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여닫기
개인 메뉴 토글
로그인하지 않음
만약 지금 편집한다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될 수 있습니다.

저먼윙스 9525편 사건 편집하기

항공위키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Germanwings-9525-crash.jpg|섬네일|저먼윙스 9525편 추락]]2015년 발생한 저먼윙스 9525편 조종사 자살 사고
==저먼윙스 9525편 조종사 자살 사고==


== 개요 ==
2015년 3월 24일, 스페인 바르셀로나를 출발해 독일 뒤셀도르프로 비행 중이던 [[항공기]]에서 [[기장]](Patrick Sondenheimer)이 화장실에 간 사이 [[부기장]] 루비츠는 [[조종실]] 문을 걸어 잠그고 항공기 고도를 급격히 낮추었다. [[블랙박스]] 상에는 루비츠의 호흡 소리가 남겨져 있었으며 결국 항공기는 알프스 지역에 추락했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099049 독일 저먼윙스, 프랑스 알프스에 추락해 150명 전원 사망]</ref>
== 사고 세부 사항 ==
* 편명 : [[저먼윙스]] 9525편 (A320-200)
* 편명 : [[저먼윙스]] 9525편 (A320-200)
* 구간 : 엘프라트(바르셀로나)-뒤셀로르프
* 구간 : 엘프라트(바르셀로나)-뒤셀로르프
* 일시 : 2015년 [[3월 24일]]
* 일시 : 2015년 3월 24일
* 범인 : 안드레아스 루비츠(Andreas Lubitz), [[부기장]]
* 범인 : 안드레아스 루비츠(Andreas Lubitz), [[부기장]]
* 사망 : 150명 전원 사망
* 사망 : 150명 전원 사망
스페인 바르셀로나를 출발해 독일 뒤셀도르프로 비행 중이던 [[항공기]]에서 [[기장]](Patrick Sondenheimer)이 화장실에 간 사이 [[부기장]] 루비츠는 [[조종실]] 문을 걸어 잠궜다. 하강하는 동안 [[관제]]의 질문에도 전혀 응답하지 않았다. [[블랙박스]] 상에는 루비츠의 호흡 소리가 남겨져 있었으며 결국 항공기는 알프스 지역에 추락했다.


==조사 결과==
==조사 결과==


2016년 [[3월 13일]], 사고 조사위원회는 최종 사고보고서를 통해 저먼윙스 항공기 추락 사건은 [[부기장]] 루비츠가 고의로 저지른 자살로 인한 것이었다고 결론 내렸다. <ref>[https://airtravelinfo.kr/xe/air_news/1151886 저먼윙스 항공기 추락은 조종사 자살사고]</ref> 루비츠는 사고 바로 이전 비행에서도 기장이 화장실에 간 사이 마음대로 고도를 높이거나 낮추는 등의 의심행위를 반복했던 것으로 밝혀졌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108058 저먼윙스 자살 비행 부조종사, 이전 비행편에서도 자살 시도?]</ref> 결국 돌아오는 [[복편]]에서 자살을 실행에 옮긴 것이라고 할 수 있다.
2016년 3월, 사고 조사위원회는 저먼윙스 항공기 추락 사건은 [[부기장]] 루비츠가 고의로 저지른 자살로 인한 것이었다고 결론 내렸다. <ref>[https://airtravelinfo.kr/xe/air_news/1151886 저먼윙스 항공기 추락은 조종사 자살사고]</ref>


==항공업계 영향==
==항공업계 영향==
19번째 줄: 17번째 줄:
루비츠는 이전에 자살 성향으로 치료를 받았으며 일하기에 적합하지 않다라는 진단을 받았던 적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사고로 전 세계 항공업계는 [[조종사]]의 정신적 건강 상태에 대한 다양한 연구와 대책을 내놓기 시작했고 조종실에 조종사 한 명만 있지 않도록 하는 다양한 방안을 제시했다.
루비츠는 이전에 자살 성향으로 치료를 받았으며 일하기에 적합하지 않다라는 진단을 받았던 적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사고로 전 세계 항공업계는 [[조종사]]의 정신적 건강 상태에 대한 다양한 연구와 대책을 내놓기 시작했고 조종실에 조종사 한 명만 있지 않도록 하는 다양한 방안을 제시했다.


[[조종실]]에 조종사 1명만 체류 가능한 상황은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기 불가능하다고 판단한 항공업계는 각종 대책을 내놓기 시작했다. 대표적인 것이 비행 중 조종실에는 반드시 2명 이상의 [[승무원]]이 체류하도록 강제한 절차다.<ref name="two">[https://airtravelinfo.kr/xe/air_news/1100340 조종실 투 파일럿 정책, 전 세계 항공사로 확산]</ref> 2015년 3월 27일 유럽 항공안전청([[EASA]])은 투 파일럿 정책(Two Pilot Policy)을 의무화하기도 했다.
[[조종실]]에 조종사 1명만 체류 가능한 상황은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기 불가능하다고 판단한 항공업계는 각종 대책을 내놓기 시작했다. 대표적인 것이 비행 중 조종실에는 반드시 2명 이상의 [[승무원]]이 체류하도록 강제한 절차다.<ref name="two">[https://airtravelinfo.kr/xe/air_news/1100340 조종실 투 파일럿 정책, 전 세계 항공사로 확산]</ref> 3월 27일 유럽 항공안전청([[EASA]])은 투 파일럿 정책(Two Pilot Policy)을 의무화하기도 했다.


==참고==
==참고==
26번째 줄: 24번째 줄:


{{각주}}
{{각주}}
[[분류:조종사]]
[[분류:항공사고]]
항공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자세한 사항은 항공위키: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이 문서를 편집하려면 아래에 보이는 질문에 답해주세요 (자세한 정보):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