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여닫기
개인 메뉴 토글
로그인하지 않음
만약 지금 편집한다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될 수 있습니다.

저산소증 편집하기

항공위키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저산소증(Hypoxia), 충분한 산소를 공급받지 못해 나타나는 증상
==저산소증(Hypoxia)==


== 설명 ==
신체의 특정 부위나 전반에 산소 공급을 받지 못하는 증상을 말하며 산소 부족이라고도 표현한다. 외부 환경에 의해 산소 공급이 불충분해 발생하는 경우를 말한다. 건강한 사람이라도 산소 밀도가 낮은 고고도로 올라갈 수록 저산소증을 경험할 수 있다.  
신체의 특정 부위나 전반에 산소 공급을 받지 못하는 증상을 말하며 산소 부족이라고도 표현한다. 외부 환경에 의해 산소 공급이 불충분해 발생하는 경우를 말한다. 건강한 사람이라도 산소 밀도가 낮은 고고도로 올라갈 수록 저산소증을 경험할 수 있다.  


17번째 줄: 16번째 줄:


충분한 산소가 공급되지 않으면 신체 세포 일부가 죽을 수 있으며 가장 치명적인 것은 뇌로 산소 공급이 불충분해지면 정신을 잃거나 최악의 경우 사망에 이를 수 있다. 특히 수 많은 [[승객]]의 안전을 책임져야 할 [[조종사]]에게 저산소증은 항공기 사고로 이어질 수도 있다. 여객 객실에도 [[산소마스크]]를 제공하고 있지만 [[조종실]](Cockpit)에도 조종사용 산소마스크를 필수 설치해야 한다.
충분한 산소가 공급되지 않으면 신체 세포 일부가 죽을 수 있으며 가장 치명적인 것은 뇌로 산소 공급이 불충분해지면 정신을 잃거나 최악의 경우 사망에 이를 수 있다. 특히 수 많은 [[승객]]의 안전을 책임져야 할 [[조종사]]에게 저산소증은 항공기 사고로 이어질 수도 있다. 여객 객실에도 [[산소마스크]]를 제공하고 있지만 [[조종실]](Cockpit)에도 조종사용 산소마스크를 필수 설치해야 한다.
==고도에 따른 유효의식시간(Time of Useful Consciousness)==
고도가 높아질 수록 산소 밀도가 희박해지면서 유효의식시간(의식을 유지하는 시간)이 짧다. 항공법에서는 기내 객실 [[여압]]이 유지되지 않을 경우 탑승객 스스로 자주 호흡이 가능한 [[고도]] 1만 피트 내외로 최대한 신속히 강하하도록 하고 있다.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 고도([[MSL]]) !! 유효의식시간 !! 비고
|-
| 45,000 feet || 9 ~ 15초 ||
|-
| 40,000 feet || 15 ~ 20초 ||
|-
| 35,000 feet || 30 ~ 60초 ||
|-
| 30,000 feet || 1 ~ 2분 ||
|-
| 28,000 feet || 2.5 ~ 3분 ||
|-
| 25,000 feet || 3 ~ 5분 ||
|-
| 22,000 feet || 5 ~ 10분 ||
|-
| 20,000 feet || 30분 이상 ||
|}
==참고==
* [[헬리오스항공 522편 추락사고]]


{{각주}}
{{각주}}
[[분류:항공의학]]
[[분류:항공사고]]
항공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자세한 사항은 항공위키: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이 문서를 편집하려면 아래에 보이는 질문에 답해주세요 (자세한 정보):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