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여닫기
4.2천
721
370
5.4만
항공위키
개인 메뉴 토글
로그인하지 않음
만약 지금 편집한다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될 수 있습니다.

MARS 편집하기

항공위키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2번째 줄: 2번째 줄:


== 설명 ==
== 설명 ==
[[파일:Mars.jpg|섬네일|MARS 개념]]
항공기 [[주기장]]은 각각의 주기 공간 내에 동일 등급의 [[항공기]] 또는 그 이하 등급의 항공기가 매 주기 시점에 한 대의 항공기만이 [[주기]]할 수 있는 형태로 운영이 되는 것이 일반적인 주기형태이다.
항공기 [[주기장]]은 각각의 주기 공간 내에 동일 등급의 [[항공기]] 또는 그 이하 등급의 항공기가 매 주기 시점에 한 대의 항공기만이 [[주기]]할 수 있는 형태로 운영이 되는 것이 일반적인 주기형태이다.


이에 반해 [[MARS]]는 2대의 소형기를 1대의 대형기 주기 공간 내, 또는 1대의 대형기를 2대의 소형기 주기 공간 내 주기할 수 있도록 하여 독립적으로 운영이 가능하도록 배치한 주기 형태이다. 이는 Multiple Aircraft Ramp System, Multi Aircraft Ramp Stand 등의 다양한 풀이로 사용되고 있으며, IATA의 Airport Development Reference Manual에서는 Multi-Aircraft Ramping System으로 표기(2004년)된 적이 있다."  
이에 반해 [[MARS]]는 2대의 소형기를 1대의 대형기 주기 공간 내, 또는 1대의 대형기를 2대의 소형기 주기 공간 내 주기할 수 있도록 하여 독립적으로 운영이 가능하도록 배치한 주기 형태이다. 이는 Multiple Aircraft Ramp System, Multi Aircraft Ramp Stand 등의 다양한 풀이로 사용되고 있으며, IATA의 Airport Development Reference Manual에서는 Multi-Aircraft Ramping System으로 표기(2004년)된 적이 있다."  


(초대형 항공기와 [[저비용항공사]] 증가에 따른 [[인천국제공항]] 여객 [[Apron|계류장]]의 효율적 설치 및 운영에 관한 연구, [[한국항공대학교]] 대학원, 임광식, 2013.8, p14)
(초대형 항공기와 저비용 항공사 증가에 따른 인천국제공항 여객계류장의 효율적 설치 및 운영에 관한 연구, 한국항공대학교 대학원, 임광식, 2013.8, p14)
 
== 국내 현황 ==
{{이미지
| 이미지 = https://www.airport.kr/static/ai/images/detail/img_s02_tab3_6.jpg
| 설명 = 인천공항 2터미널
| 스타일 = width: 203px; float: right; margin-left: 15px; clear: right;
}}
우리나라에는 2018년 1월 [[인천공항]] 제2여객터미널에 최초로 도입됐다. F급 항공기 주기 공간 5곳을 소형기(C급) 주기 공간 10곳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C급 주기 공간 8곳을 E급 주기 공간 4곳으로도 사용할 수 있어 항공기 크기에 맞춰 33개에서 42개까지 탄력적으로 주기장(탑승 [[게이트]])을 운영할 수 있다.


== 참고 ==
== 참고 ==


* [[항공기 등급]]
* [[항공기 등급]]
[[분류:공항]]
항공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자세한 사항은 항공위키: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이 문서를 편집하려면 아래에 보이는 질문에 답해주세요 (자세한 정보):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