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여닫기
개인 메뉴 토글
로그인하지 않음
만약 지금 편집한다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될 수 있습니다.

항공역사 (7월 17일) 편집하기

항공위키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3번째 줄: 3번째 줄:
| 다음날 = 7월 18일
| 다음날 = 7월 18일
}}
}}
[[7월 17일]] 발생한 항공 관련 사건, 사고 및 기록
[[파일:Vickers F.B.5. Gunbus.jpg|섬네일|총기를 장착한 최초의 비행기 F.B.5]]
===1914년===


===1914년===
영국의 2인승 전투용 비행기 Vickers F.B.5, 초도 비행.
[[파일:Vickers F.B.5. Gunbus.jpg|섬네일|200px|총기를 장착한 최초의 비행기 F.B.5]]영국의 2인승 전투용 비행기 Vickers F.B.5, 초도 비행.


사상 최초로 공중전을 목적으로 개발된 [[전투기]]로서 총(Gun)을 장착해 본격적인 전투기의 시초라고 할 수 있다. 1915년부터 그 이듬 해까지 총 224대 생산.
사상 최초로 공중전을 목적으로 개발된 [[전투기]]로서 총(Gun)을 장착해 본격적인 전투기의 시초라고 할 수 있다. 1915년부터 그 이듬 해까지 총 224대 생산.


총을 장착한 전투기로는 Vickers의 E.F.B.1(Experimental Fight Biplane 1), 즉 총(Gun) 장착을 목적으로 개발된 실험 첫번째 버전이 있었다. 1913년 [[2월 13일]] 열린 영국 [[에어쇼]]에서 소개되긴 했지만 개념 정도에 불과했으며, 실제 시범 비행 도중 추락해 버렸다.
총을 장착한 전투기로는 Vickers의 E.F.B.1(Experimental Fight Biplane 1), 즉 총(Gun) 장착을 목적으로 개발된 실험 첫번째 버전이 있었다. 1913년 [[2월 23일]] 열린 영국 [[에어쇼]]에서 소개되긴 했지만 개념 정도에 불과했으며, 실제 시범 비행 도중 추락해 버렸다.


F.B.10 버전까지 개발된 이 전투기 시리즈는 일명 "Gunbus" 라 불렸다.
F.B.10 버전까지 개발된 이 전투기 시리즈는 일명 "Gunbus" 라 불렸다.
46번째 줄: 46번째 줄:
미국의 아폴로 우주선과 소련의 소유즈 우주선이 도킹에 성공함으로써, 우주에서 서로 다른 두 나라간 우주선 도킹의 첫 기록이 되었다.
미국의 아폴로 우주선과 소련의 소유즈 우주선이 도킹에 성공함으로써, 우주에서 서로 다른 두 나라간 우주선 도킹의 첫 기록이 되었다.


===1978년===
===1978년 ===


유고슬라비아 Soko에서 개발된 군 훈련전투기 Soko G-4 Super Galeb, 초도 비행. 지상 타격기로도 사용 가능한 이 비행기는 총 85대 생산되었다.
유고슬라비아 Soko에서 개발된 군 훈련전투기 Soko G-4 Super Galeb, 초도 비행. 지상 타격기로도 사용 가능한 이 비행기는 총 85대 생산되었다.
54번째 줄: 54번째 줄:
홍콩 기반 항공사 [[캐세이퍼시픽]], 홍콩-런던 노선 운항 개시
홍콩 기반 항공사 [[캐세이퍼시픽]], 홍콩-런던 노선 운항 개시


===1989년===
===1989년 ===
[[파일:B-2 Spirit original.jpg|200px|섬네일|Northrop Grumman B-2 Spirit]]
[[파일:B-2 Spirit original.jpg|200px|섬네일|Northrop Grumman B-2 Spirit]]
미국의 스텔스 폭격기 Northrop Grumman B-2 Spirit, 초도 비행 성공. 총 21대 생산되었다.
미국의 스텔스 폭격기 Northrop Grumman B-2 Spirit, 초도 비행 성공. 총 21대 생산되었다.


===1996년===
===1996년===
파리로 향하려던 [[TWA]] 소속 800편 항공기(B747)가 뉴욕 JFK공항을 이륙하자마자 폭발해 대서양으로 추락했다. 이 사고로 탑승자 230명 전원 사망했으며, 중앙연료탱크 결함이 사고의 원인이었던 것으로 지목되었다.


{{동영상
{{동영상
| 동영상 = <youtube>qWkWXBTsgsA</youtube>
| 동영상 = <youtube>qWkWXBTsgsA</youtube>
| 설명 =TWA 800편 추락 사고
| 설명 =  
|스타일=width: 203px; float: right; margin-left: 15px; clear: right;}}
}}
 
파리로 향하려던 [[TWA]] 소속 800편 항공기(B747)가 뉴욕 JFK공항을 이륙하자마자 폭발해 대서양으로 추락했다. 이 사고로 탑승자 230명 전원 사망했으며, 중앙연료탱크 결함이 사고의 원인이었던 것으로 지목되었다.


===2000년===
===2000년===
87번째 줄: 87번째 줄:
===2014년===
===2014년===
[[파일:Mh17-route.jpg|200px|섬네일|말레이시아항공 17편 운항 경로]]
[[파일:Mh17-route.jpg|200px|섬네일|말레이시아항공 17편 운항 경로]]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을 출발해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로 비행 중이던 말레이시아항공 소속 17편 항공기(B777)가 우크라이나 반군 소행으로 추정되는 미사일 공격으로 도네츠크(Donetsk)의 토레즈(Torez) 인근에 추락해 탑승자 298명 전원 사망했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040884 말레이시아 항공기, 우크라이나 상공에서 격추되어 탑승자 전원 사망]</ref>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을 출발해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로 비행 중이던 말레이시아항공 소속 17편 항공기(B777)가 우크라이나 반군 소행으로 추정되는 미사일 공격으로 도네츠크(Donetsk)의 토레즈(Torez) 인근에 추락해 탑승자 298명 전원 사망했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040884 말레이시아 항공기, 우크라이나 상공에서 격추되어 탑승자 전원 사망]</ref> 말레이시아항공으로서는 [[3월 8일]] 370편 대서양 실종사고와 함께 2014년에만 2건의 대형 참사를 겪었다.


말레이시아항공으로서는 [[3월 8일]] 370편 대서양 실종사고와 함께 2014년에만 2건의 대형 참사를 겪었다.
*[[말레이시아항공 17편 격추 사건]]
*[[말레이시아항공 370편 실종 사고]]


{{참고
{{각주}}
| 참고1 = 말레이시아항공 17편 격추 사건
| 참고2 = 말레이시아항공 370편 실종 사고
| 참고3 =
}}


{{각주}}
<references />


__부분편집숨김__
__부분편집숨김__
항공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자세한 사항은 항공위키: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이 문서를 편집하려면 아래에 보이는 질문에 답해주세요 (자세한 정보):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