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여닫기
개인 메뉴 토글
로그인하지 않음
만약 지금 편집한다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될 수 있습니다.

항공역사 (7월 26일) 편집하기

항공위키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3번째 줄: 3번째 줄:
| 다음날 = 7월 27일
| 다음날 = 7월 27일
}}
}}
[[7월 26일]] 발생한 항공 관련 사건, 사고 및 기록
=== 1913년 ===
독일과 프랑스가 상호 항공기 운항과 관련된 협정(Exchange of Notes Between France and Germany Concerning Aerial Navigation)을 체결했다. 사상 첫 [[항공협정]]으로 인정되고 있다.
===1929년===
===1929년===


43번째 줄: 38번째 줄:


===1993년===
===1993년===
[[아시아나항공]] 소속 733편 항공기가 악천후 속에서 목포공항에 2번 착륙 실패([[복행]]) 후 3번째 착륙 시도 중 운저산에 충돌해 탑승자 116명 중 68명 사망했다. 당시까지 B737-500 항공기종으로서는 우리나라 영역에서 발생한 최악의 사고였다. [[조종사]]의 무리한 착륙 시도가 사고의 직접적 원인이었던 것으로 결론 내려졌다.


{{이미지
{{이미지
| 이미지 = https://airtravelinfo.kr/files/attach/images/35753/633/084/5452a3c8e64900bedcbf2562423721e4.jpg
| 이미지 = https://airtravelinfo.kr/files/attach/images/35753/633/084/5452a3c8e64900bedcbf2562423721e4.jpg
| 설명 = OZ733
| 설명 = OZ733
|스타일=width: 203px; float: right; margin-left: 15px; clear: right;}}
[[아시아나항공]] 소속 733편 항공기가 악천후 속에서 목포공항에 2번 착륙 실패([[복행]]) 후 3번째 착륙 시도 중 운저산에 충돌해 탑승자 116명 중 68명 사망했다. 당시까지 B737-500 항공기종으로서는 우리나라 영역에서 발생한 최악의 사고였다. [[조종사]]의 무리한 착륙 시도가 사고의 직접적 원인이었던 것으로 결론 내려졌다.
{{참고
| 참고1 = 아시아나항공 733편 추락 사고
| 참고2 =
| 참고3 =
}}
}}


===1998년===
===1998년===
Rutan이 디자인하고 설계한 Scaled Composites Proteus, 초도 비행. 고고도 통신중계를 목적으로 연구 개발한 항공기로 단 1대 실험용만 제작되었다.


{{이미지
{{이미지
| 이미지 = https://3.bp.blogspot.com/-MjbDf8vvfG4/UQfsK9FAbOI/AAAAAAAAR7c/uNvF62A0Z0Y/s1600/Proteus+Aircraft+Wallpapers+09.jpg
| 이미지 = https://3.bp.blogspot.com/-MjbDf8vvfG4/UQfsK9FAbOI/AAAAAAAAR7c/uNvF62A0Z0Y/s1600/Proteus+Aircraft+Wallpapers+09.jpg
| 설명 = Scaled Composites Proteus
| 설명 = Scaled Composites Proteus
|스타일=width: 203px; float: right; margin-left: 15px; clear: right;}}
}}
 
Rutan이 디자인하고 설계한 Scaled Composites Proteus, 초도 비행. 고고도 통신중계를 목적으로 연구 개발한 항공기로 단 1대 실험용만 제작되었다.


===2005년===
===2005년===
80번째 줄: 70번째 줄:


[[태양광 비행기]] [[솔라임펄스]]2(Solar Impulse 2)가 16개월의 장도 끝에 세계일주 비행에 성공했다. 4대륙, 17개 구간의 33,900킬로미터 거리를 비행해 최초 출발지였던 아부다비에 도착했다.<ref>[https://www.airtravelinfo.kr/xe/1174778 태양광 비행기, 세계일주 비행 성공(2016/7/27)]</ref>
[[태양광 비행기]] [[솔라임펄스]]2(Solar Impulse 2)가 16개월의 장도 끝에 세계일주 비행에 성공했다. 4대륙, 17개 구간의 33,900킬로미터 거리를 비행해 최초 출발지였던 아부다비에 도착했다.<ref>[https://www.airtravelinfo.kr/xe/1174778 태양광 비행기, 세계일주 비행 성공(2016/7/27)]</ref>
{{참고
| 참고1 = 세계일주비행
| 참고2 =
| 참고3 =
}}{{각주}}
__부분편집숨김__


[[분류:항공역사]]
{{각주}}
항공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자세한 사항은 항공위키: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이 문서를 편집하려면 아래에 보이는 질문에 답해주세요 (자세한 정보):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