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사이드바 토글
항공위키
검색
계정 만들기
개인 도구
계정 만들기
로그인
로그아웃한 편집자를 위한 문서
더 알아보기
토론
기여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관련 사이트
항공여행정보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
항공역사(7월 4일)
편집하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편집
원본 편집
역사 보기
더 보기
읽기
편집
원본 편집
역사 보기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
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
!
{{항공역사네비 | 전날 = 7월 3일 | 다음날 = 7월 5일 }} [[7월 4일]] 발생한 항공 관련 사건과 기록들 ===1908년=== [[파일:Curtiss june bug.jpg|섬네일|200px|글렌 커티스 비행(1908년)]][[에어쉽]] Zeppelin LZ-4, 12시간에 걸쳐 알프스 산을 넘었다. Friedrichshafen에서 Zurich까지 235마일 거리를 시간당 32마일 속도로 비행한 셈이었다. ===1908편=== [[글렌 커티스|Glenn H. Curtiss]], 미국에서 최초로 1킬로미터 이상을 공식적으로 비행해 미국 과학상을 수상했다. 당시 1,550미터를 1분 42초 동안 비행했다. ===1911년=== 최초의 [[화물]] 상업 운송 비행. GE(General Electric)社는 Horatio Barber에게 자사의 오스람 램프를 영국의 Shoreham에서 Hove까지 수송하는 댓가로 100파운드를 지불했고, Horatio는 자신의 Balkyine B 단엽기로 이 화물을 실어 날랐다. ===1927년=== [[파일:Detroit Y1C-12.JPG|섬네일|200x200픽셀|Lockheed Vega]] 6명 탑승 가능한 [[록히드|Lockheed]] Vega, 초도 비행 성공. 이 비행기는 1930년대 대량(?) 수송기로서의 가능성을 이끄는 계기가 된 디자인이었다. 이 [[비행기]]는 각종 기록에 도전해 성공한 기종으로도 유명하다. [[아멜리아 에어하트|Amelia Earhart]]는 이 비행기로 여성으로서는 최초로 대서양을 단독 횡단하기도 했고, Wiley Post는 이 비행기로 세계를 두번이나 일주하기도 했다. 총 132대 생산되었다. ===1934년=== [[델타항공]]은 우편국으로부터 [[항공우편]] 노선 24개를 넘겨받아 첫 항공우편 비행을 시작했다. ===1936년=== Short Empire, 초도 비행. Short Empire는 엔진 4개를 장착한 단엽 비행기로 총 42대 생산된 [[수상 비행기]]였으며 여객과 우편을 수송했다. ===1948년=== 영국 런던 북부 Northwood 상공에서 [[SAS|스칸디나비아항공(SAS)]] 소속 DC-6 항공기와 영국공군 소속 Avro York C.1 항공기가 비행 중 공중 충돌해 두 비행기 탑승자 39명 전원 사망했다. 현재까지도 영국 항공역사상 최악의 공중 충돌 사고로 남아 있다. ===1956년=== [[파일:Usaf.u2.750pix.jpg|섬네일|200x200픽셀|Lockheed U-2]] Lockheed U-2 정찰 항공기, 첫 실제 정찰 비행에 투입되었다. 이 비행기는 초음속으로 비행하면서도 지상 6만 피트 상공에서 지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디자인 되었다. ===1957년=== [[파일:Rossiya Ilyushin Il-18.jpg|섬네일|200x200픽셀|Il-18]] 소련 민간 여객기 [[일류신]](Ilyushin) Il-18, 초도 비행 성공. 현재도 운용되는 기종으로 소련이 개발한 항공기 중에 가장 널리 알려진 기종이라고 할 수 있다. 800대 이상 생산되어 [[아에로플로트]]와 에어고려 등에서 운용되었다. ===1958년=== 프랑스에서 개발된 5인승 경비행기 SAN Jodel D.140 Mousquetaire, 초도 비행 성공. 2인승 [[경비행기]] Jodel D.11의 개량 버전으로 총 243대 생산되었다. ===1958년=== 가나항공(Ghana Airways), 설립. 목적은 가나를 식민지로 지배하던 영국 항공사 [[BOAC]]을 지원하기 위해서였다. ===1962년=== 대구 [[비행장]] 설치 ===1975년=== [[보잉]]의 B747 항공기 개량 버전인 B747SP, 초도 비행 성공. 기존 B747-100 항공기의 [[동체]] 길이를 줄이고 날개를 크게 확대해 초장거리 비행이 가능하도록 개량한 기종으로 1989년까지 총 45대 생산되었다. ===1976년=== {{이미지 | 이미지 = https://airtravelinfo.kr/files/attach/images/35753/817/071/589599d12c5a51b67bfbb6c1a94244d0.jpg | 설명 = 엔테베 납치, 풀려난 인질들 |스타일=width: 203px; float: right; margin-left: 15px; clear: right;}}[[6월 27일]], 우간다 엔테베 [[공항]]으로 공중납치([[하이재킹]])된 [[에어프랑스]] 139편(승객 248명)에 대하여 이스라엘 특공대는 이날 급습하여 인질 모두를 무사히 구출해 냈다. 일명 엔테베 구출작전이 성공적으로 수행된 날이다. ===1986년=== 프랑스 [[전투기]] [[Dassault Aviation|Dassault]] Rafale, 초도 비행 성공. 이 전투기는 쌍발엔진에 델타형 날개 형태를 가진 다목적 제트 전투기다. 2001년부터 본격적으로 운용되기 시작해 2017년 현재 157대 생산되었다. ===1989년=== 소련 전투기 MiG-23가 벨기에 Kortrijk에 추락해 지상에 있던 18세 소년이 사망했다. 이 전투기는 kolobzreg 인근 소련 공군 기지에서 [[이륙]] 직후 문제가 생겼다. [[조종사]]는 비상 탈출했지만 전투기는 조종사 없이 900킬로미터를 더 비행하다가 [[연료]]가 고갈돼 추락했던 것이다. ===1998년=== 브라질 [[엠브레어]]가 개발한 제트 여객기 ERJ 145 시리즈 중 가장 소형인 ERJ 135, 초도 비행. 승객 37명 탑승 가능한 기종으로 135를 포함한 ERJ 145 시리즈 전체 890대 생산되었다. ===2000년=== 부다페스트를 출발해 테살로니키 공항에 도착하던 Malév 소속 262편 항공기(Tu-154)가 [[착륙]] 도중 [[동체]]가 [[활주로]]에 스치는(Skid) 사고가 발생했으나 [[복행]] 후 재착륙에 성공했다. 항행장비의 경고(낮은 고도)를 무시하고 시스템을 끈 채 착륙을 시도했던 [[조종사]]의 실수와 활주로 상에서 출발을 준비하던 다른 항공기의 관제 문제가 겹쳐 발생한 사고였으나 인명 피해는 발생하지 않았다. ===2001년=== Vladivostok Air 소속 352편 항공기(Tu-154)가 이르쿠츠쿠공항으로 접근하던 중 조종력을 잃고 추락해 탑승자 145명 전원 사망했다. 항공기가 착륙 준비에 들어간 순간 동체가 45도 가량 기울어지면서 [[실속|실속(失速, Stall)]]에 빠져 그대로 추락했다. 러시아 대륙에서 발생한 [[항공사고]] 중 Aeroflot 3352편 사고(1984년, 178명 사망), Aeroflot 217편 사고(1972년, 174명 사망)에 이은 3번째 대형사고였다. ===2002년=== 미국 LA 국제공항에서 괴한 총기 난사. 미국 독립기념일인 [[7월 4일]], 테러 가능성을 대비해 경계에 들어간 상황에서 무장 괴한(Hesham Mohamed Hadayet, 이집트 출신 미국인)이 LA 국제공항 이스라엘 [[엘알항공]](El Al) 창구 앞에서 총기를 난사해 일반인 2명이 사망했으며, 범인도 엘알항공 보안 요원에 의해 사살되었다. ===2002년=== [[일본항공]], 국제 화물항공동맹체인 [[WOW Alliance|WOW]] 가입. 일본항공은 2010년 [[화물기]] 운용을 중단하면서 탈퇴했다. ===2021년 === 몽골의 수도 울란바타르를 지원하는 [[신 울란바타르공항]]이 개항했다. 공항 이름은 구 공항의 칭기즈칸국제공항을 이어받았다. ===2021년=== 필리핀 홀로공항(Jolo Airport)에 필리핀 공군 소속 C-130 수송기가 착륙을 시도하던 중 활주로 충돌 후 벗어나면서 화재가 발생했다. 이 사고로 53명이 사망했으며 50여 명이 부상을 입었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426541 필리핀 군 수송기 추락 사고 ·· 최소 45명 사망]</ref> 필리핀 군 당국은 테러 가능성은 없으며 다수의 환경적 요인이 얽히면서 승무원의 대응 미비로 복구 불가능한 [[실속]] 상태가 발생했다고 밝혔다. === 2023년 === 개인 소유의 Cessna 560 Citation V 비행기가 미국 버지니아 주 조지 워싱턴 숲 인근에 추락해 조종사 1명, 탑승자 3명 등이 모두 사망했다. [[비행금지구역]]으로 비행했기에 요격하기 위해 출격했던 F-16 [[전투기]] 조종사는 해당 비행기 [[조종사]]가 정신을 잃고 있는 상태였다고 보고 했다.{{각주}} __부분편집숨김__
요약:
항공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자세한 사항은
항공위키: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이 문서를 편집하려면 아래에 보이는 질문에 답해주세요 (
자세한 정보
):
대한민국의 수도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각주
(
편집
)
틀:이미지
(
편집
)
틀:항공역사네비
(
편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