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여닫기
개인 메뉴 토글
로그인하지 않음
만약 지금 편집한다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될 수 있습니다.

항공역사(1월 1일) 편집하기

항공위키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항공역사네비
<div style="float: right; margin-bottom: 10px;">[[항공역사(12월 31일) | 전날]] ↔ [[항공역사(1월 2일) | 다음날]]</div>
| 전날 = 12월 31일
===1914년===
| 다음날 = 1월 2일
}}[[1월 1일]] 발생한 항공 관련 사건, 사고 및 기록
 
=== 1914년===


{{이미지
{{이미지
20번째 줄: 16번째 줄:
재미있는 것은 당시 이 구간 여객 [[항공편]]은 이 기본 요금에다가 승객 몸무게가 200파운드(약 90킬로그램)가 넘을 경우 추가 요금을 징수했다고 한다.
재미있는 것은 당시 이 구간 여객 [[항공편]]은 이 기본 요금에다가 승객 몸무게가 200파운드(약 90킬로그램)가 넘을 경우 추가 요금을 징수했다고 한다.


*항공이야기 [https://www.hansfamily.kr/1080 몸무게에 따라 요금 징수했던 항공사]
* 항공이야기 [https://www.hansfamily.kr/1080 몸무게에 따라 요금 징수했던 항공사]


===1914년===
=== 1914년 ===
미국 기상청(US Weather Bureau), 항공기 [[운항]]을 위한 첫 매일 기상자료(Map) 발표 시작  
미국 기상청(US Weather Bureau), 항공기 [[운항]]을 위한 첫 매일 기상자료(Map) 발표 시작  


65번째 줄: 61번째 줄:
British European Airways([[BEA]]) 설립. [[BOAC]](British Overseas Airways Corporation) 자회사로 영국을 중심으로 유럽, 북아프리카, 중동 지역으로 1974년까지 운항했다.
British European Airways([[BEA]]) 설립. [[BOAC]](British Overseas Airways Corporation) 자회사로 영국을 중심으로 유럽, 북아프리카, 중동 지역으로 1974년까지 운항했다.


===1946년===
=== 1946년 ===
East African Airways 설립
East African Airways 설립


=== 1946년===
=== 1946년 ===
런던 히드로 공항에서 최초의 상업 항공편이 출발했다. British South American Airways Avro Lancastian 항공편이 주인공이었다.
런던 히드로 공항에서 최초의 상업 항공편이 출발했다. British South American Airways Avro Lancastian 항공편이 주인공이었다.


79번째 줄: 75번째 줄:
베트남, Vietnam Civil Aviation Department 설립
베트남, Vietnam Civil Aviation Department 설립


===1956년===
=== 1956년 ===
[[IATA]], 항공기 탑재 제한 물품에 대한 규정(IATA Restricted Articles Regulations - RAR) 시행. 이후 1983년에 Dangerous Goods Regulations - [[DGR]]로 명칭을 변경했다.
[[IATA]], 항공기 탑재 제한 물품에 대한 규정(IATA Restricted Articles Regulations - RAR) 시행. 이후 1983년에 Dangerous Goods Regulations - [[DGR]]로 명칭을 변경했다.


===1956년===
=== 1956년 ===
[[노스웨스트항공]]은 미국 정부로부터 연료 공급 중간 기착지로 Shemyal Island를 임차해 북태평양 노선에서 활용했다. 이것은 항공사로서는 자체적으로 [[공항]](비행장)을 운영하며 운항한 첫 사례였다.
[[노스웨스트항공]]은 미국 정부로부터 연료 공급 중간 기착지로 Shemyal Island를 임차해 북태평양 노선에서 활용했다. 이것은 항공사로서는 자체적으로 [[공항]](비행장)을 운영하며 운항한 첫 사례였다.


===1960년 ===
===1960년===


Fiji Airways 탄생.  Qantas, Tasman empire Airways, BOAC 세 회사 공동 소유  
Fiji Airways 탄생.  Qantas, Tasman empire Airways, BOAC 세 회사 공동 소유  
97번째 줄: 93번째 줄:
SAVAG, TAC가 합병해 Cruzeiro do Sul 탄생 (브라질).  
SAVAG, TAC가 합병해 Cruzeiro do Sul 탄생 (브라질).  


===1968년 ===
===1968년===


TRANSPAC, Air Caledonie로 변경
TRANSPAC, Air Caledonie로 변경
105번째 줄: 101번째 줄:
대구 비행장 여객청사 준공
대구 비행장 여객청사 준공


=== 1974년===
===1974년===


Gulf Aviation Company가 Gulf Air로 재탄생. 그해 4월부터 VC10 항공기를 이용해 베이루트를 거점으로 운항을 시작했다.
Gulf Aviation Company가 Gulf Air로 재탄생. 그해 4월부터 VC10 항공기를 이용해 베이루트를 거점으로 운항을 시작했다.
117번째 줄: 113번째 줄:
[[Air India]] 소속 855편 항공기(B747)가 봄베이(현 뭄바이)에서 이륙하자마자 추락해 탑승자 213명 전원 사망. 이륙 몇 분이 지나 조종사가 아라비아 반도로 우회전했으나 방향이 제대로 잡히지 않으며 바다로 추락해 버렸다.
[[Air India]] 소속 855편 항공기(B747)가 봄베이(현 뭄바이)에서 이륙하자마자 추락해 탑승자 213명 전원 사망. 이륙 몇 분이 지나 조종사가 아라비아 반도로 우회전했으나 방향이 제대로 잡히지 않으며 바다로 추락해 버렸다.


===1978년===
=== 1978년 ===
British Aircraft Corporation, Hawker Siddeley, Scottish Aviation가 British Aerospace로 흡수 합병되었다.
British Aircraft Corporation, Hawker Siddeley, Scottish Aviation가 British Aerospace로 흡수 합병되었다.


===1979년 ===
===1979년===


British Aerospace, 항공기 제작사 [[에어버스]](Airbus)의 지분 20%를 투자하면서 정식 참여사가 되었다.
British Aerospace, 항공기 제작사 [[에어버스]](Airbus)의 지분 20%를 투자하면서 정식 참여사가 되었다.
136번째 줄: 132번째 줄:
대한민국 내국인 50세 이상 해외여행 자유화 시행
대한민국 내국인 50세 이상 해외여행 자유화 시행


===1983년===
=== 1983년 ===
[[파일:Boeing 757-200 Farnborough 1982 Fitzgerald.jpg|200px|섬네일|Boeing 757 기종]]
[[파일:Boeing 757-200 Farnborough 1982 Fitzgerald.jpg|200px|섬네일|Boeing 757 기종]]
보잉에서 개발된 쌍발 제트엔진을 장착한 B757 항공기가 Eastern Airlines에서 첫 상용 비행을 시작했다. 최대 239명까지 탑승 가능했으며 보잉이 생산한 [[내로우 바디]] 기종으로는 가장 큰 항공기였다. 2004년까지 총 1,050대 생산되었다.
보잉에서 개발된 쌍발 제트엔진을 장착한 B757 항공기가 Eastern Airlines에서 첫 상용 비행을 시작했다. 최대 239명까지 탑승 가능했으며 보잉이 생산한 [[내로우 바디]] 기종으로는 가장 큰 항공기였다. 2004년까지 총 1,050대 생산되었다.
172번째 줄: 168번째 줄:
[[에어캐나다]](Air Canada)와 캐나다항공(Canadian Airlaines)이 공식 합병했다.
[[에어캐나다]](Air Canada)와 캐나다항공(Canadian Airlaines)이 공식 합병했다.


===2002년===
=== 2002년 ===
[[항공자유화조약]](Treaty on Open Skies) 발효
[[항공자유화조약]](Treaty on Open Skies) 발효


197번째 줄: 193번째 줄:
이 사고를 계기로 인도네시아 항공 안전도에 부정적 평가가 내려지기 시작해, EU에서는 해당 항공사 운항을 금지시켰다. 인도네시아도 운항을 금지시켰으며 2008년 결국 파산에 이르렀다.
이 사고를 계기로 인도네시아 항공 안전도에 부정적 평가가 내려지기 시작해, EU에서는 해당 항공사 운항을 금지시켰다. 인도네시아도 운항을 금지시켰으며 2008년 결국 파산에 이르렀다.


=== 2010년===
===2010년===


미국 [[노스웨스트항공]](Northwest Airlines), [[델타항공]](Delta Air Lines)으로 통합
미국 [[노스웨스트항공]](Northwest Airlines), [[델타항공]](Delta Air Lines)으로 통합


=== 2011년===
===2011년===


Kogalymavia Airlines 소속 Kolavia 348편 항공기(Tu-154)가 러시아 Surgur 공항을 이륙하던 중 화재가 발생해 4명 사망하고 43명 부상 당했다. 항공기는 전소되었다. 조사 결과 전기 패널 유지 보수가 미흡헤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밝혀졌다.
Kogalymavia Airlines 소속 Kolavia 348편 항공기(Tu-154)가 러시아 Surgur 공항을 이륙하던 중 화재가 발생해 4명 사망하고 43명 부상 당했다. 항공기는 전소되었다. 조사 결과 전기 패널 유지 보수가 미흡헤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밝혀졌다.
209번째 줄: 205번째 줄:
Atlantic Southeast 와 ExpressJet가 합병해 새로운 ExpressJet Airlines 탄생
Atlantic Southeast 와 ExpressJet가 합병해 새로운 ExpressJet Airlines 탄생


=== 2023년 ===
=== 참고 ===
필리핀 영공이 임시 폐쇄됐다. 항공관제시스템의 작동 불능에 따른 것으로 1월 2일 오전(한국 시각)에 정상화됐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521733 필리핀 관제 시스템 마비, 항공편 무더기 항로 변경·지연(2023.1.1)]</ref>


===참고 ===
* [https://www.fpn119.co.kr/178097 항공기 역사]
 
*[https://www.fpn119.co.kr/178097 항공기 역사]
{{각주}}
{{각주}}
__부분편집숨김__
__부분편집숨김__
[[분류:이미지]]
[[분류:항공역사]]
항공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자세한 사항은 항공위키: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이 문서를 편집하려면 아래에 보이는 질문에 답해주세요 (자세한 정보):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