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여닫기
개인 메뉴 토글
로그인하지 않음
만약 지금 편집한다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될 수 있습니다.

트래블 버블 편집하기

항공위키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Travel-bubble.jpg|섬네일|트래블 버블]]트래블 버블(Travel Bubble, Travel Corridors): 안전한 기준 준수하는 네트워크(국가)
[[파일:Travel-bubble.jpg|섬네일|트래블 버블]]
 
==트래블 버블(Travel Bubble, Travel Corridors)==


== 설명 ==
전염병 전파 관련 안전한 여행, 방문을 위해 '안전한 기준'을 준수해 방역이 우수한 지역 간에 안전구역(버블)안에 있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 용어는 2020년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글로벌 이동 제한이 발생하면서 방역이 우수한 지역(국가) 간 협약을 체결해 자유로운 여행이 가능하게 한다는 취지로 나타나기 시작했다.
전염병 전파 관련 안전한 여행, 방문을 위해 '안전한 기준'을 준수해 방역이 우수한 지역 간에 안전구역(버블)안에 있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 용어는 2020년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글로벌 이동 제한이 발생하면서 방역이 우수한 지역(국가) 간 협약을 체결해 자유로운 여행이 가능하게 한다는 취지로 나타나기 시작했다.


14번째 줄: 15번째 줄:
==주요 트래블 버블 진행 현황==
==주요 트래블 버블 진행 현황==


* 리투아니아,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등 발트 3국: 2020년 7월부터 '발틱 트래블 버블' 시행 중
* 리투아니아,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등 발트 3국 : 2020년 7월부터 '발틱 트래블 버블' 시행 중
* 홍콩·싱가포르: 2020년 10월 15일 양국 간 시행 합의 → 11월 22일 <del>시행</del>, 2021년 5월 → 연기 <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401543 홍콩-싱가포르 트래블 버블, 내년 연기 ·· 코로나 재확산]</ref><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418017 홍콩-싱가포르, 다음 달 트래블 버블 '격리없는 여행']</ref>
* 홍콩·싱가포르 : 2020년 10월 15일 양국 간 시행 합의 → 11월 22일 시행 → 2021년으로 연기<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401543 홍콩-싱가포르 트래블 버블, 내년 연기 ·· 코로나 재확산]</ref><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418017 홍콩-싱가포르, 다음 달 트래블 버블 '격리없는 여행']</ref>
* 호주·뉴질랜드: 2020년 10월 16일 → 2021년 1분기 중 실시
* 호주·뉴질랜드 : 2020년 10월 16일 → 2021년 1분기 중 실시
* 홍콩 → 한국, 독일, 싱가포르 등 11개국 대상: 9~10월 홍콩이 11개국에 [[트래블 버블]] 요청  
* 홍콩 → 한국, 독일, 싱가포르 등 11개국 대상 : 9~10월 홍콩이 11개국에 [[트래블 버블]] 요청  
* 인도네시아 → 한국, 중국, 일본, 호주: 6월 인도네시아가 4개국에 트래블 버블 요청
* 인도네시아 → 한국, 중국, 일본, 호주 : 6월 인도네시아가 4개국에 트래블 버블 요청
* 한국, 중국, 베트남, 대만: 트래블 버블 시기 조율 중
* 한국, 중국, 베트남, 대만 : 트래블 버블 시기 조율 중


==우리나라 현황==
==우리나라 현황==
26번째 줄: 27번째 줄:


2020년 12월,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 감염 확산세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우리나라는 물론 트래블 버블 도입을 추진하던 대부분 국가에서 그 움직임이 멈췄거나 그 시기를 2021년으로 연기하고 있다.
2020년 12월,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 감염 확산세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우리나라는 물론 트래블 버블 도입을 추진하던 대부분 국가에서 그 움직임이 멈췄거나 그 시기를 2021년으로 연기하고 있다.
2021년 6월, 정부는 7월을 목표로 관광 여행 수요가 많은 괌·사이판과 트래블 버블 체결을 추진하기로 했다.
2021년 [[6월 30일]], 사이판(북마리아나 제도)과 트래블 버블 협약 체결.<ref>https://www.yna.co.kr/view/AKR20210630155800530</ref> 백신 접종 완료자에 한해 자가격리 없이 여행사를 통한 단체여행 허가. ([[사이판 출입국 정보]] 참고)
2021년 10월, 싱가포르와 협약([[VTL]], Vaccinated Travel Lane) 체결. [[11월 15일]]부터 백신 접종자의 경우 양국 입국 시 격리 면제
2021년 11월, 한-팔라우 외교장관 회담을 통해 트래블 버블 적용 논의
2021년 11월, 호주, 코로나 백신 접종 한국인 무격리 입국 허용. 12월 1일부터 적용<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463086 호주, 12월 1일부터 백신 접종 한국인 무격리 입국 허용]</ref>


==참고==
==참고==
43번째 줄: 34번째 줄:


{{각주}}
{{각주}}
[[분류:여행]]
[[분류:항공시장]]
[[분류:항공정책]]
항공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자세한 사항은 항공위키: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이 문서를 편집하려면 아래에 보이는 질문에 답해주세요 (자세한 정보):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