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여닫기
개인 메뉴 토글
로그인하지 않음
만약 지금 편집한다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될 수 있습니다.

아메리칸항공 587편 사고 편집하기

항공위키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2번째 줄: 2번째 줄:


== 개요 ==
== 개요 ==
2001년 미국 JFK공항 이륙한 [[아메리칸항공]] 587편 항공기(A300)가 선행 항공기 후류로 인한 난기류([[Wake Turbulence]])에서 벗어나려다가 수직꼬리날개가 파손되면서 추락해 탑승자 및 지상에서 265명이 사망한 사고다.
2001년 미국 JFK공항 이륙한 [[아메리칸항공]] 587편 항공기(A300)가 선행 항공기 [[후류]]로 인한 난기류에서 벗어나려다가 수직꼬리날개가 파손되면서 추락해 탑승자 및 지상에서 265명이 사망한 사고다.


== 사고 항공편 정보 ==
== 사고 항공편 정보 ==
12번째 줄: 12번째 줄:
* 출발지: JFK공항 (JFK/KJFK), 미국
* 출발지: JFK공항 (JFK/KJFK), 미국
* 목적지: 라스아메리카스공항 (SDQ/MDSD), 산토도밍고/도미니카 공화국
* 목적지: 라스아메리카스공항 (SDQ/MDSD), 산토도밍고/도미니카 공화국
* [[승무원]]: 9명 (9명 사망)
* 승무원: 9명 (9명 사망)
* [[탑승객]]: 251명 (251명 사망)
* 탑승객: 251명 (251명 사망)
* 추가: 5명 사망 (지상)
* 추가: 5명 사망 (지상)


27번째 줄: 27번째 줄:


== 사고 원인 ==
== 사고 원인 ==
부기장이 [[일본항공]] 항공기로 인해 생긴 [[난기류]]를 빠져 나가려 했다. 하지만 꼬리날개 방향타([[러더]])를 좌우로 급격하게 5번이나 틀었고 이것은 수직꼬리날개 설계 하중을 넘어선 힘이 가해졌다. (일본항공 B747 항공기 후류로 인한 실제 영향은 1,2도 방향 틀어짐에 그칠 정도로 미약했다.)
부기장이 [[일본항공]] 항공기로 인해 생긴 [[난기류]]를 빠져 나가려 했다. 하지만 꼬리날개 방향타([[러더]])를 좌우로 급격하게 5번이나 틀었고 이것은 엄청난 공기 저항을 만들어 꼬리날개가 떨어져 나간 원인이 됐다.


조사 결과, 조종사의 러더 조작은 훈련 받은 대로 한 행동이었다. 아메리칸항공은 비행 중 난기류를 만났을 때 그렇게 조작하도록 규정하고 있었다. 문제는 [[시뮬레이터]] 훈련에서 B747이나 A380 등의 대형 항공기 후류 효과가 과도하게 묘사되어 있었고 강한 후류에 잘 대응하도록 훈련하면 약한 후류에서는 보다 쉽게 탈출할 수 있을 것이라는 믿음 때문에 시뮬레이션 후류를 과도하게 설정했다. 이 때문에 조종사들은 훈련 시 강한 후류에서 벗어나기 위해 러더 조작 역시 강하게 하는데 익숙해질 수밖에 없었다.
조사 결과, 조종사의 러더 조작은 훈련 받은 대로 한 행동이었다. 아메리칸항공은 비행 중 난기류를 만났을 때 그렇게 조작하도록 규정하고 있었다. 문제는 [[시뮬레이터]] 훈련에서 B747이나 A380 등의 대형 항공기 후류 효과가 과도하게 묘사되어 있었고 강한 후류에 잘 대응하도록 훈련하면 약한 후류에서는 보다 쉽게 탈출할 수 있을 것이라는 믿음 때문에 시뮬레이션 후류를 과도하게 설정했다. 이 때문에 조종사들은 훈련 시 강한 후류에서 벗어나기 위해 러더 조작 역시 강하게 하는데 익숙해질 수밖에 없었다.
 
NTSB는 과장된 (비현실적인) 시뮬레이터 훈련이 부기장에게 [[Wake Turbulence]]에 대한 잘못된 이해와 공격적이고 과잉 회복(Recovery) 조작 습관을 갖게 했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 기타 ==
== 기타 ==
[[조종사]]들 사이에서는 A300 기종의 방향타(러더)가 너무 민감하다는 주장이 있었다. 조사 결과 실제로 다른 항공기에 비해 민감한 편이었고 [[NTSB]]는 제조사인 [[에어버스]]가 이에 대한 경고를 제대로 하지 않았다고 결론 내렸다.
[[조종사]]들 사이에서는 A300 기종의 방향타(러더)가 너무 민감하다는 주장이 있었다. 조사 결과 실제로 다른 항공기에 비해 민감한 편이었고 [[NTSB]]는 제조사인 [[에어버스]]가 이에 대한 경고를 제대로 하지 않았다고 결론 내렸다.
조사 결과 당시 이륙 조종을 담당했던 [[부기장]]은 이전 비행편에서도 여러 번 러더를 급격하게 조작하곤 했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사고 이후 에어버스와 아메리칸항공은 책임 소재에 대해 2024년 기준 현재까지 분쟁 중이다. 아메리칸항공은 에어버스 항공기를 도입하지 않고 있다.
사고 이후 에어버스와 아메리칸항공은 책임 소재에 대해 2024년 기준 현재까지 분쟁 중이다. 아메리칸항공은 에어버스 항공기를 도입하지 않고 있다.
44번째 줄: 40번째 줄:
* [[터뷸런스 사고]]
* [[터뷸런스 사고]]
{{각주}}
{{각주}}
[[분류:항공사고]]
항공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자세한 사항은 항공위키: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이 문서를 편집하려면 아래에 보이는 질문에 답해주세요 (자세한 정보):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