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여닫기
개인 메뉴 토글
로그인하지 않음
만약 지금 편집한다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될 수 있습니다.

한국항공서비스 편집하기

항공위키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2번째 줄: 2번째 줄:


한국항공서비스(KAEMS, Korea Aviation Engineering & Maintenance Service)
한국항공서비스(KAEMS, Korea Aviation Engineering & Maintenance Service)
국내 항공기 정비 전문 [[MRO]] 기업으로 한국항공우주산업([[KAI]]) 자회사다.
==개요==
==개요==
국내 첫 [[MRO]] 전문 기업으로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2018년 [[7월 20일]] 설립했다.<ref>[https://airtravelinfo.kr/xe/air_news/1271907 KAI, MRO '한국항공서비스' 설립 896억 원 출자]</ref>
국내 첫 [[MRO]] 전문 기업으로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2018년 [[7월 20일]] 설립했다.<ref>[https://airtravelinfo.kr/xe/air_news/1271907 KAI, MRO '한국항공서비스' 설립 896억 원 출자]</ref>
17번째 줄: 15번째 줄:
* 2019년 2월, 이스타항공 여객기 중정비 수주<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311722 KAEMS, 제주항공 이어 이스타항공 여객기 중정비 수주]</ref>
* 2019년 2월, 이스타항공 여객기 중정비 수주<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311722 KAEMS, 제주항공 이어 이스타항공 여객기 중정비 수주]</ref>
* 2019년 9월, B737 기종 미국 연방항공청(FAA) 인증 획득
* 2019년 9월, B737 기종 미국 연방항공청(FAA) 인증 획득
* 2019년 12월, 제주항공과 2026년까지 B737NG 13대 중정비([[C Check]]) 계약 체결
* 2019년 12월, [[제주항공]]과 2026년까지 B737NG 13대 중정비([[C Check]]) 계약 체결
* 2020년 1월, 이스타항공과 2020년 한 해 B737NG 9대 [[랜딩기어]] 교체 경정비 계약 체결
* 2020년 1월, [[이스타항공]]과 2020년 한 해 B737NG 9대 [[랜딩기어]] 교체 경정비 계약 체결
* 2020년 2월, 티웨이항공과 B737 항공기 7대 [[중정비]], 3대 랜딩기어 교체 계약 체결
* 2020년 2월, [[티웨이항공]]과 B737 항공기 7대 [[중정비]], 3대 [[랜딩기어]] 교체 계약 체결
* 2020년 10월, 국토교통부로부터 A320 계열 정비인증(AMO) 획득
* 2020년 10월, 국토교통부로부터 A320 계열 정비인증(AMO) 획득
* 2021년 5월, FAA로부터 A320 기종에 대한 정비조직 인증. B737 부품 정비 인증 획득
* 2021년 5월, FAA로부터 A320 기종에 대한 정비조직 인증. B737 부품 정비 인증 획득


== 사업 실적 ==
== 사업 실적 ==
2018년 설립 이후 2022년까지 매년 손실이 이어졌다. 손실액은 43억 원(2018년) → 63억 원(2019년) → 70억 원(2020년) → 320억 원(2021년)으로 매년 증가했다. 2022년에는 방위사업청으로부터 KF-16 전기체도장 계약을 따내면서 70억 원 손실로 마무리했다.
2022년 4월, KAEMS는 민간 항공기 중정비 누적 100대를 달성했다고 발혔다. 설립 3년 9개월 만이다. (B737 기종 97대, A320 계열 2대, ATR 기종 1대)
 
2023년 1분기도 매출 47억 원, 순손실 27억 원을 기록했다.<ref>[https://biz.newdaily.co.kr/site/data/html/2023/05/16/2023051600137.html KAI, 자회사 MRO 사업 적자에 ‘골머리’… “내년 흑자전환 할 것”(2023.5.17)]</ref> 3분기까지 누적 227억 매출에 58억 원 손실을 기록하고 있다. 매출은 지속 늘고 있지만 수익성은 하락했다. 아울러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종료 직후 93억 원이었던 수주 잔고는 3분기 말 기준 19억 원으로 감소하는 등 민수사업 수주 잔고는 크게 줄었다.
{| class="wikitable"
|+사업실적 (단위: 원)
!구분
!매출
!순손익
!비고
|-
|2019년
|61억
| -63억
|
|-
|2020년
|145억
| -70억
|
|-
|2021년
|185억
| -320억
|
|-
|2022년
|297억
| -79억
|
|}
 
== 사업분야 ==
 
=== 항공기 정비 ===
2022년 4월, KAEMS는 민간 항공기 중정비 누적 100대를 달성했다고 밝혔다. 설립 3년 9개월 만이다. (B737 기종 97대, A320 계열 2대, ATR 기종 1대)
 
=== 항공기 개조 ===
2022년 9월 [[케일럼]], 월드스타에비에이션(WSA)과 함께 [[P2F]] 사업계약을 체결했다. 10년 간 A321A320 50대, A330 30대, B737 20대 등 100대의 여객기를 화물기로 개조할 계획으로 전체 사업 규모는 27억9000만 달러이다.


==참고==
==참고==
71번째 줄: 32번째 줄:


{{각주}}
{{각주}}
[[분류:정비]]
[[분류:항공기]]
항공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자세한 사항은 항공위키: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이 문서를 편집하려면 아래에 보이는 질문에 답해주세요 (자세한 정보):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