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사이드바 토글
항공위키
검색
계정 만들기
개인 도구
계정 만들기
로그인
로그아웃한 편집자를 위한 문서
더 알아보기
토론
기여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관련 사이트
항공여행정보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
항공역사(10월 21일)
편집하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편집
원본 편집
역사 보기
더 보기
읽기
편집
원본 편집
역사 보기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
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
!
{{항공역사네비 | 전날 = 10월 20일 | 다음날 = 10월 22일 }} [[10월 21일]] 발생한 항공 관련 사건, 사고 및 기록 === 1921년 === 미군 요청으로 개발된 경주용 비행기 Thomas-Morse MB-6, 초도 비행. === 1929년 === [[파일:Bundesarchiv Bild 102-12963, Flugboot "Do X".jpg|섬네일|200x200픽셀|Dornier Do X]] 최대 승객 탑승 기록. Dornier Do X 항공기에 169명의 승객이 탑승했다. (이 기록은 이후 20년 동안 깨지지 않았다.) === 1936년 === [[팬암|Pan American World Airlines]], 샌프란시스코에서 출발 하와이 경유, 필리핀 마닐라로 연결되는 주 6 회 정기 여객편 운항 시작. 이날 출발한 비행기는 10월 27일 마닐라에 도착했다. === 1947년 === {{이미지 | 이미지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4/4a/YB49-2_300.jpg/604px-YB49-2_300.jpg | 설명 = Northrop YB-49 | 스타일 =width: 203px; float: right; margin-left: 15px; clear: right; }}개발이 중단되었던 YB-35를 개량 발전시킨 미국 전략 폭격기 Northrop YB-49, 초도 비행. 약 10대 가량 제작된 비행기였으며 제트 엔진을 장착한 (동체없이 날개만 있는) 대표적 [[Flying Wing|플라이윙]] 중 하나다.{{이미지 | 이미지 = https://4.bp.blogspot.com/_rUHyHq68ak0/Sp30hcZTPVI/AAAAAAAAsTs/4S9iTY05NH0/w1200-h630-p-k-no-nu/XB-35-bia.jpg | 설명 = 이전 모델이었던 YB-35 (1946년 초도 비행. 개발 취소) | 스타일 =width: 203px; float: right; margin-left: 15px; clear: right; }}{{이미지 | 이미지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4/47/B-2_Spirit_original.jpg/720px-B-2_Spirit_original.jpg | 설명 = 1990년대 비행 시작한 스텔스 폭격기 Northrop Grumman B-2 | 스타일 =width: 203px; float: right; margin-left: 15px; clear: right; }} 같은 시기에 개발된 Convair B-36에 밀려 대량생산 되지는 못했으나 40여년이 지난 1990년대 초반 비행하기 시작한 B-2 스텔스 폭격기의 원형으로 불릴만큼 그 형태와 개발 노하우에 큰 영향을 끼쳤다. === 1948년 === [[Tunisair]] 설립 === 1950년 === [[파일:Martin RM-1Z USCG in flight.JPG|섬네일|200x200픽셀|Martin 4-0-4]] 승객 40명이 탑승 가능한 중단거리 여객기 Martin 4-0-4, 초도 비행. 총 103대 생산되었다. === 1950년 === 미국 항공청(CAA)는 10월 15일부터 이날까지 [[VOR]] 장치(시설)에 대한 실험을 진행했다. VOR은 비행하는 비행기에 방위각 정보를 제공하는 초단파 전방향 무선표지시설로 [[DME]]와 함께 항공기 비행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장비로 사용되기 시작한다. === 1961년 === 해군 경계용 비행기 Breguet Atlantic, 초도 비행. 총 115대 생산되어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공군 등에서 운용되었다. === 1966년 === [[파일:General Air Yakovlev Yak-40 Groningen Airport.jpg|섬네일|200x200픽셀|Yak-40]] Yakovlev에서 개발된 [[지역항공사|지역 항공사]]用 Yak-40, 초도 비행. 1968년 [[아에로플로트]]에서 첫 비행을 시작하며 총 1,011대 생산되었다. === 1970년 === British United Airways가 Caledonian Airlines와 합병하여 British Caledonaian이 출범하였다. 이후 1987년 [[영국항공|British Airways]]에 합병되었다. === 1971년 === 이탈리아에서 개발된 비즈니스 비행기 Italair Pegaso, 초도 비행. 하지만 단 3대만 제작되고 중단되었다. === 1986년 === 영국 정부, 국영 기업인 영국항공(British Airways)을 공공 매각(민영화)하기로 결정했다. === 1989년 === Tan-Sahsa 소속 414편 항공기(B727)가 [[조종사]] 실수로 인해 온두라스 Tegucigalpa 인근 Cerro de Hula 산에 추락해 탑승자 146명 중 127명 사망했다. === 1993년 === 에어버스가 개발한 [[Wide-Body Aircraft|광동체]] 항공기인 A330-300 [[형식증명]] 취득. 유럽과 미국에서 동시에 형식증명을 취득한 최초의 여객기였다. === 2004년 === Jade Cargo 설립. 독일 [[루프트한자]](Lufthansa)와 중국 센젠항공(Shenzhen Airlines)이 합작하여 설립한 화물 [[항공사]]다. 2011년 운항 중지 === 2008년 === 프랑스 파리공항 당국(Aéroports de Paris)과 네덜란드 스키폴 공항그룹(Schiphol Group)은 국제적 [[공항]] 동맹체 결성에 합의했다. === 2009년 === Azza Transport 소속 2241편 항공기(B707)가 아랍에미레이트 Sharjah 국제공항을 [[이륙]]한 직후 추락해 승무원 6명 모두 사망했다. 4번 엔진의 [[리버서|Thrust Reverser]] 작동이 통제되지 않으면서 발생한 사고였다. === 2011년 === 유인 전기 [[헬리콥터]] e-Volo VC1, 초도 비행.([[볼로콥터]]) * [https://airtravelinfo.kr/freeboard/177720 사상 최초 전기 유인 헬리콥터? 실용 가능성은?] === 2016년 === 러시아 스콜항공(Skol Airlines) 소속 9375편 항공기([[헬리콥터]], Mil Mi-8)가 시베리아 야말 반도에 추락해 최소 19명이 사망했다. 대부분 석유 시추 관련 종사자들이었다. === 2021년 === 우리나라가 독자 개발한 우주발사체 [[누리호]]가 1차 발사됐다. 1,2단 로켓은 정상적으로 분리됐으나 3단 로켓의 연소가 모자라 위성 모사체를 궤도에 안착시키지는 못했다. 다음 해인 2022년 [[6월 21일]], 위성 모사체를 궤도에 안착시키며 2차 발사에서 성공을 거뒀다.{{각주}} __부분편집숨김__
요약:
항공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자세한 사항은
항공위키: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이 문서를 편집하려면 아래에 보이는 질문에 답해주세요 (
자세한 정보
):
대한민국의 수도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각주
(
편집
)
틀:이미지
(
편집
)
틀:항공역사네비
(
편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