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사이드바 토글
항공위키
검색
계정 만들기
개인 도구
계정 만들기
로그인
로그아웃한 편집자를 위한 문서
더 알아보기
토론
기여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관련 사이트
항공여행정보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
EVTOL
편집하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편집
원본 편집
역사 보기
더 보기
읽기
편집
원본 편집
역사 보기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
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
!
eVTOL: Electric-powered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전기 수직이착륙) == 개요 == 수직이착륙([[VTOL]])을 전기(배터리)의 힘으로 실행하는 방식이다. 2000년대 들어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석유 등 화석연료를 이용하는 전통적인 항공기를 대체하려는 움직임이 가속화됐다. 기술의 발달로 배터리를 동력으로 하는 항공기술이 실용화 단계로 접어들면서 도심 및 근거리 교통수단으로서 시장이 형성되기 시작했다. 2020년대 들어 [[도심항공교통]]([[UAM]]) 산업과 함께 기본 운송방식으로 각광받으며 급성장하고 있다. <onlyinclude> == eVTOL 형태 == 전기 수직이착륙기의 비행은 전기모터를 통한 프로펠러(로터)로 구동된다. 추진 방식에 따라 멀티로터, 리프트 앤 크루즈, [[틸트로터]] 등으로 구분된다. {| class="wikitable" !구분 !멀티로터 !리프트 앤 크루즈 !틸트로터 |- |형태 |다수의 로터를 가진 소형 [[드론]]을 확장한 형태 |[[고정익]]에 로터를 장착한 형태 |[[틸트로터]]로 이착륙, 전진 비행 수행 |- |기술 수준 |상대적으로 낮음 |중간 수준 |가장 높음 |- |운항 거리 |50km 이내 |인접 도시 운항 |인접 도시 운항 |- |주요 개발사 |[[이항]], [[Volocopter]] |[[Wisk]] |[[Joby Aviation]], [[Lilium]], [[OPPAV]] |- |특징 | * 이착륙 용이하나 비행 속도 빠르지 않음 * [[UAM]] | * [[AAM]], [[RAM]] | * 상대적으로 비행 속도 빠름 * [[AAM]], [[RAM]] |} == 주요 eVTOL 비행체 == {| class="wikitable" !제품 !개발사 !주요 성능 !비고 |- |Volocopter VoloCity |[[Volocopter]] |2인승(조종사 포함) |VoloCity, 2023년 목표 |- |[[VA-X4]], X5 |[[Vertical Aerospace]] |5인승, 운항 범위 160km, 시속 320km 목표 |2024년 인증 목표 |- |[[Maker]] |[[Archer Aviation]] |운항 범위 97km, 시속 240km | |- |[[Joby S4]] |[[Joby Aviation]] |5인승, 운항 범위 240km, 시속 320km 목표 |2021년, 77분 약 250km 시험비행 |- |[[Lilium Jet]] |[[Lilium]] |5인승, 운항 범위 300km, 시속 280km |2024년 목표 |- |Butterfly |[[Overair]] | |한화시스템 공동 개발 |- |Cora |[[Wisk]] |3-4인승, 무인 자율 비행 |2028년 인증 목표 |- |[[S-A1]], [[S-A2]] |[[슈퍼널]] | |2028년 상용화 목표 |- |Eve(가칭) |[[Eve Air Mobility]] | |[[엠브레어]] 자회사 |- |eHang 184, 216 |[[eHang]] |1~2인승, 운항 범위 16km, 시속 130~160km |2016년 초도 비행 성공 |- |Voyager X2 |XPENG |2인승, 최대속도 시속 130km / 35분 |2022년 10월, 공개 비행(두바이) |- |ALIA 250 |[[Beta Technologies]] |6인승, 시속 170마일 / 운항범위 250마일(nm) |2021년 3월 시험비행 성공 |- |CP-01 |[[플라나|PLANA]] |4~6인승, 시속 300km / 운항범위 500km |하이브리드, 2028년 상용화 목표 |- |[[에어원(eVTOL)|Air One]] |Air |2인승, 시속 최대 250km / 운항범위 177km |2022년 12월 18일 시험비행 |- |[[OPPAV]] |[[KARI]] |1인승, 시속 최대 240km / 운항범위 50km 이상 |2025년 상용화 목표 |- |[[Prosperity I]] |Autoflight |4인승, 최대 시속 200km / 운항범위 250km |2025년 [[EASA]] 인증 목표 |} </onlyinclude> == 장단점 == {| class="wikitable" !구분 !내용 !활용 부문 |- |장점 | * 이동 시간 단축 * 친환경 * 새로운 시장 | rowspan="2" | * 도심 이동 수단([[UAM]], [[AAM]]) * 응급 서비스 * 관광 * [[화물]] 배송 |- |단점 | * 규제 장벽 * 시장 수요 불확실 * 신뢰성 |} == 주문 및 전망 == 2022년 2월 기준 전세계 eVTOL 개발업체들이 수주한 주문대수는 약 3600대 가량인 것으로 알려졌다.<ref>[https://airinsight.com/evtol-commitments-bubble-or-not/ eVTOL commitments – bubble or not?]</ref> ==참고== * [[VTOL]] * 도심항공교통([[UAM]]) * 차세대항공교통([[AAM]]) {{각주}}
요약:
항공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자세한 사항은
항공위키: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이 문서를 편집하려면 아래에 보이는 질문에 답해주세요 (
자세한 정보
):
대한민국의 수도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각주
(
편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