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사이드바 토글
항공위키
검색
계정 만들기
개인 도구
계정 만들기
로그인
로그아웃한 편집자를 위한 문서
더 알아보기
토론
기여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관련 사이트
항공여행정보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
항공역사(10월 23일)
편집하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편집
원본 편집
역사 보기
더 보기
읽기
편집
원본 편집
역사 보기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
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
!
{{항공역사네비 | 전날 = 10월 22일 | 다음날 = 10월 24일 }} [[10월 23일]] 발생한 항공 관련 사건, 사고 및 기록 ===1923년=== [[파일:Hyderabad1.jpg|200px|섬네일|Hyderabad]] 중(重)폭격기 Handley Page Hyderabad, 초도 비행. 총 44대 생산 ===1929년=== 미국 최초의 대륙을 가로지르는 수송 서비스를 시작. Universal Aviation Corporation는 뉴욕에서 로스앤젤레스간 서비스를 시작했는데, 중간 기착지인 Kansas에서 하룻밤 묵어가는 여정으로 시행되었다. 이때 소요된 시간은 비행시간만 24시간, 중간 기착지에서 쉬어가는 시간 포함해 총 36시간이 걸리는 스케줄이었다. 요금은 당시 화폐로 약 300달러. ===1934년=== Francesco Agello는 새로운 비행 속도 신기록을 세웠다. Macchi MC.72 비행기로 시속 709km(시속 440마일)을 기록했다. === 1939년=== 일본 미쓰비시가 개발한 중형급 폭격기 Mitsubishi G4M, 초도 비행. 2차 세계대전 말까지 총 2,435대 생산되어 일본 해군에서 운용되었다. ===1942년=== [[아메리칸항공]] 소속 028편(DC-3)이 비행 중 캘리포니아 Palm Springs상공에서 미공군 소속 B-34 폭격기와 충돌해 탑승객과 승무원 12명 전부 사망. 하지만 폭격기 B-35는 무사히 [[비상착륙]]했다. ===1943년=== 중(重)폭격기 Vickers Windsor, 초도 비행. 총 3대 제작 ===1944년=== 일본에서 개발된 중(重)폭격기 Nakajima G8N, 초도 비행. 총 4대 제작. ===1946년=== Orient Airways 설립. 파키스탄 국적 항공사로 무슬림 자본으로 설립된 최초 항공사다. 1955년 Parkistan International Airlines([[PIA]])로 전환되었다. ===1967년=== 소방용 비행기 Canadair CL-215, 초도 비행. 총 125대 생산되었으며 아직도 일부는 현역. ===1970년=== 울산 비행장 개설 ===1990년=== [[유나이티드항공]]이 [[팬암]](Pan American Airways)의 미국-런던 노선을 인수했다. ===2003년=== {{이미지 | 이미지 = https://img.bemil.chosun.com/nbrd/data/10086/upfile/201402/thumb2/20140213234805.jpg | 설명 = 대한항공 첫 A380 인도, 2011년 [[5월 25일]] (이미지: 에어버스) |스타일=width: 205px; float: right; margin-left: 15px; clear: right;}} [[대한항공]], A380 항공기 8대 구매 계약 === 2006년=== Porter Airlines 비행 개시. 토론토를 거점으로 운항하고 있는 [[지역 항공사]]로 2020년 기준 항공기 29대를 보유하고 24개 도시를 운항하고 있다. ===2009년=== 슬로바키아의 전세 항공사 Seagle Air, 운항 중단 ===2018년=== [[엠브레어]]가 개발한 제트 수송기 C-390 밀레니엄, 브라질 항공당국의 [[형식증명]] 획득 === 2022년 === [[인천공항]]을 출발해 필리핀 세부공항에 [[착륙]] 중이던 [[대한항공]] 631편 여객기(A330)가 브레이크 고장 등으로 [[활주로]]를 이탈하는 [[오버런]] 사고를 일으켰다. [[악기상|악천후]]로 인해 이전 두 차례 착륙 시도 및 [[복행]]하는 과정에서 [[랜딩기어]]가 일부 손상을 입었던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탑승자 173명 모두 무사히 탈출했지만 항공기는 복구 불가 판단될 만큼 파손됐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512932 대한항공, 세부공항서 불시착 … 무사히 비상대피 (2022.10.24)]</ref> {{참고 | 참고1 = 대한항공 631편 사고 | 참고2 = | 참고3 = }}{{각주}} __부분편집숨김__
요약:
항공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자세한 사항은
항공위키: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이 문서를 편집하려면 아래에 보이는 질문에 답해주세요 (
자세한 정보
):
이 위키의 이름은 무엇인가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각주
(
편집
)
틀:이미지
(
편집
)
틀:참고
(
편집
)
틀:항공역사네비
(
편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