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항공사 취소/지연 보상 편집하기

항공위키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미국 주요 항공사 취소/지연 보상 기준과 내용
==주요 항공사 취소/지연 보상==


== 설명 ==
유럽이나 우리나라, 중국 등의 경우에는 여객 권리 보호를 위해 [[불가항력]]적 요인과 관계없는 항공편 취소([[결항]]), [[지연]] 등에 대한 보상 체계가 정해져 있으며 국가 차원에서 보상 체계가 없는 미국 등의 경우에는 [[항공사]]별로 독자적인 보상 체계를 운용하고 있다.
유럽이나 우리나라, 중국 등의 경우에는 여객 권리 보호를 위해 [[불가항력]]적 요인과 관계없는 항공편 취소([[결항]]), [[지연]] 등에 대한 보상 체계가 정해져 있으며 국가 차원에서 보상 체계가 없는 미국 등의 경우에는 [[항공사]]별로 독자적인 보상 체계를 운용하고 있다. 그러나 해당 항공사가 유럽이나 우리나라 등을 운항하는 항공편에서 [[지연]], [[결항]]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해당 지역/국가 규정에 따라 보상받을 수 있다.


==취소/결항 보상 체계==
==취소/결항 보상 체계==
17번째 줄: 16번째 줄: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
! 항공사 !! 3 시간 이상 지연 !! 밤샘 필요
! 항공사 !! 3 ~ 4시간 미만 !! 4 ~ 5시간 미만 !! 5 ~ 6시간 미만 !! 6시간 이상 !! 비고
|-
|-
|[https://www.aa.com/i18n/customer-service/support/customer-service-plan.jsp 아메리칸항공]|| 식사권 || 숙박 제공(호텔 등 시설 가능 시)
| [[제트블루]] || 50달러 || 100달러 || 150달러 || 200달러 || 탑승 후 지연([[타막 딜레이]])는 1시간 이상부터 보상(50 ~ 250달러)
|-
|-
|[https://www.delta.com/us/en/legal/customer-commitment 델타항공]|| 식사권 ||[[미스커넥션]]으로 인한 밤샘 필요 시 숙박 제공
| 유나이티드항공 || - || colspan="3" | 보상 있음 || 지연 보상 요청이 있는 경우에만 바우처 제공
|-
|[https://www.united.com/en/us/fly/customer-commitment-print.html 유나이티드항공]|| 식사권 || 숙박 제공(자체 숙박 시 200달러까지 지원)
|-
|[https://www.southwest.com/assets/pdfs/corporate-commitments/customer-service-plan.pdf 사우스웨스트항공]
|식사권
|숙박 제공([[불가항력]] 상황 미제공)
|-
| [https://www.jetblue.com/legal/customer-service-plan 제트블루] || 식사권(12달러) || 숙박 제공
|-
|[https://www.alaskaair.com/content/about-us/customer-commitment/customer-commitment-overview 알래스카항공]
|식사권
|숙박 제공
|-
|[https://www.flyfrontier.com/legal/customer-service-plan 프론티어항공]
|식사권
|숙박 제공(요청 )
|-
|[https://www.hawaiianairlines.com/about-us/customer-service-plan 하와이안항공]
|식사권
|숙박 제공
|-
|얼리전트
| -
| -
|}
|}


===코로나19 수요 회복과 미국의 정책 변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으로부터 회복되던 2022년 미국 항공업계는 수요 회복 대비 항공산업 체계 회복이 더뎌지며 대규모 항공편 지연, 결항이 속출했다. 미국 정부는 소비자 권리를 보호하기 위해 3시간 이상 지연 시 식사권 제공, 밤샘 발생 시 숙박권을 제공하도록 권고했고 8월 말, 내부적으로만 운용하던 보상 체계를 미국 항공업계 대부분 공개적으로 알렸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507464 미 항공업계, 지연 시 의무 서비스 내용 공식화]</ref><ref>[https://www.transportation.gov/airconsumer/airline-customer-service-dashboard Airline customer service dashboard]</ref>
== 참고 ==
* [[Obligatory Service]] : 항공사 사정으로 인한 [[지연]], [[결항]]에 대한 일종의 보상 서비스
* [[소비자분쟁해결기준]]
* [[지연 보상금]]
{{각주}}
{{각주}}
[[분류:비정상운항]]
[[분류:여객]]
항공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자세한 사항은 항공위키: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이 문서를 편집하려면 아래에 보이는 질문에 답해주세요 (자세한 정보):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