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여닫기
개인 메뉴 토글
로그인하지 않음
만약 지금 편집한다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될 수 있습니다.

항공 자유화 편집하기

항공위키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redirect [[오픈스카이]]
==항공 자유화(Open Skies)==
 
체결국 [[항공사]]의 노선 구조, 운항 횟수, [[운임]] 등에 대한 자유로운 설정을 허용하는 양국 혹은 다국간 항공운송협정 또는 체제를 가리킨다. 이는 국가간 합의에 따라 [[항공협정]] 상에 존재하는 각종 제한을 철폐하고 자유경쟁체제를 촉진하여, [[항공사]] 영업 활동의 생산성과 효율성을 제고하고, 이용객에게는 보다 경제적인 가격의 다양한 항공 서비스를 제공하여, 궁극적으로 항공시장의 활성화를 도모한다. 각 나라는 자국의 이익과 상황에 맞게 다른 나라들과 [[항공자유화협정]]을 체결한다.
 
==항공 자유화 수준==
 
항공 자유화의 수준은 각국의 시장 개방 정도에 따라 구분할 수 있는데 가령, 상대국내 운항 목적지 및 공급력의 자유로운 설정을 허용(제 3 의 자유/제 4 의 자유)하는 경우, 상대국간 제 3 국 지점에 운항을 허용(제 5 의 자유)하는 경우 등과 같이 상호 합의에 따라 그 수준은 달라진다.
 
===제3/4자유 무제한 설정 및 목적지점 선택 자유===
 
* 상대국내 어떠한 지점으로도 [[운항]] 가능
* 공급력 '무제한'으로 제한 없음
 
===제5자유 허용===
 
* 상대국간 제3국의 도시(중간 또는 이원지점)간 운항
 
===제7자유 허용===
 
* 상대국내 [[공항]]에 항공기를 두고 제3국간 운항
* 기종변경 허용
 
===제8자유 또는 제9자유 허용===
 
* 상대국내 국내 2개 지점 이상 상품 판매 가능 (8자유)
* 상대국내 국내 [[항공사]] 설립 또는 이에 준한 운항 (9자유)
 
==항공 자유화 정책==
 
항공 자유화 정책 시행의 주도국인 미국은 전 항공노선에 대한 진입 개방, 운항 항공사 수 및 운항 편수의 무제한 허용, [[운임]] 설정의 자유화 정책을 표방하고 있으며, 2009년 12월 기준 세계 95개국과 항공 자유화 협정을 체결하였다. 우리 나라는 미국(1998), 중국(2006, 산동성), 일본(2007, 동경 제외) 등 세계 31개국과 항공 자유화 협정을 체결함으로써 체결국간 항공수요증진 및 인적/물적 교류 확대, 이용자 편의 도모의 기반을 구축하였다. 
 
==관련 용어==
 
* [[하늘의 자유]]
* [[항공자유화협정]]
 
{{각주}}
항공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자세한 사항은 항공위키: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이 문서를 편집하려면 아래에 보이는 질문에 답해주세요 (자세한 정보):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