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여닫기
개인 메뉴 토글
로그인하지 않음
만약 지금 편집한다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될 수 있습니다.

창공3호 편집하기

항공위키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file:changgong3ho.jpg|thumb|300px|창공3호, 1989년 4월 7일 비행 모습]]창공3호, 대한항공이 개발한 쌍발 프로펠러 비행기
==창공3호==
 
[[file:changgong3ho.jpg|thumb|400px|창공3호]]
== 개요 ==
[[대한항공]]이 개발한 쌍발 프로펠러 [[비행기]]로 조종훈련, 레저 등 다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경비행기다.
<onlyinclude>
 
[[대한항공]]이 개발한 쌍발 프로펠러 [[비행기]]로 조종훈련, 레저 등 다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경비행기로 [[창공91]] 개발로 이어졌다.
 
</onlyinclude>


==개발==
==개발==
12번째 줄: 7번째 줄:
대한항공이 1980년대 초부터 개발하던 창공1호, 창공2호 개발 경험을 바탕으로 대한항공 항공기술연구소에서 자체 기술진에 의해 1986년부터 개발을 시작했다. 엔진을 제외한 동체 대부분 국내 기술로 제작했다. 날개는 접이식이다.
대한항공이 1980년대 초부터 개발하던 창공1호, 창공2호 개발 경험을 바탕으로 대한항공 항공기술연구소에서 자체 기술진에 의해 1986년부터 개발을 시작했다. 엔진을 제외한 동체 대부분 국내 기술로 제작했다. 날개는 접이식이다.


총 3대 제작되었으며 1987년 9월 첫 초도비행에 성공했으며 이후 2차례 더 시험비행에 성공했으나 추가 제작은 중단되었고 1988년 개발을 시작한 [[창공91]]로 노하우가 이어졌다.
총 3대 제작되었으며 1987년 9월 첫 초도비행에 성공했으며 이후 2차례 더 시험비행에 성공했으나 추가 제작은 중단되었고 1988년 개발을 시작한 창공91로 노하우가 이어졌다.
*'''창공1호''' : 대한항공이 1981년~1984년 개발한 1인승 [[경비행기]]로 외국 설계도 모방해 국산화율은 30%였으며 주요 부품은 외국산이었다. (1984년 8월 29일 초도 비행 성공)
 
*'''창공2호''' : [[대한항공]]이 1985년~1986년 개발한 1인승 경비행기로 외국산 비행기 설계도 모방, 개발한 것으로 엔진 제외한 대부분은 국내 기술로 만들어졌다. (1986년 10월 24일 초도 비행 성공)
==제원==
==제원==


24번째 줄: 18번째 줄:
* [[항속거리]] : 1,000km (항속시간 3시간)
* [[항속거리]] : 1,000km (항속시간 3시간)


== 대한민국 비행기 개발 역사 ==
{{:대한민국 개발 비행기}}
{{참고
| 참고1 = 대한민국 개발 비행기
| 참고2 =
| 참고3 =
}}{{각주}}


[[분류:항공기]]
{{각주}}
[[분류:대한항공]]
항공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자세한 사항은 항공위키: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이 문서를 편집하려면 아래에 보이는 질문에 답해주세요 (자세한 정보):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