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16일]] 발생한 항공 관련 사건, 사고 및 기록
Bessica Raiche, 미국인으로서는 최초의 여성 비행 (Aeronautical Society of America 공인)
초기 항공시대 비행기 설계자이자 레이싱 [[조종사]]였던 Édouard Nieuport, 비행 중 사고로 사망. 그는 동생과 함께 프랑스 비행기 제작사인 Nieuport를 설립한 인물이다.
이탈리아 항공사, [[Alitalia(1946)|알리탈리아]](Alitalia) 설립. 지금까지 다수의 매각, 합병 과정을 거쳐 2015년 새롭게 시작했으나 적자 누적 등으로 인해 2020년 국영화되어 Alitalia-Tai라는 이름으로 재출범했다. 현재 96대의 항공기로 94개 도시를 운항하고 있다.
[[아메리칸항공]] 소속 723편 항공기(Convair 240)가 알바니(Albany)공항 착륙 도중 추락해 탑승객 및 승무원 28명 모두 사망했다. [[시정]] 제한으로 인한 하강 고도 오류가 사고의 원인인 것으로 추정했을 뿐 정확한 사고 원인은 밝혀내지 못했다.
[[파일:Ntps-sabreliner-N211BR-071112-01-16.jpg|섬네일|200x200픽셀|Sabreliner]]
North American Aviation社가 개발한 [[비즈니스 제트기|비즈니스 제트]] 비행기 Sabreliner, 초도 비행. 1982년까지 800대 이상 생산되었다. 최초 미공군 요구사항에 따라 개발한 항공기였으며, 군용 뿐 아니라 민간용으로도 사용되었다.
[[파일:MiG-31 Foxhound.jpg|섬네일|200x200픽셀|MiG-31 Foxhound]]
Mikoyan MiG-31 프로토타입 비행기의 시험 비행 성공. 400대 이상 생산되었다.
대만에서 개발한 훈련용 제트 비행기 AIDC AT-3, 초도 비행 성공. 1990년까지 63대 생산되었다.
[[에어뉴질랜드]], Eagle Air와 Air Nelson 인수 (지분 50% 인수)
ATR 42-500 초도 비행. [[터보프롭]] 엔진을 장착한 여객기로 2017년까지 476대 생산되어 주로 [[지역항공사|지역항공사(Regional Airline)]]를 중심으로 운용되고 있다.
미국 [[알래스카항공]], 사상 최초로 온라인 [[탑승수속|체크인(탑승수속)]] 서비스를 선보였다.
| 이미지 = https://cdn.aviation-safety.net/photos/accidents/20070916-0-C-1.jpg
| 설명 = One-Two-Go 269편 사고 현장
| 스타일 =width: 203px; float: right; margin-left: 15px; clear: right;
}}One-Two-Go 항공 소속 269편(MD-82)이 푸켓 공항에 착륙 도중 강한 돌풍으로 인해 [[활주로]]에서 미끄러지면서 항공기가 두동강 나는 사고 발생. 이 사고로 탑승객과 [[승무원]] 130명 가운데 90명 사망했다. 사고 조사 결과는 [[관제]]의 지시를 따르지 않은 조종사의 무리한 착륙 시도 때문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티웨이항공]], 김포-제주 노선을 시작으로 운항 개시
| 이미지 = https://media-cldnry.s-nbcnews.com/image/upload/t_grid-9x2,f_auto,q_auto:best/MSNBC/Components/Slideshows/_production/ss-110917-reno-plane-crash/ss-110917-reno-crash-08.jpg
| 스타일 =width: 203px; float: right; margin-left: 15px; clear: right;
| 동영상 = <youtube>6MyhveHS8HU</youtube>
| 스타일 =width: 203px; float: right; margin-left: 15px; clear: right;
}}미국 네바다, 리노공항에서 개최된 에어레이스에 참가한 P-51D 무스탕 비행기가 관중석으로 추락해 조종사와 관객 10명이 사망하고 69명은 큰 부상을 입었다. 낡은 날개 부품 재사용한 것을 사고의 원인으로 추정하였다.
중국 동티벳에 다오청 야딩(Daocheng Yading)공항 개항. 해발 4,411미터에 건설된 이 [[공항]]은 기존 세계에서 가장 높은 고도에 있던 방다공항(해발 4,334미터)을 밀어내고 세계에서 가장 높은 곳에 건설된 공항이 되었다.
* [https://airtravelinfo.kr/18591 세계에서 가장 높은 곳에 있는 공항은?]
[[파일:CS100-FTV1-TO.jpg|섬네일|200x200픽셀|CS100]]
캐나다 항공기 제작사인 [[봄바디어]](Bombardier)가 개발 중인 중거리용 제트 여객기 CSeries (CS100), 초도 비행. 보잉의 B737-600/700, 에어버스 A318, A319 등과 경쟁할 수 있는 최대 160명 탑승 가능한 중단거리용 제트 여객기로 그 동안 보잉, 에어버스사가 생산하지 않는 소형 [[항공기]] 시장에서 벗어나 본격적으로 이들 항공기 제작사들의 제트 소형 기종들과 경쟁하게 될 항공기종이다.
CSeries는 통상 110석 CS100, 130석 CS300 두가지 버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2020년 기준 총 642대 주문을 확보한 상태로 118대 생산해 항공사에 인도했다.
하지만 봄바디어는 보조금 문제로 미국과 갈등을 일으키며 어려움에 빠졌고 CS100/300 사업부를 에어버스가 인수하면서 2018년 [[A220]]으로 브랜드가 변경되었다.
[[대한항공]]도 지난 2011년 10대 (옵션 20대) 구매 계약을 맺어 2014년 운항 계획이었으나 개발이 지연되면서 2018년 1월이 되어서야 국내선을 시작으로 본격 운항에 들어갔다.<ref>[https://www.airtravelinfo.kr/70621 대한항공 구매한 CS300은 어떤 비행기?]</ref>
브라질 아마존 지역에서 악천후로 EMB-110 비행기가 추락해 조종사 2명 포함 탑승자 14명 모두 사망했다. 마나우스 공항에서 출발해 바르셀로스 공항으로 전세 운항 중이었다.{{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