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여닫기
개인 메뉴 토글
로그인하지 않음
만약 지금 편집한다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될 수 있습니다.

인력 비행기 편집하기

항공위키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인력 비행기(Human Powered Aircraft)
인력 비행기(Human Powered Aircraft)


== 개요 ==
인력으로 나는 비행체를 의미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자전거에 비행기를 결합한 형태를 보인다. 사람의 힘으로 페달을 돌려 프로펠러를 가동시키고 이 힘으로 추력을 얻는 방식이다.
인력으로 나는 비행체를 의미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자전거에 [[비행기]]를 결합한 형태를 보인다. 사람의 힘으로 페달을 돌려 프로펠러를 가동시키고 이 힘으로 [[추력]]을 얻는 방식이다.
 
실용적이지는 않으나 다른 외부의 힘에 의존하지 않고 순수한 사람의 힘 만으로 하늘을 난다는 것에 대한 꿈을 이루기 위한 도전은 세계 곳곳에서 지속되고 있다.


== 인력 비행 사례 ==
== 인력 비행 사례 ==
{{동영상
| 동영상 = <youtube>eW9XsjllM6A</youtube>
| 설명 = 스노우버드
| 스타일 = width: 203px; float: right; margin-left: 15px; clear: right;
}}
*1961년, SUMPA: 영국의 사우스햄프턴 대학이 제작한 기체다. 대학 인근의 소형 [[비행장]]에서 40여 회의 시도 끝에 650미터 비행에 성공했다.
*1977년, 고서머 콘도르: 폴 매크리다라는 공학자가 설계한 것으로 캘리포니아 샤프터 공항에서 2,177미터를 시속18킬로미터 속도로 비행해 크래머상 5만 파운드를 받았다.
*1979년, 고서머 앨버트로스: 도버 해협 횡단 성공(비행거리 35.8킬로미터)
*2006년 [[7월 8일]], 토론토대락 항공우주연구소 James DeLaurier 박사, [[오니톱터]] 비행
*2010년 [[8월 2일]], 스노우버드: 토드 라이허트(Todd Reichert)는 펄럭이는 [[고정익]] 날개를 가진 비행체([[오니톱터]])로 145미터(19.3초) 비행하는데 성공했다.


== 참고 ==
* 1961년, SUMPA : 영국의 사우스햄프턴 대학이 제작한 기체다. 대학 인근의 소형 비행장에서 40여회의 시도 끝에 650미터 비행에 성공했다.
 
* 1977년, 고서머 콘도르 : 폴 매크리다라는 공학자가 설계한 것으로 캘리포니아 샤프터 공항에서 2,177미터를 시속18킬로미터 속도로 비행해 크래머상 5만 파운드를 받았다.
* [[Ornithopter]]
* 1979년, 고서머 앨버트로스 : 도버 해협 횡단 성공(비행거리 35.8킬로미터)
* [[동력 비행]]
* 2010년, 스노우버드 : 토드 레이셔(Todd Reichert)는 펄럭이는 고정익 날개 형태의 비행체를 145미터(19.3초) 비행하는데 성공했다.
{{각주}}
{{각주}}
[[분류:항공기]]
항공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자세한 사항은 항공위키: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이 문서를 편집하려면 아래에 보이는 질문에 답해주세요 (자세한 정보):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