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여닫기
검색
메뉴 여닫기
4.4천
731
373
5.7만
항공위키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특수 문서 목록
파일 올리기
관련 사이트
항공여행정보
Toggle preferences menu
알림
개인 메뉴 토글
로그인하지 않음
만약 지금 편집한다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될 수 있습니다.
user-interface-preferences
개인 도구
토론
기여
계정 만들기
로그인
항공역사
(6월 13일)
편집하기
항공위키
Share this page
보기
읽기
편집
원본 편집
역사 보기
associated-pages
문서
토론
다른 명령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
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
!
{{항공역사네비 | 전날 = 6월 12일 | 다음날 = 6월 14일 }} [[6월 13일]] 발생한 항공 관련 사건과 기록들 ===1912년=== Albert Berry 대령이 비행기에서 사상 처음으로 [[낙하산]]을 착용하고 낙하했다. ===1916년=== [[수상 비행기]] Zeppelin-Lidau Dornier Rs II, 독일 콘스탄스 호수에서 [[이수]](離水)해 약 4분간 비행에 성공했다. ===1962년=== 미군 소속 Richard H. Coan, Kaman H-43B Huskie [[헬리콥터]]를 조종해 656 마일을 비행해 이 부문 최장 비행기록을 세웠다. 이전까지 기록은 소련의 Mil Mi-1이 기록한 625마일이었다. ===1962년=== 교통부, [[대한항공공사]] 정관 승인 ===1965년=== [[파일:Islander.JPG|200px|섬네일|island air]] 영국에서 개발된 최대 9명까지 [[탑승]] 가능한 쌍발 비행기 Britten-Norman Islander, 초도 비행. 현재도 생산 중에 있으며 2015년 기준 총 1,280대 생산되었다. 유럽에서 생산된 베스트셀러 상용 비행기 중의 하나다. === 1979년 === {{동영상 | 동영상 = <youtube>LDZRVlLH6QI</youtube> | 설명 = Solar One 다큐멘터리 | 스타일 = width: 203px; float: right; margin-left: 15px; clear: right; }} [[태양광 비행기]]인 Solar One, 공식적인 첫 비행 성공. 시속 33-37킬로미터 속도로 약 1.2킬로미터를 비행했다. 두 번째 비행에서는 시속 78킬로미터 속도로 비행하기도 했다. ===1980년=== 마지막 생산된 16번째 [[초음속 여객기]] [[콩코드]], [[영국항공]](British Airways) 인도 ===1989년=== [[대한항공]], 점보 항공기 B747-400 1번기 도입 ===1990년=== 보잉 B767 항공기로 미국 시애틀에서 아프리카 케냐 나이로비까지 비행하는 기록을 세웠다. === 1996년=== {{이미지 | 이미지 = https://airtravelinfo.kr/files/attach/images/35753/552/058/8e725b61a72e9c5aac1e0735c161436d.jpg | 설명 = GA865 |스타일=width: 205px; float: right; margin-left: 15px;}} [[가루다 인도네시아항공]](Garuda Indonesia Airlines) 소속 865편 항공기(DC-10)가 후쿠오카공항을 출발하면서 엔진 문제로 [[이륙 중단|이륙을 중단]](Rejected Talk-off)했으나 [[활주로]] 끝부분을 넘어서면서 ([[오버런]]) 충돌해 탑승자 275명 가운데 3명 사망했다. 항공기는 전소되었다. 활주로를 달리던 중 3번 엔진(오른쪽) 작동이 정지하자 [[조종사]]가 이륙을 중단했으나 당시 항공기 활주 속도는 V2(이륙안전속도)에 가까운 상태로 [[노즈 랜딩기어]]가 이미 땅에서 떨어져 상승자세를 취한 다음이었기에 그대로 이륙했어야 했으나 이륙을 중단한 것은 조종사의 판단 미스였다. *항공상식 [https://airtravelinfo.kr/19275 항공기, 죽어도 떠야 하는 이유(2007/06/23)] ===2007년=== 몽골 공군 소속 Mil Mi-8 헬리콥터가 Selenge 지역에 추락해 탑승자 22명 가운데 15명 사망 ===2008년=== {{이미지 | 이미지 = https://airtravelinfo.kr/files/attach/images/35753/552/058/1a50e08a96234b79b138be42f8f24450.jpg | 설명 = 다시 하늘을 난 복원 '부활호' |스타일=width: 205px; float: right; margin-left: 15px;}}미 연방항공청 240분 [[ETOPS]] 인증 내용을 포함한 기준(AC No 120-42B) 시행 ===2011년=== 우리나라 자체 기술력으로 1953년 개발되어 시험비행([[10월 11일]])을 했던 '[[부활호]]'를 복원한 '부활'호가 다시 하늘을 날았다. [[대한민국 비행기 개발 역사]] 참고 ===2013년=== {{동영상 | 동영상 = <youtube>syJq10EQkog</youtube> | 설명 = |스타일=width: 205px; clear: right; float: right;}}사람의 힘(Human Power)만으로 하늘을 나는 헬리콥터형 비행체인 AeroVelo Atlas가 Igor Sikorsky Human-Powered Helicopter Competition에서 3.3미터 높이로 64초가 비행해 우승했다. 10피트(3미터) 이상 높이로 60초 이상 비행한 최초의 인간동력 [[헬리콥터]]가 되었다.{{각주}} __부분편집숨김__
요약:
항공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자세한 사항은
항공위키: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이 문서를 편집하려면 아래에 보이는 질문에 답해주세요 (
자세한 정보
):
이 위키의 이름은 무엇인가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각주
(
편집
)
틀:동영상
(
편집
)
틀:이미지
(
편집
)
틀:항공역사네비
(
편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