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여닫기
개인 메뉴 토글
로그인하지 않음
만약 지금 편집한다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될 수 있습니다.

항공역사 (5월 9일) 편집하기

항공위키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3번째 줄: 3번째 줄:
| 다음날 = 5월 10일
| 다음날 = 5월 10일
}}
}}
[[5월 9일]] 발생한 항공 관련 사건과 기록들
=== 1912년===
 
사상 처음 움직이는 배 위에서 비행기 이륙 성공. 찰스샘슨(Charles Samson)은 HMS Hibernia 선함 데크에서 Short S.27 No 38(Short S.38)을 타고 이륙했다.


===1912년===
{{이미지
{{이미지
| 이미지 = https://airtravelinfo.kr/files/attach/images/35753/476/055/fae5e539122cbd8fd267fd40cf09a363.jpg
| 이미지 = https://airtravelinfo.kr/xe/files/attach/images/35753/476/055/fae5e539122cbd8fd267fd40cf09a363.jpg
| 설명 = 선함 위에서 이륙하는 Short S.27 No 38
| 설명 = 선함 위에서 이륙하는 Short S.27 No 38
|스타일=width: 205px; float: right; margin-left: 15px; clear: right;}}
}}
{{이미지
{{이미지
| 이미지 = https://airtravelinfo.kr/files/attach/images/35753/476/055/9d7c1989e530671ae06af892d48e431a.jpg
| 이미지 = https://airtravelinfo.kr/files/attach/images/35753/476/055/9d7c1989e530671ae06af892d48e431a.jpg
| 설명 = HMS Hibernia 위에 이륙 준비 중인 S.27 No 38 비행기
| 설명 = HMS Hibernia 위에 이륙 준비 중인 S.27 No 38 비행기
|스타일=width: 205px; float: right; margin-left: 15px; clear: right;}}
}}
사상 처음 움직이는 배 위에서 비행기 이륙 성공. 찰스샘슨(Charles Samson)은 HMS Hibernia 선함 데크에서 Short S.27 No 38(Short S.38)을 타고 이륙했다.


*참고, 최초 비행일이 5월 2일이라는 기록도 있음
* 참고, 최초 비행일이 5월 2일이라는 기록도 있음


===1914년===
===1914년===
26번째 줄: 26번째 줄:
프랑스에서 개발된 엔진 4개짜리 [[복엽기]] Blériot 115, 초도 비행. 총 6대 제작되었다.
프랑스에서 개발된 엔진 4개짜리 [[복엽기]] Blériot 115, 초도 비행. 총 6대 제작되었다.


===1926년===
=== 1926년===


사상 처음 북극 통과 비행. 미국인 Richard E. Byrd와 Floyd Bennet은 Fokker F-VII/3m을 타고 노르웨이 Spitzbergen을 출발해 2,575킬로미터를 날아 북극을 통과해 비행했다.
사상 처음 북극 통과 비행. 미국인 Richard E. Byrd와 Floyd Bennet은 Fokker F-VII/3m을 타고 노르웨이 Spitzbergen을 출발해 2,575킬로미터를 날아 북극을 통과해 비행했다.
38번째 줄: 38번째 줄:
동체 모두 금속으로 만들어진 프로토타입 [[전투기]] Vought XF3U, 초도 비행. 미 해군에서 운용할 목적으로 개발되었으나, 시제기 한 대만 만들어지고 중단되었다.
동체 모두 금속으로 만들어진 프로토타입 [[전투기]] Vought XF3U, 초도 비행. 미 해군에서 운용할 목적으로 개발되었으나, 시제기 한 대만 만들어지고 중단되었다.


===1934년===
===1934년 ===
[[파일:Wibault283t mae.jpg|200px|섬네일|Wibault 282]]
[[파일:Wibault283t mae.jpg|200px|섬네일|Wibault 282]]
[[에어프랑스]] 소속 12인승 항공기(Wibault 282 T-12)가 영국해협에 추락해 탑승자 6명 모두 사망.
[[에어프랑스]] 소속 12인승 항공기(Wibault 282 T-12)가 영국해협에 추락해 탑승자 6명 모두 사망.
54번째 줄: 54번째 줄:
[[Lockheed]] XC-35 초도 비행 성공. 사상 최초로 기내 여압조절이 가능([[여압장치]] 장착)한 항공기였으나, 단 한 대만 제작되고 말았다.
[[Lockheed]] XC-35 초도 비행 성공. 사상 최초로 기내 여압조절이 가능([[여압장치]] 장착)한 항공기였으나, 단 한 대만 제작되고 말았다.


===1947년===
===1947년 ===
[[파일:G-AHMH.jpg|200px|섬네일|Percival Merganser]]
[[파일:G-AHMH.jpg|200px|섬네일|Percival Merganser]]
영국이 개발한 민간 수송용 항공기 Percival Merganser, 초도 비행. 하지만 단 2대만 제작되고 말았다.
영국이 개발한 민간 수송용 항공기 Percival Merganser, 초도 비행. 하지만 단 2대만 제작되고 말았다.
66번째 줄: 66번째 줄:
[[Sikolsky]]社가 개발한 수송용 헬리콥터 Sikorsky CH-54 Tarhe, 초도 비행. 총 105대 생산되어 미군에서 주로 이용되었으며 민간용으로 개발된 것이 S-64 Skycrane이다.
[[Sikolsky]]社가 개발한 수송용 헬리콥터 Sikorsky CH-54 Tarhe, 초도 비행. 총 105대 생산되어 미군에서 주로 이용되었으며 민간용으로 개발된 것이 S-64 Skycrane이다.


===1963년===
===1963년 ===


한국 [[비행정보구역]]([[FIR]], Flight Information Region) [[ICAO]] 승인을 거쳐 운용 개시(대구 FIR). 2002년 항공교통관제소 이전에 따라 인천 FIR로 명칭 변경.
한국 [[비행정보구역]]([[FIR]], Flight Information Region) [[ICAO]] 승인을 거쳐 운용 개시(대구 FIR). 2002년 항공교통관제소 이전에 따라 인천 FIR로 명칭 변경.


* [[비행정보구역]]이란? : 비행 중인 항공기에 안전하고 효율적인 운항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제공하고, 항공기 사고 발생 시에는 수색 및 구조업무를 책임지고 제공할 목적으로 국제민간항공기구(ICAO)에서 분할, 설정한 [[공역]]
*[[비행정보구역]]이란? : 비행 중인 항공기에 안전하고 효율적인 운항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제공하고, 항공기 사고 발생 시에는 수색 및 구조업무를 책임지고 제공할 목적으로 국제민간항공기구(ICAO)에서 분할, 설정한 [[공역]]


===1967년===
===1967년===
84번째 줄: 84번째 줄:
뉴욕행 [[LOT 폴란드항공]](LOT Polish Airlines) 소속 5055편 일류신(Ilyushin Il-62) 항공기가 바르샤바공항을 이륙하던 중 엔진 고장으로 추락해 탑승자 183명 전원 사망했다. 일류신 Il-62 기종 사고 사상 최악의 희생자를 냈다.
뉴욕행 [[LOT 폴란드항공]](LOT Polish Airlines) 소속 5055편 일류신(Ilyushin Il-62) 항공기가 바르샤바공항을 이륙하던 중 엔진 고장으로 추락해 탑승자 183명 전원 사망했다. 일류신 Il-62 기종 사고 사상 최악의 희생자를 냈다.


===2004년===
===2004년 ===
[[파일:American Eagle Flight 5401 NTSB.png|200px|섬네일|American Eagle ATR-72]]
[[파일:American Eagle Flight 5401 NTSB.png|200px|섬네일|American Eagle ATR-72]]
American Eagle 소속 5401편 항공기(ATR-72)가 푸에르토리코 Luis Muñoz Marín 공항에 착륙하던 중 [[활주로]]를 이탈하는 사고가 발생해 탑승자 26명 중 17명 사망했다.
American Eagle 소속 5401편 항공기(ATR-72)가 푸에르토리코 Luis Muñoz Marín 공항에 착륙하던 중 [[활주로]]를 이탈하는 사고가 발생해 탑승자 26명 중 17명 사망했다.
95번째 줄: 95번째 줄:


인도 항공사 [[킹피셔항공]](Kingfisher Airlines), 상용 비행 시작. 2012년 파산
인도 항공사 [[킹피셔항공]](Kingfisher Airlines), 상용 비행 시작. 2012년 파산
===2012년===
===2012년===
[[파일:Sukhoi Superjet 100 97004 UUBW 2011-8-19.png|200px|섬네일|SSJ-100]]아시아 6개국(미얀마, 파키스탄, 카자흐스탄, 인도네시아, 라오스, 베트남)을 돌며 시범 비행 중이던 러시아 수호이社의 슈퍼제트100 (SuperJet 100, [[SSJ-100]]) 항공기가 인도네시아 자카르타공항을 이륙한 후 실종되었다.  
[[파일:Sukhoi Superjet 100 97004 UUBW 2011-8-19.png|200px|섬네일|SSJ-100]]
아시아 6개국(미얀마, 파키스탄, 카자흐스탄, 인도네시아, 라오스, 베트남)을 돌며 시범 비행 중이던 러시아 수호이社의 슈퍼제트100 (SuperJet 100, [[SSJ-100]]) 항공기가 인도네시아 자카르타공항을 이륙한 후 실종되었다.  


이틀 뒤 자카르타 남쪽 휴화산인 살락(Salak)산 중턱에서 항공기 잔해를 발견했으며, 탑승자 45명 모두 사망했다.
이틀 뒤 자카르타 남쪽 휴화산인 살락(Salak)산 중턱에서 항공기 잔해를 발견했으며, 탑승자 45명 모두 사망했다.


===2022년===
{{이미지
[[세스나]]가 개발한 19인승 [[터보프롭]] 비행기 Cessna 408 SkyCourier, FedEx Express에서 [[화물기]](LD3 [[컨테이너]] 3개 탑재 가능)로 상업 비행 시작{{각주}}
| 이미지 = https://statik.tempo.co/data/2012/05/10/id_119294/119294_620.jpg
| 설명 = 수호이 슈퍼제트 100 추락, 사고 현장
}}
 
{{각주}}






__부분편집숨김__
__부분편집숨김__
항공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자세한 사항은 항공위키: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이 문서를 편집하려면 아래에 보이는 질문에 답해주세요 (자세한 정보):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