/3/30)</ref><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219074 카타르항공, 美 항공사 갈등 개선 대신 역공 'AA 주식 매입'] (2017/7/7)</ref><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262861 카타르항공, 단교·美항공업계 '두렵지 않아'] (2018/3/11)</ref>
이 갈등으로 인해 미국 항공사들과 중동 항공사들은 서로 체결했던 제휴를 중단했다. [[공동운항]] 중단은 물론 심지어 같은 [[항공동맹체]]임에도 불구하고 협력은 기대하기 어려워 그 유대감마저 흔들게 되었고 원월드 항공동맹체 해체 우려까지 제기됐다.<ref>[https://airtravelinfo.kr/column/1113941 항공동맹체 원월드(Oneworld) 해체될 것인가?] (2015/6/11)</ref> 그 과정에서 이들 항공업계는 서로 사소한 것까지 상호 비난하는 등 관계 악화는 지속됐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204970 카타르항공 CEO, '미국행 항공편 전자제품 휴대 금지' 비난] (2017/3/30)</ref><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219074 카타르항공, 美 항공사 갈등 개선 대신 역공 'AA 주식 매입'] (2017/7/7)</ref><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262861 카타르항공, 단교·美항공업계 '두렵지 않아'] (2018/3/11)</ref>


미국 정부의 조사 등 압박이 현실화되면서 2018년 들어 상황은 전환되기 시작했다. 먼저 카타르항공이 1년 내 자사의 재무상태를 투명하게 공개하기로 미국 당국과 합의했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255223 카타르항공, 美에 1년 내 재무상태 공개 약속]</ref> 이어 에미레이트항공, 에티하드항공 역시 국제 회계기준에 근거한 재무구조를 공개하기로 하면서 갈등 국면은 수면 아래로 내려가기 시작했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272054 미국·UAE, 중동 항공사 투명성 공개 합의] (2018/5/12)</ref><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273708 美·중동 항공사 투명성 합의 후 델타 인도 취항 결정] (2018/5/25)</ref>
미국 정부의 조사 등 압박이 현실화되면서 2018년 들어 상황은 전환되기 시작했다. 먼저 카타르항공이 1년 내 자사의 재무상태를 투명하게 공개하기로 미국 당국과 합의했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255223 카타르항공, 美에 1년 내 재무상태 공개 약속]</ref> 이어 에미레이트항공, 에티하드항공 역시 국제 회계기준에 근거한 재무구조를 공개하기로 하면서 갈등 국면은 수면 아래로 내려가기 시작했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272054 미국·UAE, 중동 항공사 투명성 공개 합의] (2018/5/12)</ref>


2020년 아메리칸항공-카타르항공이 광범위한 파트너십을 재개했으며 2022년 9월 유나이티드항공 역시 에미레이트항공과의 파트너십을 재개하면서 표면적인 갈등은 해소되었다.<ref>[https://skift.com/2020/02/25/american-airlines-and-qatar-airways-agree-to-make-up-and-work-together-again/ American Airlines and Qatar Airways Agree to Make Up and Work Together Again] (2020/2/25)</ref><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507252 중동·미주 항공업계 화해 무드 … UA·EY 파트너십 재개]</ref>{{각주}}
과 함께 미국, 유럽 항공사들과 큰 갈등을 겪었다. 결국 중동 3개 항공사들은 투명한 재무구조를 공개한다는 입장을 취하면서 갈등이 다소 수그러들긴 했으나 미국 및 유럽 항공사들의 견제는 지속되고 있다.


[[분류:항공시장]]
배경
[[분류:항공정책]]
 
미국, 유럽 항공업계의 견제와 함께 잇따른 타 항공사 지분 인수를 통한 확장 전략이 실패하면서 2010년 후반 성장세는 한풀 꺾였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2018년, 중동 항공사들이 투명한 재무구조 공개를 약속하고 시행하면서 미국 항공사들과의 갈등은 소강 국면으로 전환됐다. 2020년 아메리칸항공-카타르항공이 광범위한 파트너십을 재개했으며 2022년 9월 유나이티드항공 역시 에미레이트항공과의 파트너십을 재개하면서 표면적인 갈등은 해소되었다.
{{각주}}
항공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자세한 사항은 항공위키: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이 문서를 편집하려면 아래에 보이는 질문에 답해주세요 (자세한 정보):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