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여닫기
개인 메뉴 토글
로그인하지 않음
만약 지금 편집한다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될 수 있습니다.

수소 항공기 편집하기

항공위키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수소 항공기(Hydrogen Aircraft) : 수소를 연료로 하는 비행기·항공기
== 수소 항공기(Hydrogen Aircraft) ==
수소를 연료로 하는 비행기·항공기이다.


== 개요 ==
환경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항공부문에서도 탄소배출 감축, 제로를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등장한 대안 항공기 중 하나이다. 가장 먼저 등장한 것이 전기 비행기이지만 추력 속도 등의 한계로 작은 비행기 수준에 머물러 있으며 실질적으로 대형 장거리 수송에는 수소 연료가 현실적인 대안이다.
[[파일:Airbus-htdrogen-aircraft-img-1.jpg|섬네일|200x200픽셀|에어버스 수소 항공기 이미지]]환경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항공부문에서도 탄소배출 감축, 제로를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등장한 대안 항공기 중 하나다. 가장 먼저 등장한 것이 [[전기 비행기]]이지만 [[추력]], 속도 및 [[항속]] 능력 등의 한계로 작은 비행기 수준에 머물러 있으며 실질적으로 대형 장거리 수송에는 수소 연료가 현실적인 대안이라는 것이 일반적인 분석이다.  


== 개발 ==
== 개발 ==
화석 연료 대체 수단으로서 수소 가능성은 제법 오래 전부터 제기됐다. 1988년에는 소련의 [[투폴레프]] Tu-154 기종을 기반으로 액화 수소 엔진을 장착한 Tu-155 기종의 비행 실험(1988년 [[4월 15일]])이 있었다. Tu-156 개발 계획이 있었으나 소련의 붕괴로 실현되지 못했다.{{이미지
[[파일:Airbus-htdrogen-aircraft-img-1.jpg|섬네일|200x200픽셀|에어버스 수소 항공기 이미지]]
2020년 9월, [[에어버스]]는 2035년까지 수소 항공기를 상용 부문에 적용할 예정이라고 밝혔다.<ref>[https://nownews.seoul.co.kr/news/newsView.php?id=20210503601003 초전도 수소항공기 개발에 도전하는 에어버스]</ref>
 
{{이미지
| 이미지 = https://airtravelinfo.kr/files/attach/images/185/537/465/001/5fd5171ab624043aa4f893676fd5e5d2.jpg
| 이미지 = https://airtravelinfo.kr/files/attach/images/185/537/465/001/5fd5171ab624043aa4f893676fd5e5d2.jpg
| 설명 = ATI 콘셉트
| 설명 = ATI 콘셉트
| 스타일 = width: 203px; float: right; margin-left: 15px; clear: right;
| 스타일 = width: 203px; float: right; margin-left: 15px; clear: right;
}}
}}
2021년 12월, 영국 ATI(Aerospace Technology Institute)가 279명 탑승하는 대형 수소 항공기 콘셉트(이미지)를 공개했다. 런던-샌프란시스코 등 대서양 횡단 가능한 비행 능력을 목표로 하고 있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465537 영국, 탄소배출 "제로" 대형 수소 항공기 콘셉트 공개]</ref>


=== 에어버스 ===
==난제==
본격적인 수소 항공기 개발 움직임은 2020년대 들어서면서 나타나기 시작했다.
 
2020년 9월, [[에어버스]]는 2035년까지 [[수소 항공기]]를 상용 부문에 적용할 예정이라고 밝혔다.<ref>[https://nownews.seoul.co.kr/news/newsView.php?id=20210503601003 초전도 수소항공기 개발에 도전하는 에어버스]</ref> 2023년 에어버스는 [[에어뉴질랜드]], 크라이스트처치공항, FFI 등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Q300 항공기를 기반으로 2026년부터 첫 상업 비행을 계획하고 있다.<ref>[https://simpleflying.com/airbus-air-new-zealand-hydrogen-hub/ Airbus & Air New Zealand Partner To Deploy New Hydrogen Hub]</ref>
{{참고
| 참고1 = ZEROe
| 참고2 =
| 참고3 =
}}
 
=== ATI ===
2021년 12월, 영국 ATI(Aerospace Technology Institute)가 279명 탑승하는 대형 수소 항공기 콘셉트(이미지)를 공개했다. 런던-샌프란시스코 등 대서양 횡단 가능한 비행 능력을 목표로 하고 있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465537 영국, 탄소배출 "제로" 대형 수소 항공기 콘셉트 공개]</ref>{{이미지
| 이미지 = http://cdn.gasnews.com/news/photo/202212/108346_78575_1672099898.jpg
| 설명 = ZeroAvia 19인승 수소전기 항공기
| 스타일 = width: 203px; float: right; margin-left: 15px; clear: right;
}}
=== ZeroAvia ===
{{온글
| 온글 = ZeroAvia
}}{{:ZeroAvia}}
[[파일:Univeral hydrogen dash-8.jpg|섬네일|Universal Hydrogen Dash-8]]
 
=== Universal Hydrogen ===
{{온글
| 온글 = Universal Hydrogen
}}{{:Universal Hydrogen}}
 
=== H2FLY ===
{{온글
| 온글 = H2FLY
}}{{:H2FLY}}
 
===ecojet ===
{{온글
| 온글 = Ecojet
}}{{:Ecojet}}
 
=== HIA ===
2023년 영국 기업들이 공동으로 설립한 수소 항공기 동맹이다. 롤스로이스, [[이지제트]], [[에어버스]], 오스테드, GKN항공, 브리스 등이 참여했다.<ref>[https://www.h2news.kr/news/article.html?no=11279 英 수소 항공 분야 가속화 초읽기 … HIA 출범(2023.9.6)]</ref>
 
==난제 ==


===기술적 측면===
===기술적 측면===
일반 항공유 대부분은 항공기 날개 내부의 연료탱크에 보관하지만 수소 연료는 날개가 아닌 [[항공기 가동율|항공기]] 동체에 보관하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 압축가스 형태는 공간을 많이 차지하기 때문에 액체 상태로 연료 탱크에 저장하는 방안이 가장 유망하다.
일반 항공유 대부분은 항공기 날개 내부의 연료탱크에 보관하지만 수소 연료는 날개가 아닌 항공기 동체에 보관하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 압축가스 형태는 공간을 많이 차지하기 때문에 액체 상태로 연료 탱크에 저장하는 방안이 가장 유망하다.


===경제성===
===경제성===
64번째 줄: 28번째 줄:
*[[코르시아]]
*[[코르시아]]
{{각주}}
{{각주}}
[[분류:항공기]]
[[분류:항공시장]]
항공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자세한 사항은 항공위키: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이 문서를 편집하려면 아래에 보이는 질문에 답해주세요 (자세한 정보):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