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상조업장비 공유제 편집하기

항공위키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지상조업 장비공유제
== 지상조업 장비공유제 ==
 
== 설명 ==
[[공항]]에서 이뤄지는 [[항공기]] 조업용 각종 장비를 항공사가 아닌 공항 등 제3 운영자가 제공하고 항공사 등 사용자가 일정 조건 하에서 운영하는 것을 말한다.
[[공항]]에서 이뤄지는 [[항공기]] 조업용 각종 장비를 항공사가 아닌 공항 등 제3 운영자가 제공하고 항공사 등 사용자가 일정 조건 하에서 운영하는 것을 말한다.


우리나라에서도 항공사(혹은 서비스 제공사)가 직접 운영하는 [[지상조업]] 장비가 대부분이었지만 2020년 [[코로나19]] 사태 발발 이후 중복 투자, 안전, 환경 등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지상조업 장비공유 개념 도입이 추진되었다. [[인천공항공사]]는 2022년 내 시범 운영에 나설 계획이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469294 정부, 지상조업 안전관리 강화 … 조업장비 공유제 도입]</ref><ref>[https://m.moneys.mt.co.kr/article.html?no=2022012114588087707 인천공항, 지상조업 장비공유제 연내 시범 도입… 고가 친환경·고품질 장비 마련]</ref>
우리나라에서도 항공사(혹은 서비스 제공사)가 직접 운영하는 [[지상조업]] 장비가 대부분이었지만 2020년 [[코로나19]] 사태 발발 이후 중복 투자, 안전, 환경 등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지상조업 장비공유 개념 도입이 추진되었다. 인천공항공사는 2022년 내 시범 운영에 나설 계획이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469294 정부, 지상조업 안전관리 강화 … 조업장비 공유제 도입]</ref><ref>[https://m.moneys.mt.co.kr/article.html?no=2022012114588087707 인천공항, 지상조업 장비공유제 연내 시범 도입… 고가 친환경·고품질 장비 마련]</ref>


== 기타 ==
== 기타 ==
14번째 줄: 12번째 줄:
* [[지상조업사]]
* [[지상조업사]]
{{각주}}
{{각주}}
[[분류:공항]]
[[분류:지상조업]]
항공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자세한 사항은 항공위키: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이 문서를 편집하려면 아래에 보이는 질문에 답해주세요 (자세한 정보):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