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여닫기
개인 메뉴 토글
로그인하지 않음
만약 지금 편집한다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될 수 있습니다.

울릉공항 건설 편집하기

항공위키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4번째 줄: 4번째 줄:
<section begin="ulung_summary" />
<section begin="ulung_summary" />


2015년 수립된 기본계획에 따라 건설을 시작해 2021년 개항을 목표로 했던 [[울릉공항]]이 실제 공사는 2020년 11월 시작됐다. 2022년 안전 및 현실적 운항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해 [[활주로]] 길이를 연장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50인승 항공기 운항 가능한 길이지만 실제 운항 가능성을 고려하면 80인승 항공기까지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 이유다.
2015년 수립된 기본계획에 따라 건설을 시작해 2021년 개항을 목표로 했던 울릉공항이 실제 공사는 2020년 11월 시작됐다. 2022년 안전 및 현실적 운항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해 활주로 길이를 연장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50인승 항공기 운항 가능한 길이지만 실제 운항 가능성을 고려하면 80인승 항공기까지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 이유다.


<section end="ulung_summary" />
<section end="ulung_summary" />
53번째 줄: 53번째 줄:
=== 비행방식 변경 ===
=== 비행방식 변경 ===
2023년 당초 계획했던 [[계기비행]] 방식에서 [[시계비행]] 방식 설계 변경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활주로 확장 필요성이 제기되면서 추가 소요 비용 부담 때문이다. 계기비행 방식은 [[착륙대]] 폭을 당초 설계안인 140m에서 280m로 확장해야 한다. 다만 항공 전문가들은 기상 분석 상 10번에 1번 꼴로 항공편이 결항 또는 지연될 수 있다며 우려를 제기했다.<ref>[http://www.ksmnews.co.kr/default/index_view_page.php?part_idx=7&idx=444852 울릉공항 이착륙 ‘시계비행 방식’ 안전 장담할 수 있나(2023.9.14)]</ref>{{각주}}
2023년 당초 계획했던 [[계기비행]] 방식에서 [[시계비행]] 방식 설계 변경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활주로 확장 필요성이 제기되면서 추가 소요 비용 부담 때문이다. 계기비행 방식은 [[착륙대]] 폭을 당초 설계안인 140m에서 280m로 확장해야 한다. 다만 항공 전문가들은 기상 분석 상 10번에 1번 꼴로 항공편이 결항 또는 지연될 수 있다며 우려를 제기했다.<ref>[http://www.ksmnews.co.kr/default/index_view_page.php?part_idx=7&idx=444852 울릉공항 이착륙 ‘시계비행 방식’ 안전 장담할 수 있나(2023.9.14)]</ref>{{각주}}
[[분류:항공정책]]
[[분류:공항]]
항공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자세한 사항은 항공위키: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이 문서를 편집하려면 아래에 보이는 질문에 답해주세요 (자세한 정보):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