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사이드바 토글
항공위키
검색
계정 만들기
개인 도구
계정 만들기
로그인
로그아웃한 편집자를 위한 문서
더 알아보기
토론
기여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관련 사이트
항공여행정보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
항공역사(11월 29일)
편집하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편집
원본 편집
역사 보기
더 보기
읽기
편집
원본 편집
역사 보기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
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
!
{{항공역사네비 | 전날 = 11월 28일 | 다음날 = 11월 30일 }} [[11월 29일]] 발생한 항공 관련 사건, 사고 및 기록 === 1913년 === Raymonde de Laroche, 1913 Femina Cup 대회에서 320 킬로미터를 4시간에 비행해 우승했다. === 1935년 === 민간 상용 항공편으로는 사상 최초 태평양 횡단이었던 샌프란시스코-마닐라 비행편이 무사히 마닐라에 도착했다. ([[11월 22일]] 샌프란시스코 출발) === 1945년 === [[아메리칸항공]](American Airlines)이 뉴욕-로스앤젤레스 구간 비행을 시작으로 첫 상용 서비스에 들어갔다. (항공기: DC-7) === 1949년 === 아메리칸항공(American Airlines) 소속 157편 항공기(DC-6)가 멕시코 시티로 비행 중 엔진 한개 작동이 정지하면서 달라스 러브필드에 [[비상착륙]]했으나 그 과정에서 [[활주로]]에서 미끄러져 [[격납고|행거]]와 충돌해 탑승자 46명 중 28명 사망했다. === 1960년 === 한국항공(Air Korea) 설립 (사장 [[조중훈]]) === 1963년 === 토론토행 항공편인 Trans-Canada Air Lines 소속 831편 항공기(DC-8)가 몬트리올 도벌공항에서 [[이륙]] 직후 추락해 탑승자 118명 전원 사망. 항공기가 완전 전소되는 바람에 원인을 밝혀낼 조사가 불가능했다. === 1987년 === {{이미지 | 이미지 = https://m.segye.com/content/image/2019/03/31/20190331507041.png | 설명 = 대한항공 858편 폭파범 중 한 명인 김현희 압송 장면 | 스타일 = width: 200px; float: right; margin-left: 15px; }} 바그다드를 출발해 서울로 향하는 [[대한항공]] 소속 858편 항공기(B707)가 버마 해안에 추락해 탑승자 115명 전원 사망했다. 이 대참사는 북한 김정일의 지시로 김현희 등 테러요원이 벌인 폭탄테러에 의해 발생했다. {{참고 | 참고1 = 대한항공 858편 폭파 사건 | 참고2 = | 참고3 = }} === 1989년 === [[일본항공]]과 [[에어뉴질랜드|뉴질랜드항공]]이 크라이스처치-오클랜드-나리타-크라이스처치 노선을 B747 항공기로 [[공동운항]](코드쉐어)했다. === 1995년 === 항공모함 기반의 다목적 [[전투기]] Boeing F/A-18E/F Super Hornet, 초도 비행. 2011년 현재 500대 생산되었다. === 2003년 === [[ICAO]], 항공기 수직분리간격축소([[RVSM]], Reduced Vertical Separation Minima) 시행 국제민간항공기구는 미국 뉴욕 유엔본부 등에서 발표한 성명을 통해 "최소 수직분리간격축소(RVSM) 조치를 오는 2005년 카리브해 및 남미 지역과 미국 국내선 등에서 실시하고 하반기 중 한국과 일본 등 아시아 지역에서도 시행한다"고 밝혔다. === 2011년 === 미국 3위 항공사인 아메리칸항공(American Airlines)의 모회사 AMR이 파산보호를 신청했다. 2010년 미국 대부분 항공사들이 유가 상승에도 불구 흑자를 기록했지만 아메리칸항공만은 적자였다. 2001년 [[911 테러]] 후 미국 항공업계가 대부분 파산보호를 신청하고 채무 탕감, 구조조정을 진행해 효율적으로 정상화한 반면 당시 항공업계 1위였던 아메리칸항공만은 끝까지 파산보호 없이 버텨냈었다. 하지만 이것이 오히려 아메리칸항공의 정상화를 더디게 하는 길이었던 셈이다. 이 날은 아메리칸항공이 1945년 첫 상업비행을 시작했던 날이기도 하다. === 2012년 === 유럽의 대표 [[저비용항공사]] [[이지제트]](EasyJet)가 설립한 아프리카 시장 기반의 저비용항공사 패스트제트(FastJet) 상업 운항 시작 === 2012년 === 센젠항공(Shenzhen Airlines), [[항공동맹체]] [[스타얼라이언스]] 가입 === 2015년 === {{이미지 | 이미지 = https://airtravelinfo.kr/files/attach/images/35753/714/047/6225901d1f42253f2d4994b37c01b592.jpg | 설명 = ARJ21, 쳉두항공 인도 장면 | 스타일 = width: 200px; float: right; margin-left: 15px; }} 중국 [[COMAC]]社가 개발한 소형 제트 여객기 [[ARJ21]], 초도 상용기가 쳉두항공에 인도됐다. ARJ21은 2002년 개발을 시작한 지 13년 만에 상용 항공기 시장에 도전장을 내민 중국 항공산업의 시작이라고 할 수 있다. 실제 초도 상업비행은 이듬해 [[6월 28일]] 이루어졌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171875 중국산 첫 제트 여객기, 상용 비행을 시작하다]</ref> 70석~100석 규모로 2017년 11월 현재 322대 주문 대수를 확보했다. {{각주}} <references /> __부분편집숨김__
요약:
항공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자세한 사항은
항공위키: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이 문서를 편집하려면 아래에 보이는 질문에 답해주세요 (
자세한 정보
):
현존하는 가장 큰 여객기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각주
(
편집
)
틀:이미지
(
편집
)
틀:참고
(
편집
)
틀:항공역사네비
(
편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